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시작 단어 3,034개
-
오방잡처
(五方雜處)
:
여러 곳에서 온 사람들이 섞여 삶.
🌏 五: 다섯 오 方: 모 방 雜: 섞일 잡 處: 곳 처 -
오행
(汚行)
:
더러운 행위나 수치스러운 행동을 함. 또는 그 행위나 행동.
🌏 汚: 더러울 오 行: 다닐 행 -
오음
(吳吟)
:
오나라의 노래를 읊는다는 뜻으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 吳: 나라 이름 오 吟: 읊을 음 -
오행진
(五行陣)
:
지형에 따라 펼칠 수 있게 된 방진(方陣), 원진(圓陣), 곡진(曲陣), 직진(直陣), 예진(銳陣)의 다섯 가지 진법.
🌏 五: 다섯 오 行: 다닐 행 陣: 진칠 진 -
오후정
(五侯鯖)
:
매우 맛있는 음식을 이르는 말. 중국 한(漢)나라 성제 때, 누호라는 사람이 외삼촌인 오후가 보낸 고기와 생선을 맛있게 먹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五: 다섯 오 侯: 제후 후 鯖: 열구자 정 -
오일도
(吳一島)
:
시인(1901~1946). 본명은 희병(熙秉). 1934년에 시 전문지 ≪시원(詩苑)≫을 창간하였고, 예술 지상주의를 추구하였다. 작품에 <눈이여, 어서 내려 다오>, <노변의 애가> 따위가 있다.
🌏 吳: 나라 이름 오 一: 하나 일 島: 섬 도 - 오에이유 (OAU) : 아프리카 여러 나라의 독립과 주권을 수호하고 비동맹 노선 아래에서의 상호 협력을 목적으로 결성된 세계 최대의 지역 기구. 1963년에 창설되어 1980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제외한 50개국이 가입하였으며, 에티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에 사무국을 두고 있다.
-
오금유
(烏金釉)
:
중국 청나라 건륭제 때에, 당요(唐窯)에서 쓰던 도자기의 잿물.
🌏 烏: 까마귀 오 金: 쇠 금 釉: 광택 유 -
오십삼불
(五十三佛)
:
1
아미타불의 스승인 세자재대왕 이전에 있었던 정광여래에서 처세여래에 이르기까지의 쉰셋의 부처.
2
금강산 유점사에 있는 쉰세 개의 불상. 인도의 문수 대사가 순금으로 만들어 보낸 것이라고 한다.
🌏 五: 다섯 오 十: 열 십 三: 석 삼 佛: 부처 불 -
오성 철학
(悟性哲學)
:
반성에 의한 통일을 최고의 것으로 보는 철학. 헤겔의 용어로, 반성은 외적인 연관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한다.
🌏 悟: 깨달을 오 性: 성품 성 哲: 밝을 철 學: 배울 학 -
오스트로ㆍ아시아 어족
(Austro-Asia語族)
:
인도차이나반도에서 인도 중부에 걸쳐서 산재하는 언어를 통틀어 이르는 말. 인도차이나반도의 몬크메르 제 언어(諸言語), 말레이반도의 세망어와 사카이어, 인도를 중심으로 한 문다 어군(語群) 따위가 이에 속한다.
🌏 語: 말씀 어 族: 겨레 족 풍류 가락 주 -
오광대놀음
(五광대놀음)
:
음력 정월 보름에 경상남도 일대에서 하는 가면극의 하나. 고성, 통영, 가산, 진주 등지에서 공연하는데 과장(科場)의 수는 지방에 따라 5~7개로 차이가 있다.
🌏 五: 다섯 오 - 오에프 케이블 (OF cable) : 절연 특성을 높이기 위하여 점도가 낮은 기름을 넣은 전력 케이블.
- 오랏줄 : 도둑이나 죄인을 묶을 때에 쓰던, 붉고 굵은 줄.
-
오연
(傲然)
:
‘오연하다’의 어근. (오연하다: 태도가 거만하거나 그렇게 보일 정도로 담담하다.)
