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 💕시작 단어 💡기 끝 18개
- 십 리 길에 점심 싸기 : 십 리밖에 안 되는 가까운 데를 가더라도 점심밥을 싸 가지고 다닌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나 준비를 든든히 할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십 리 눈치꾸러기 : 십 리 밖에서도 눈치를 챌 만큼 아주 눈치가 빠른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십일기
(十一技)
:
조선 시대에, 무과(武科)에서 실시하던 무예 과목. 초기에는 목전(木箭)ㆍ철전(鐵箭)ㆍ편전(片箭)ㆍ기사(騎射)ㆍ기창(騎槍)ㆍ격구(擊毬)의 여섯 과목이었으나, 후에 유엽전(柳葉箭)ㆍ과녁ㆍ조총(鳥銃)ㆍ편추(鞭芻)ㆍ강서(講書)를 첨가하여 열한 과목이 되었다.
🌏 十: 열 십 一: 하나 일 技: 재주 기 -
십자 마주나기
(十字마주나기)
:
마주나기를 하는 식물의 한 쌍의 잎과 다음 마디의 한 쌍의 잎이 직각(直角)을 이루며 나는 일. 위에서 보면 십자 모양을 이룬다. 수국이나 고추나물에서 볼 수 있다.
🌏 十: 열 십 字: 글자 자 -
십이기
(十二忌)
:
동양화의 산수화법에서 피하여야 할 열두 가지의 규칙. 중국 남송의 요자연(饒自然)이 말한 것이다.
🌏 十: 열 십 二: 두 이 忌: 꺼릴 기 -
십진계수기
(十進計數器)
:
열 개의 입력 펄스가 들어갔을 때, 한 개의 출력 펄스를 만드는 계수 회로 기기.
🌏 十: 열 십 進: 나아갈 진 計: 꾀할 계 數: 셀 수 器: 그릇 기 -
십종 경기
(十種競技)
:
한 선수가 이틀 동안 열 가지 종목을 겨루어 얻은 점수의 합계로 승부를 가리는 육상 경기. 남자 선수들만이 하며 첫날은 100미터 달리기, 멀리뛰기, 포환던지기, 높이뛰기, 400미터 달리기를 하고 둘째 날은 110미터 허들, 원반던지기, 장대높이뛰기, 창던지기, 1,500미터 달리기를 한다.
🌏 十: 열 십 種: 씨 종 競: 다툴 경 技: 재주 기 -
십진감쇠기
(十進減衰器)
:
전압이나 전류를 십진법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배치한 감쇠기.
🌏 十: 열 십 進: 나아갈 진 減: 덜 감 衰: 쇠할 쇠 器: 그릇 기 -
십자물구나무서기
(十字물구나무서기)
:
기계 체조에서 하는 링 기술의 하나. 물구나무서기를 한 채 두 팔을 수평으로 벌려 몸이 십자형이 되게 매달리는 동작이다.
🌏 十: 열 십 字: 글자 자 -
십자매달리기
(十字매달리기)
:
기계 체조의, 링 기술 가운데 하나. 두 팔을 수평으로 벌려 몸이 십자형이 되게 매달리는 동작이다.
🌏 十: 열 십 字: 글자 자 -
십현 연기
(十玄緣起)
:
화엄종에서, 일체 만유(萬有)가 서로 그지없는 관계를 가지고 조화로운 존재의 세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열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는 법문. 지엄(智儼)이 말한 고십현(古十玄)과 현수 법장(賢首法藏)이 계승한 신십현(新十玄)의 두 가지가 있다.
🌏 十: 열 십 玄: 검을 현 緣: 인연 연 起: 일어날 기 -
십이지 연기
(十二支緣起)
:
범부로서의 인간의 괴로운 생존이 열두 가지 요소의 순차적인 상관 관계에 의한 것임을 설명한 것. 진리에 대해 무지(無知)한 무명(無明)을 근본 원인으로 하여 행(行), 식(識), 명색(名色), 육처(六處), 촉(觸), 수(受), 애(愛), 취(取), 유(有), 생(生), 노사(老死)가 순차적으로 있게 된다고 한다.
🌏 十: 열 십 二: 두 이 支: 지탱할 지 緣: 인연 연 起: 일어날 기 -
십이 연기
(十二緣起)
:
범부로서의 인간의 괴로운 생존이 열두 가지 요소의 순차적인 상관 관계에 의한 것임을 설명한 것. 진리에 대해 무지(無知)한 무명(無明)을 근본 원인으로 하여 행(行), 식(識), 명색(名色), 육처(六處), 촉(觸), 수(受), 애(愛), 취(取), 유(有), 생(生), 노사(老死)가 순차적으로 있게 된다고 한다.
🌏 十: 열 십 二: 두 이 緣: 인연 연 起: 일어날 기 -
십부기
(十部伎)
:
중국 당나라 태종 때, 구부기를 확대 제정 한 열 가지 춤곡. 연악(燕樂), 청상기, 서량기, 부남기, 고려기, 구자기, 안국기, 소륵기, 강국기, 고창기 따위를 이른다.
🌏 十: 열 십 部: 나눌 부 伎: 재주 기 -
십팔기
(十八技)
:
조선 영조 때에, 중국의 무예육기(武藝六技)에 열두 가지를 더한 무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열두 가지 무예에는 죽장창(竹長槍), 기창(旗槍), 예도(銳刀), 왜검(倭劍), 교전(交戰), 월도(月刀), 협도(挾刀), 쌍검(雙劍), 제독검(提督劍), 본국검(本國劍), 권법(拳法), 편곤(鞭棍)이 있다.
🌏 十: 열 십 八: 여덟 팔 技: 재주 기 -
십자썰기
(十字썰기)
:
감자, 무 따위를 먼저 세로로 ‘十’ 자 모양으로 썰고 뉘어 다시 적당한 크기로 써는 방법.
🌏 十: 열 십 字: 글자 자 -
십년지기
(十年知己)
:
오래전부터 친히 사귀어 잘 아는 사람.
🌏 十: 열 십 年: 해 년 知: 알 지 己: 몸 기 -
십자조르기
(十字조르기)
:
유도에서, 상대편과 마주 보는 위치에서 상대편의 옷깃을 잡고 두 팔이 엇갈려 십자형이 되도록 하여 상대편의 목을 조르는 기술.
🌏 十: 열 십 字: 글자 자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 분야로 구분한 통계
▹ 사용된 한자로 구분한 통계
▹ 끝나는 글자로 구분한 통계
💡십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6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0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