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 💕시작 단어 💡역사 분야 35개
-
십이주
(十二州)
:
고려 성종 2년(983)에 둔 열두 지방관. 황주, 해주, 양주(楊州), 광주(廣州), 충주, 청주, 공주, 전주, 나주, 승주(昇州), 진주, 상주에 두었다.
🌏 十: 열 십 二: 두 이 州: 고을 주 -
십위
(十衛)
:
조선 태조 원년(1392)에 둔 군대의 편제. 의흥친군위(義興親軍衛)에 속한 좌위(左衛), 우위(右衛), 응양위(應揚衛), 금오위(金吾衛), 좌우위(左右衛), 신호위(神虎衛), 흥위위(興威衛), 비순위(備巡衛), 천우위(天牛衛), 감문위(監門衛)가 있는데 태조 4년(1395)에 십사(十司)로 개편하였다.
🌏 十: 열 십 衛: 지킬 위 -
십이사
(十二司)
:
1
조선 초기에, 의흥삼군부의 십사에서 확장ㆍ개편한 군제(軍制).
2
구한말에, 개화 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통리기무아문 아래 둔 열두 기구. 사대(事大), 교린(交鄰), 군무(軍務), 변정(邊政), 통상(通商), 군물(軍物), 기계(機械), 선함(船艦), 기연(譏沿), 어학(語學), 전선(典選), 이용(利用)이다.
🌏 十: 열 십 二: 두 이 司: 맡을 사 -
십일제
(十一除)
:
1
열에서 하나를 덜어 냄.
2
조선 시대에, 장색(匠色)이 일터에서 필요한 물건을 주문하면 그 물건을 파는 상인이 물건값에서 10분의 1을 심부름 온 사람에게 주던 일.
🌏 十: 열 십 一: 하나 일 除: 덜 제 -
십이국
(十二國)
:
중국 오대십국과 기(岐)와 연(燕)을 통틀어 이르는 말.
🌏 十: 열 십 二: 두 이 國: 나라 국 -
십일기
(十一技)
:
조선 시대에, 무과(武科)에서 실시하던 무예 과목. 초기에는 목전(木箭)ㆍ철전(鐵箭)ㆍ편전(片箭)ㆍ기사(騎射)ㆍ기창(騎槍)ㆍ격구(擊毬)의 여섯 과목이었으나, 후에 유엽전(柳葉箭)ㆍ과녁ㆍ조총(鳥銃)ㆍ편추(鞭芻)ㆍ강서(講書)를 첨가하여 열한 과목이 되었다.
🌏 十: 열 십 一: 하나 일 技: 재주 기 -
십사 개조
(十四個條)
:
1918년에 미국의 윌슨 대통령이 발표한 제일 차 세계 대전 전후(戰後)의 처리 조항. 그 내용은 비밀 외교의 폐지, 공해(公海) 항해의 자유, 경제 장벽의 철폐와 통상 조약의 평등, 군비 축소, 민족 자결 원칙에 의한 식민지의 조정, 국제 연맹 기구의 설립 제창 따위이다.
🌏 十: 열 십 四: 넉 사 個: 낱 개 條: 가지 조 -
십국
(十國)
:
중국에서 당나라가 멸망한 뒤부터 송나라가 통일할 때까지 흥망한 왕조. 또는 그 시대. 중원(中原)을 중심으로 후량(後梁), 후당(後唐), 후진(後晉), 후한(後漢), 후주(後周)의 다섯 왕조와 중원 이외 지방의 전촉(前蜀), 오(吳), 남한(南漢), 형남(荊南), 오월(吳越), 초(楚), 민(閩), 남당(南唐), 후촉(後蜀), 북한(北漢)의 열 나라를 이른다.
🌏 十: 열 십 國: 나라 국 -
십장
(什長)
:
1
일꾼들을 감독ㆍ지시하는 우두머리.
2
병졸 열 사람의 우두머리.