🌏 傲: 거만할 오 然: 그럴 연 -
오시화
(午時花)
:
벽오동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80~120cm이며, 잎은 어긋난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담황색 꽃이 피고 둥근 열매를 맺는다. 관상용이고 인도, 미얀마 등지에 분포한다.
🌏 午: 낮 오 時: 때 시 花: 꽃 화 -
오만물상
(奧萬物相)
:
금강산 외금강에 있는 명소. 구만물초(九萬物草)와 십만물초(十萬物草)의 뒤쪽에 있는데, 모양새가 매우 기묘하다.
🌏 奧: 아랫목 오 萬: 일만 만 物: 만물 물 相: 서로 상 -
오지
(吳志)
:
중국 진나라 진수(陳壽)가 펴낸 삼국지의 하나. 오나라의 역사를 기술한 것으로 본기(本記) 없이 20열전(列傳)으로 나누었다. 20권.
🌏 吳: 나라 이름 오 志: 뜻 지 - 오에이에스 (OAS) : 1961년 알제리 전쟁 말기에, 알제리 독립에 반대하는 프랑스 극우파의 군인 등이 조직한 무장 지하 단체. 1962년에 알제리 잠정(暫定) 정권과의 정전 협정 체결 후 해체하였다.
-
오언시
(五言詩)
:
한 구가 다섯 글자로 된 한시(漢詩)를 통틀어 이르는 말.
🌏 五: 다섯 오 言: 말씀 언 詩: 시 시 -
오근피지하다
(吾謹避之하다)
:
다른 사람과 맞부딪치는 것을 꺼려 자기가 스스로 삼가 피하다.
🌏 吾: 나 오 謹: 삼갈 근 避: 피할 피 之: 갈 지 -
오렌지강
(Orange江)
: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쪽에 있는 강. 드라켄즈버그산맥에서 시작하여 대서양으로 흘러들며, 댐과 발전소가 건설되어 있다. 길이는 2,090km.
🌏 江: 강 강 - 오키나와섬 (Okinawa[沖繩]섬) : 일본 오키나와 제도에 속하는 가장 큰 섬. 태평양 전쟁 때 가장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곳 가운데 하나이다. 면적은 1,176㎢.
-
오모
(烏帽)
: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시골에 숨어 사는 사람들이 쓰던 검은 빛깔의 모자.
🌏 烏: 까마귀 오 帽: 모자 모 - 오른새끼 : 오른쪽으로 꼰 새끼. 새끼는 주로 오른새끼이다.
-
오합적 집합
(烏合的集合)
:
서로 관련되는 내적 요인이 없는 심적 요소들이 이룬 집합.
🌏 烏: 까마귀 오 合: 합할 합 的: 과녁 적 集: 모을 집 合: 합할 합 -
오리
(汚吏)
:
청렴하지 못한 벼슬아치.
🌏 汚: 더러울 오 吏: 벼슬아치 리 - 오베르뉴 (Auvergne) : 프랑스 중남부 고지(高地)에 있는 지방. 휴양ㆍ관광지로, 중심 도시는 클레르몽페랑이다. 면적은 2만 5988㎢.
-
오결
(誤決)
:
잘못 결정하거나 결재함. 또는 그런 결정이나 결재.
🌏 誤: 그릇할 오 決: 결정할 결 -
오마
(五魔)
:
사람의 마음을 해치는 다섯 악마. 천마(天魔), 죄마(罪魔), 업마(業魔), 뇌마(惱魔), 사마(死魔)를 이른다.
🌏 五: 다섯 오 魔: 마귀 마 -
오목카래
(五목카래)
:
→ 다섯목한카래. (다섯목한카래: 다섯목가래질을 하려고 채운 사람 수.)
🌏 五: 다섯 오 -
오를리 공항
(Orly空港)
:
프랑스의 파리 남쪽 교외에 있는 국제공항. 1949년에 개설하였으며, 주로 유럽 국제선에 이용하고 있다.
