이 💕시작 단어 4,702개
- 이색 (李穡) : 고려 말기의 문신ㆍ학자(1328~1396). 자는 영숙(穎叔). 호는 목은(牧隱). 중국 원나라에 가서 과거에 급제하고, 귀국하여 우대언(右代言)과 대사성 따위를 지냈다. 삼은의 한 사람으로, 문하에 권근과 변계량 등을 배출하여 학문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조선 개국 후 태조가 여러 번 불렀으나 절개를 지키고 나가지 않았다. 저서에 ≪목은시고(牧隱詩藁)≫, ≪목은문고(牧隱文藁)≫ 따위가 있다.
- 이주 (移駐) : 1 다른 곳으로 옮겨 머무름. 2 다른 곳으로 옮겨 주둔함.
- 이원 집정제 (二元執政制) : 대통령 중심제와 의원 내각제의 요소를 결합한 정치 제도. 평상시에는 대통령이 국방ㆍ외교에 관한 권한을, 총리가 내정에 관한 권한을 가지다가 비상시에는 대통령이 행정권을 장악한다. 바이마르 헌법 아래의 독일 공화국이나 프랑스 제5공화국이 여기에 속한다.
- 이익 처분 (利益處分) : 기업의 이익이 이익 준비금, 임의 적립금, 법인세, 배당금 따위의 형태로 처분되는 일.
- 이금당 (已今當) :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이방성 (異方性) : 1 방향에 따라 물체가 달리 보이는 현상. 같은 길이의 선분을 수직과 수평으로 놓으면 수직 선분이 더 길게 보이는 따위의 현상이다. 2 물체의 물리적 성질이 방향에 따라 다른 성질. 물체의 탄성, 팽창률, 열전도율, 광선 굴절률 따위에서 나타난다.
- 이리 조약 (伊犁條約) : 1881년에 제정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제정 러시아와 청나라가 맺은 조약. 1871년부터 제정 러시아는 이슬람교도의 반란을 진압한다는 구실로 일리 지방을 점령하고 있었는데, 이 지방을 청나라에 돌려주는 대신 신장(新疆) 지방에서의 상업권을 인정받았다.
- 이승휴 (李承休) : 고려 시대의 학자ㆍ문인(1224~1300). 자는 휴휴(休休). 호는 동안거사(動安居士). 서장관으로 원나라에 가서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돌아와 감찰대부, 사림 승지(詞林承旨) 등의 벼슬을 지냈다. 저서에 ≪제왕운기≫, ≪동안거사문집≫, ≪내전록(內典錄)≫ 따위가 있다.
- 이수 (異獸) : 보통 때 볼 수 없는 진기한 짐승.
- 이인자 (二人者) : 1 특정 방면에서 두 번째로 뛰어난 사람. 2 어떤 조직에서 두 번째 위치에 있는 사람.
-
이승비
(二乘比)
:
어떤 비의 전항 및 후항을 각각 제곱한 비. 예를 들면, ‘a:b’의 제곱비는 ‘
’이다.
- 이민 노동자 (移民勞動者) : 자기 나라를 떠나 다른 나라로 이주하여 노동하는 사람. 모국과 이주국 간의 노동 조건이 다른 점이 이민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 이조 (吏曹) : 1 고려 시대에, 육조(六曹) 가운데 문관의 선임(選任)과 훈봉(勳封)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공양왕 원년(1389)에 전리사를 고친 것이다. 2 조선 시대에, 육조 가운데 문관의 선임과 훈봉, 관원의 성적 고사(考査), 포폄(褒貶)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 이후 (以後) : 1 이제부터 뒤. 2 기준이 되는 때를 포함하여 그보다 뒤.
- 이왕 (易往) : 아미타의 본원(本願)에 의하여 극락에 쉽게 왕생하는 일.
- 이성 숭배 (理性崇拜) : 프랑스 혁명기에 혁명파인 에베르파가 추진한 일종의 반가톨릭적ㆍ애국적 혁명 운동. 이 운동의 결과로 1793년에 파리 주교가 상퀼로트의 압력을 받아 성직을 포기하였으며, 파리의 노트르담 성당은 ‘이성(理性)의 성당’으로 바뀌었고 이성의 제전이 성대히 거행되었는데 이로 말미암아 교회의 권위는 땅에 떨어졌다.
- 이현금 (二絃琴) : 하늘과 땅을 상징하여 만들었다는, 두 줄로 된 금. 고려 예종 11년(1116)에 송나라에서 들여왔다.
- 이사야서 (Isaiah書) : 대예언서의 하나. 이사야가 쓴 예언서로, 이스라엘 및 여러 국가에 대한 예언과 여호와의 궁극의 승리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 이화주 (梨花酒) : 1 배꽃이 핀 뒤에 담근 술. 2 배꽃을 넣어 빚은 술.