🌏 什: 열 사람 십 長: 길 장 -
십사
(十司)
:
조선 태조 4년(1395)에 정도전의 제의에 따라 십위(十衛)를 개편한 군대 편제. 중군, 좌군, 우군에 속하게 하였는데 태종 18년(1418)에 십이사로 개편하였다.
🌏 十: 열 십 司: 맡을 사 -
십칠사
(十七史)
:
중국 태고(太古)에서 오대(五代)까지의 17정사(正史). ≪사기≫, ≪한서≫, ≪후한서≫, ≪삼국지≫, ≪진서(晉書)≫, ≪송서≫, ≪남제서≫, ≪양서≫, ≪진서(陳書)≫, ≪후위서(後魏書)≫, ≪북제서≫, ≪주서≫, ≪수서≫, ≪남사≫, ≪북사≫, ≪신당서≫, ≪신오대사≫를 이른다.
🌏 十: 열 십 七: 일곱 칠 史: 역사 사 -
십정
(十停)
:
신라 때에, 지방에 비치한 열 군대. 음리화정(音里火停), 고량부리정(古良夫里停), 거사물정(居斯勿停), 삼량화정(參良火停), 소삼정(召參停), 미다부리정(未多夫里停), 남천정(南川停), 골내근정(骨乃斤停), 벌력천정(伐力川停), 이화혜정(伊火兮停)을 이른다.
🌏 十: 열 십 停: 머무를 정 -
십일제하다
(十一除하다)
:
1
열에서 하나를 덜어 내다.
2
조선 시대에, 장색(匠色)이 일터에서 필요한 물건을 주문하면 그 물건을 파는 상인이 물건값에서 10분의 1을 심부름 온 사람에게 주다.
🌏 十: 열 십 一: 하나 일 除: 덜 제 -
십육국
(十六國)
:
중국 진(晉)나라 때에, 오호(五胡)가 세운 열여섯 나라.
🌏 十: 열 십 六: 여섯 육 國: 나라 국 -
십이 동표
(十二銅表)
:
기원전 451년과 449년의 두 번에 걸쳐 제정된 고대 로마의 최초의 성문법. 열두 장의 동판에 민사 소송법, 사법, 형법, 제사법, 가족법, 상속법 따위를 포괄적으로 새겨서 공시하였다.
🌏 十: 열 십 二: 두 이 銅: 구리 동 表: 겉 표 -
십악대죄
(十惡大罪)
:
조선 시대에, 대명률(大明律)에 정한 열 가지 큰 죄. 모반죄(謀反罪), 모대역죄(謀大逆罪), 모반죄(謀叛罪), 악역죄(惡逆罪), 부도죄(不道罪), 대불경죄(大不敬罪), 불효죄(不孝罪), 불목죄(不睦罪), 불의죄(不義罪), 내란죄(內亂罪)를 이른다.
🌏 十: 열 십 惡: 악할 악 大: 큰 대 罪: 허물 죄 -
십이 동판법
(十二銅板法)
:
기원전 451년과 449년의 두 번에 걸쳐 제정된 고대 로마의 최초의 성문법. 열두 장의 동판에 민사 소송법, 사법, 형법, 제사법, 가족법, 상속법 따위를 포괄적으로 새겨서 공시하였다.
🌏 十: 열 십 二: 두 이 銅: 구리 동 板: 널빤지 판 法: 법도 법 -
십이표법
(十二表法)
:
기원전 451년과 449년의 두 번에 걸쳐 제정된 고대 로마의 최초의 성문법. 열두 장의 동판에 민사 소송법, 사법, 형법, 제사법, 가족법, 상속법 따위를 포괄적으로 새겨서 공시하였다.
🌏 十: 열 십 二: 두 이 表: 겉 표 法: 법도 법 -
십도
(十道)
:
고려 성종 14년(995)에, 전국을 열로 나누어 둔 행정 구역. 강남도, 관내도, 삭방도, 산남도, 영남도, 영동도, 중원도, 패서도, 하남도, 해양도를 이르는데 절도사가 다스렸다.
🌏 十: 열 십 道: 길 도 -
십가장
(十家長)
:
한패로 묶은 열 집의 책임자. 일제가 보갑 제도를 만들고 그 말단 조직인 패에 두었다.