🌏 空: 빌 공 港: 항구 항 -
오룡차
(五龍車)
:
다섯 마리의 용이 끈다는 전설 속의 수레.
🌏 五: 다섯 오 龍: 용 룡 車: 수레 차 -
오발되다
(誤發되다)
:
1
총포 따위가 잘못 쏘아지다.
2
실수로 잘못 말해지다.
🌏 誤: 그릇할 오 發: 필 발 -
오용되다
(誤用되다)
:
잘못 사용되다.
🌏 誤: 그릇할 오 用: 쓸 용 - 오언스 (Owens, Jesse) : 미국의 육상 선수(1913~1980). 1936년에 베를린 올림픽에 출전하여 100미터 등 4종목에서 우승하였다.
-
오잔
(烏盞)
:
검정 잿물을 입힌 잔.
🌏 烏: 까마귀 오 盞: 술잔 잔 -
오호츠크해 기단
(Okhotsk海氣團)
:
오호츠크해로부터 쿠릴 열도에 이르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해양성 한랭 기단. 6~7월에 발생하며 이 기단과 북태평양 기단 사이에 형성되는 장마 전선으로 인하여 우리나라는 장마철에 접어들게 된다.
🌏 海: 바다 해 氣: 기운 기 團: 둥글 단 - 오리온자리 (Orion자리) : 쌍둥이자리와 에리다누스강자리 사이에 있는 별자리. 2월 초순에 자오선을 통과한다.
-
오매사복
(寤寐思服)
:
자나 깨나 늘 생각함.
🌏 寤: 깰 오 寐: 잠잘 매 思: 생각 사 服: 입을 복 -
오두막집
(오두幕집)
:
오두막처럼 작고 초라한 집.
🌏 幕: 막 막 -
오죽헌
(烏竹軒)
:
강원도 강릉시 죽헌동에 있는, 이율곡이 태어난 집. 뜰 안에 오죽이 있어 이 이름을 붙였다. 보물 정식 명칭은 ‘강릉 오죽헌’이다. 보물 제165호.
🌏 烏: 까마귀 오 竹: 대 죽 軒: 추녀 헌 -
오인
(五忍)
:
불보살의 다섯 가지 수행 단계. 법리(法理)를 깨닫고 마음이 평안히 머무는 정도에 따라 복인(伏忍), 신인(信忍), 순인(順忍), 무생인(無生忍), 적멸인(寂滅忍)으로 나눈다.
🌏 五: 다섯 오 忍: 참을 인 -
오만하다
(傲慢하다)
:
태도나 행동이 건방지거나 거만하다.
🌏 傲: 거만할 오 慢: 게으를 만 - 오들오들하다 : 무섭거나 추워서 몸이 잇따라 심하게 떨리다. 또는 그렇게 떨다.
-
오군
(五軍)
:
1
고려 시대에 둔, 전ㆍ후ㆍ좌ㆍ우ㆍ중의 다섯 군영(軍營).
2
조선 시대에, 임진왜란을 계기로 생긴 오군영에 속한 군대.
🌏 五: 다섯 오 軍: 군사 군 -
오목
(五目)
:
바둑 놀이의 하나. 두 사람이 흰 돌과 검은 돌을 가지고 한 개씩 번갈아 놓다가, 외줄로나 모로 다섯 개를 잇따라 먼저 놓는 사람이 이긴다.
🌏 五: 다섯 오 目: 눈 목 -
오시
(忤視)
:
상대편의 위세에 눌리지 아니하고 흘겨봄.
🌏 忤: 거스를 오 視: 볼 시 -
오백 진점겁
(五百塵點劫)
:
헤아릴 수 없는 무한한 시간.
🌏 五: 다섯 오 百: 일백 백 塵: 티끌 진 點: 점찍을 점 劫: 겁탈할 겁 -
오물장
(汚物場)
:
쓰레기나 배설물 따위의 지저분하고 더러운 물건을 버리는 곳.
🌏 汚: 더러울 오 物: 만물 물 場: 마당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