- 이온가 (ion價) : 이온이 갖는 전기량을 전기의 최소 단위로 나타낸 값. 이 값은 보통 주기율표의 위치와 관계가 있다.
- 이색적 (異色的) : 1 보통의 것과 색다른 성질을 지닌 것. 2 보통의 것과 색다른 성질을 지닌.
- 이훈 (異訓) : 다른 주해(註解).
- 이손 : ‘이이’를 조금 낮추어 이르는 말. (이이: ‘이 사람’을 조금 높여 이르는 삼인칭 대명사., 여자가 다른 사람을 상대하여 가까이 있는 자기 남편이나 애인을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 말하는 이가 듣는 이를 조금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
- 이연 (李淵) : 중국 당나라의 제1대 황제인 ‘고조’의 본명. (고조: 중국 당나라의 제1대 황제(565~635). 성은 이(李). 이름은 연(淵). 자는 숙덕(叔德). 수나라 태원 유수(太原留守)로 임명되었다가, 고구려 원정의 실패로 수나라가 흔들리자 군사를 일으켜 수나라를 멸망시키고 당나라를 세웠다. 재위 기간은 618~626년이다.)
- 이무 (李茂) : 고려 말기ㆍ조선 전기의 문신(?~1409). 자는 돈부(敦夫). 조선 개국 후 도체찰사가 되어 이키섬[壹岐島]과 쓰시마섬[對馬島]의 왜구를 토벌하고, 제일 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을 도와 공을 세우고, 태종 9년(1409) 민무구(閔無咎)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된 후 사형당하였다.
- 이성계 (李成桂) : 조선 제1대 왕인 ‘태조’의 본명. (태조: 조선의 제1대 왕(1335~1408). 성은 이(李). 왕위에 오르기 전의 이름은 성계(成桂)이고 왕위에 오른 후의 이름은 단(旦). 자는 중결(仲潔). 호는 송헌(松軒). 고려 말기의 무신으로서 왜구를 물리쳐 공을 세웠고, 위화도 회군을 계기로 정권을 장악하여 조선 왕조를 세웠다. 재위 기간은 1392~1398년이다.)
- 이십사인 (二十四人) : 중국 당나라 태종 때에, 능연각에 초상을 건 24명의 공신. 고사렴(高士廉), 굴돌통(屈突通), 당검(唐儉), 두여회, 단지현(段志玄), 방원령(房元齡), 소우(蕭瑀), 우세남, 울지경덕(尉遲敬德), 위징, 유정회(劉政會), 유홍기(劉弘基), 은개산(殷開山), 이적(李勣), 이정(李靖), 장손무기, 장공근(張公謹), 장손순덕(長孫順德), 장량(張亮), 정지절(程知節), 진숙보(秦叔寶), 하한왕 효공(河閒王孝恭), 허소(許紹), 후군집(侯君集)이다.
- 이렇듯이 : ‘이러하듯이’가 줄어든 말.
- 이해 판단 (理解判斷) : 미적 판단(美的判斷)의 하나. 미의식에 참여하여, 이것을 돕는 것으로 대상에 표현된 의미를 판단하는 것을 이른다. 미적 대상 내용을 지적으로 이해하고 식별하는 일이다.
- 이체 문자 (異體文字) : 한자나 일본의 가나(假名) 따위에서, 표준자 이외의 글자를 이르는 말. 속자나 약자 따위가 있다.
- 이정형 (李廷馨) : 조선 중기의 학자ㆍ문신(1549~1607). 자는 덕훈(德薰). 호는 지퇴당(知退堂)ㆍ동각(東閣). 임진왜란 때 좌승지로 임금을 모시고 평안도로 가다가 송도에서 의병을 일으켜 적을 막았으며 만년에는 성리학을 연구하였다. 저서에 ≪동각잡기(東閣雜記)≫, ≪황토기사(黃兔記事)≫, ≪지퇴당집≫이 있다.
- 이마마하다 : 이 정도만 하다.
- 이령 (二齡) : 누에가 첫잠을 잔 뒤부터 두잠을 잘 때까지의 동안.
- 이달충 (李達衷) : 고려 공민왕 때의 학자(?~1385). 자는 지중(止中). 호는 제정(霽亭). 밀직제학 때에, 신돈이 전횡하던 때 주색을 일삼는다고 본인에게 직언하여 파직되었다가, 그가 주살된 후에 계림부윤을 지냈다. 저서에 ≪제정집≫이 있다.