🌏 十: 열 십 家: 집 가 長: 길 장 -
십이 열국
(十二列國)
:
중국 춘추 전국 시대의 열두 나라. 노(魯), 위(衛), 진(晉), 정(鄭), 조(曹), 채(蔡), 연(燕), 제(齊), 진(陳), 송(宋), 초(楚), 진(秦)이다.
🌏 十: 열 십 二: 두 이 列: 벌일 열 國: 나라 국 -
십이목
(十二牧)
:
고려 성종 2년(983)에 둔 열두 지방관. 황주, 해주, 양주(楊州), 광주(廣州), 충주, 청주, 공주, 전주, 나주, 승주(昇州), 진주, 상주에 두었다.
🌏 十: 열 십 二: 두 이 牧: 칠 목 -
십고십상
(十考十上)
:
관원의 성적을 매기는 등급 가운데 최상의 등급. 경관(京官)은 각 청(廳)의 장관, 지방관은 감사에게 1년에 두 차례 부하 관원들의 근무 성적을 평가받아 상중하의 세 급으로 나눌 때, 동일한 직에 있는 사람이 다섯 해 동안 늘 상급의 성적을 얻었을 때를 이른다.
🌏 十: 열 십 考: 상고할 고 十: 열 십 上: 위 상 -
십팔 학사
(十八學士)
:
당나라 태종 진왕 때, 열여덟 명의 문학관 학사. 두여회(杜如晦), 방현령(房玄齡), 우지령(于志寧), 소세장(蘇世長), 설수(薛收), 저양(褚亮), 요사렴(姚思廉), 육덕명(陸德明), 공영달(孔穎達), 이현도(李玄道), 이수소(李守素), 우세남(虞世南), 채윤공(蔡允恭), 안상시(顔相時), 허경종(許敬宗), 개문달(蓋文達), 설원경(薛元敬), 소욱(蘇勖)이 있다. 소욱이 죽은 후에는 유효손(劉孝孫)으로 채웠다. 진왕은 염입본에게 이들의 모습을 그리게 하고 저양에게 찬(贊)을 짓게 하였다.
🌏 十: 열 십 八: 여덟 팔 學: 배울 학 士: 선비 사 -
십이초
(十二抄)
:
조선 시대에, 승보시(陞補試)를 열두 번에 나누어 보이던 일. 음력 6월, 7월, 11월, 12월을 뺀 나머지 여덟 달에 열두 번으로 나누어 보게 하였는데, 나중에는 시월에 한꺼번에 보게 하였다.
🌏 十: 열 십 二: 두 이 抄: 베낄 초 -
십자군
(十字軍)
:
1
이상이나 신념을 위해 집단적으로 싸우는 사람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중세 유럽에서, 기독교도가 팔레스타인과 예루살렘을 이슬람교도로부터 다시 찾기 위하여 일으킨 원정. 또는 그 원정대. 종군자(從軍者)가 십자의 기장(記章)을 단 데서 유래하는데, 1096년부터 13세기 후반까지 7회에 걸쳐 약 700만을 동원하였으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 十: 열 십 字: 글자 자 軍: 군사 군 -
십일월 혁명
(十一月革命)
:
1
1918년 11월에 독일에서 독립 사회 민주당과 스파르타쿠스단(Spartacus團)이 중심이 되어 공화제와 노동자 정부 수립을 목표로 일으킨 혁명.
2
1917년 11월에 러시아에서 일어난 프롤레타리아 혁명. 레닌이 지도하는 볼셰비키가 주동이 되어 페테르부르크에서 무장봉기하여 전국에 파급되었다. 그 결과 케렌스키의 임시 정권이 무너지고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인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되었다.
🌏 十: 열 십 一: 하나 일 月: 달 월 革: 가죽 혁 命: 목숨 명 -
십삼도
(十三道)
:
조선 고종 33년(1896)에 지방 제도의 개정에 따라 구획한 열세 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경기도, 황해도, 강원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를 이른다.