- 이원 (梨園) : 1 조선 시대에, 장악원의 좌방(左坊)과 우방(右坊)을 아울러 이르던 말. 좌방은 아악(雅樂)을, 우방은 속악(俗樂)을 맡았다. 2 배나무 동산. 3 중국 당나라 때, 현종이 몸소 배우(俳優)의 기술을 가르치던 곳. 오늘날 뜻이 바뀌어 연예계, 극단, 배우들의 사회 따위를 이른다. ... (총 4개의 의미)
- 이윤우 (李潤雨) : 조선 선조 때의 문신(1569~1634). 자는 무백(茂伯). 호는 석담(石潭). 선조 39년(1606)에 식년과의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광해군 때 사관으로서 정인홍의 비위 사실을 직필했다가 탄핵을 받았으며, 후에 이조 참의를 지냈다. 저서에 ≪석담집≫이 있다.
- 이명룡 (李明龍) : 3ㆍ1 운동 때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1873~1956). 호는 춘헌(春軒).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르고 1919년 기독교 대표로 독립운동을 지도하였다. 1945년 광복 후 평양에서 조선 민주당 조직에 참여하고, 후에 월남하여 여러 단체의 장을 지냈다.
- 이 : 1 잇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수컷은 2~3mm, 암컷은 2.5~4mm로, 연한 회색이며, 복부의 가장자리는 어두운 회색이다. 날개가 없고 배는 긴 타원형이며 더듬이는 다섯 마디이다. 불완전 변태를 하고 사람의 머리에서 피를 빨아 먹는다. 전 세계에 분포한다. 2 이목의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의 길이는 1~4mm이고 편평한 방추형이다. 날개는 없고 머리 양쪽에 홑눈이 한 개씩 있다. 사람의 몸에 기생하면서 피를 빨아 먹는다. 잇과, 짐승닛과, 털닛과 따위가 있다.
- 이화피화 (異花被花) : 꽃받침과 꽃부리의 구별이 뚜렷한 꽃. 벚꽃, 진달래꽃 따위가 있다.
- 이맥 (耳麥) : 볏과의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 높이는 60~90cm이며, 잎은 가늘고 길다. 봄에 두세 개의 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핀다. 열매는 식용하거나 가축의 먹이로 쓴다. 산지(山地)에 심어 가꾼다.
- 이축 응력 (二軸應力) : 물체에 힘을 작용할 때 서로 직각인 세 개의 주응력(主應力)이 존재하는 상태. 이 중 둘은 같은 평면에 작용하기 때문에 이 평면에서 나머지 하나는 힘이 영(零)이 된다.
- 이륜차 (二輪車) : 바퀴가 둘 달린 차를 통틀어 이르는 말. 자전거, 오토바이 따위가 있다.
- 이삭까치밥나무 : 범의귓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2.5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3~5갈래로 갈라진다. 4월에 잔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둥근 모양의 장과(漿果)로 7월에 붉게 익으며 식용한다. 깊은 산에서 자라는데 한국,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 이용 계수 (利用係數) : 탄소원(炭素源)을 넣은 배양액에서 생육(生育)한 미생물의 건조량과 그 생육 때에 배양액에서 소실된 탄소원의 양과의 비(比).
- 이욱 (李煜) : 중국 오대(五代) 남당(南唐)의 마지막 왕(937~978). 자는 중광(重光). 호는 종은(鍾隱). 송나라에 패하여 유폐되었다가 독살되었다. 음률에 정통하였으며, 사(詞)를 서정시로 완성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 이액서열 (離液序列) : 용매나 분산매에 주는 영향의 세기에 따라 차례로 배열해 놓은 이온의 서열.
- 이병일 (李炳逸) : 영화감독(1910~1978). 광복 후 미국의 할리우드에서 영화감독에 종사하였다. 작품에 <시집가는 날>, <자유 결혼>, <서울로 가는 길> 따위가 있다.
- 이슈 (issue) : 1 서로 다투는 중심이 되는 점. 2 소송 당사자 사이에 쟁송(爭訟)의 중심이 되는 내용.
- 이두온 (貍頭瘟) : 얼굴이 붉어지고 부어오르며 목구멍이 아프고 붓는 병. 심해지면 이를 다물고 벌리지 못하며 헛소리를 하기도 한다.
- 이북 (以北) : 1 남북으로 분단된 대한민국의 휴전선 북쪽 지역을 가리키는 말. 2 어떤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그 북쪽.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4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03개입니다.
- 1 글자 31개 : 이
- 2 글자 1,158개 : 이키, 이방, 이양, 이수, 이암, 이체, 이루, 이만, 이색, 이한 3 글자 1,270개 4 글자 1,303개 5 글자 455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