🌏 十: 열 십 三: 석 삼 道: 길 도 -
십이 사화
(十二士禍)
:
조선 시대에 일어난 열두 사화. 계유사화, 병자사화,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신사사화, 을사사화, 정미사화, 기유사화, 계축사화, 기사사화, 신임사화를 이른다.
🌏 十: 열 십 二: 두 이 士: 선비 사 禍: 재앙 화 -
십학
(十學)
:
조선 태종 6년(1406)에 하륜의 주청에 따라 만든 열 가지 관리 임용 시험 과목. 유학(儒學), 자학(字學), 무학(武學), 이학(理學), 역학(易學), 음양풍수학(陰陽風水學), 의학(醫學), 율학(律學), 산학(算學), 악학(樂學)이다.
🌏 十: 열 십 學: 배울 학 -
십이 공도
(十二公徒)
:
고려 시대에, 개경(開京)에 있던 열두 사학(私學). 문헌공도(文憲公徒), 홍문공도(弘文公徒), 광헌공도(匡憲公徒), 남산도(南山徒), 서원도(西園徒), 문충공도(文忠公徒), 양신공도(良愼公徒), 정경공도(貞敬公徒), 충평공도(忠平公徒), 정헌공도(貞憲公徒), 서시랑도(徐侍郞徒), 귀산도(龜山徒)를 이른다.
🌏 十: 열 십 二: 두 이 公: 공변될 공 徒: 무리 도 걸을 도 헛될 도 부릴 도 하인 도 고난 도 풍조를따를 도 문도 도 수행원 도 홀로 도 -
십이월당원
(十二月黨員)
:
1825년 12월에 러시아에서 최초의 근대적 혁명을 꾀하였던 자유주의자들. 러시아어로 12월을 가리키는 말에서 유래하였으며, 나폴레옹 전쟁에서 자유주의 사상을 받아들인 청년 장교들이 모체가 되어 무장봉기를 일으켰다.
🌏 十: 열 십 二: 두 이 月: 달 월 黨: 무리 당 員: 관원 원 -
십이도
(十二徒)
:
고려 시대에, 개경(開京)에 있던 열두 사학(私學). 문헌공도(文憲公徒), 홍문공도(弘文公徒), 광헌공도(匡憲公徒), 남산도(南山徒), 서원도(西園徒), 문충공도(文忠公徒), 양신공도(良愼公徒), 정경공도(貞敬公徒), 충평공도(忠平公徒), 정헌공도(貞憲公徒), 서시랑도(徐侍郞徒), 귀산도(龜山徒)를 이른다.
🌏 十: 열 십 二: 두 이 徒: 무리 도 걸을 도 헛될 도 부릴 도 하인 도 고난 도 풍조를따를 도 문도 도 수행원 도 홀로 도 -
십사 개조 평화 원칙
(十四個條平和原則)
:
1918년에 미국의 윌슨 대통령이 발표한 제일 차 세계 대전 전후(戰後)의 처리 조항. 그 내용은 비밀 외교의 폐지, 공해(公海) 항해의 자유, 경제 장벽의 철폐와 통상 조약의 평등, 군비 축소, 민족 자결 원칙에 의한 식민지의 조정, 국제 연맹 기구의 설립 제창 따위이다.
🌏 十: 열 십 四: 넉 사 個: 낱 개 條: 가지 조 平: 평평할 평 和: 화목할 화 原: 근원 원 則: 법 칙 -
십당
(十幢)
:
신라 때에, 지방에 비치한 열 군대. 음리화정(音里火停), 고량부리정(古良夫里停), 거사물정(居斯勿停), 삼량화정(參良火停), 소삼정(召參停), 미다부리정(未多夫里停), 남천정(南川停), 골내근정(骨乃斤停), 벌력천정(伐力川停), 이화혜정(伊火兮停)을 이른다.
🌏 十: 열 십 幢: 기 당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 분야로 구분한 통계
▹ 사용된 한자로 구분한 통계
▹ 끝나는 글자로 구분한 통계
💡십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6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0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