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 💕시작 단어 💡문학 분야 17개
-
심상
(心象/心像)
:
1
이전에 경험한 것이 마음속에서 시각적으로 나타나는 상. 백두산을 머리에 그리는 경우, 지각만큼 생생하지는 못하더라도 그 형태라든가 산꼭대기에 쌓인 눈 따위가 떠오른다. 이것이 백두산의 심상이다.
2
감각에 의하여 획득한 현상이 마음속에서 재생된 것.
🌏 心: 마음 심 象: 코끼리 상 상아 상 상징 상 형상 상 징조 상 용모 상 상상 상 법제 상 역법 상 본받을 상 心: 마음 심 像: 모양 상 -
심판
(審判)
:
1925년에 독일의 카프카가 지은 장편 소설. 인간이 정체불명의 거대한 힘에 의하여 지배되고 농락당하는 비극을 나타낸 작품이다.
🌏 審: 살필 심 判: 판가름할 판 -
심우가
(尋牛歌)
:
고려 시대의 가사. 허무한 세속에서 벗어나 불도에서 진리를 찾을 것을 권하는 내용이다. 저자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尋: 찾을 심 牛: 소 우 歌: 노래 가 -
심진곡
(尋眞曲)
:
조선 정조 때 이기경이 지은 가사. 가톨릭교를 혹평하고 유교를 권하는 내용으로 모두 257구로 되어 있다.
🌏 尋: 찾을 심 眞: 참 진 曲: 굽을 곡 -
심미주의
(審美主義)
:
아름다움을 최고의 가치로 여겨 이를 추구하는 문예 사조. 19세기 후반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 나타났으며, 페이터, 보들레르, 와일드 등이 대표적 인물이다.
🌏 審: 살필 심 美: 아름다울 미 主: 주인 주 義: 옳을 의 순응할 의 명분 의 문체이름 의 뜻 의 가짜 의 은의 의 착할 의 의론 의 공정할 의 -
심리 묘사
(心理描寫)
:
소설 따위에서, 작중 인물의 심리 상태나 심리의 변화를 그려 내는 일.
🌏 心: 마음 심 理: 다스릴 리 描: 그릴 묘 寫: 베낄 사 -
심리 소설
(心理小說)
:
작중 인물의 심리 상태와 심리적 추이를 분석하고 묘사하는 소설. 19세기 스탕달의 <적과 흑>에서 확립되어 도스토옙스키와 제임스를 거쳐 완성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이상의 <날개>에서 처음 시도되었다.
🌏 心: 마음 심 理: 다스릴 리 小: 작을 소 說: 말씀 설 -
심청
(沈淸)
:
고대 소설 <심청전>의 여자 주인공.
🌏 沈: 성 심 淸: 맑을 청 -
심경 소설
(心境小說)
:
작가의 일상생활을 소재로 하여 자신의 솔직한 심경을 그린 소설.
🌏 心: 마음 심 境: 지경 경 小: 작을 소 說: 말씀 설 -
심미 비평
(審美批評)
:
비평의 기준을 쾌감이나 미감의 추출, 분석에 두는 주관적인 문예 비평.
🌏 審: 살필 심 美: 아름다울 미 批: 비평할 비 비파 비 칠 비 물리칠 비 깎을 비 비답 비 보일 비 개선할 비 평어 비 評: 품평 평 - 심벌 (symbol) : 1 추상적인 사물이나 관념 또는 사상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는 일. 또는 그 사물. 예를 들면 ‘비둘기’라는 구체적인 사물로 ‘평화’라는 추상적인 관념을 나타내는 것 따위가 있다. 2 어떠한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쓰이는 부호, 문자, 표지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심청전
(沈淸傳)
:
조선 후기의 소설. 주인공 심청이 아버지 심학규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하여 공양미 삼백 석에 자신을 팔아 인당수에 빠졌으나, 상제(上帝)의 도움으로 나라의 왕후가 되어 아버지를 만나고 아버지도 눈을 뜨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沈: 성 심 淸: 맑을 청 傳: 전할 전 -
심회가
(心懷歌)
:
조선 시대의 규방 가사. 시집살이하는 여인의 괴로운 심정을 읊은 내용으로 영남 지방에 전하여진다.
🌏 心: 마음 심 懷: 품을 회 歌: 노래 가 -
심연에서
(深淵에서)
:
영국의 작가 와일드의 옥중 수기. 1895년에 동성애 사건으로 형무소에 수감되어 자신의 죄를 참회하면서 비애의 아름다움, 그리스도의 수난과 의미 따위를 기술하였다. 1905년에 출판되었다.
🌏 深: 깊을 심 淵: 못 연 - 심벌리즘 (symbolism) : 상징적인 방법에 의하여 어떤 정조나 감정 따위를 암시적으로 표현하려는 태도나 경향. 19세기 말 프랑스를 중심으로, 사실주의나 자연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났다.
-
심상주의
(心象主義)
:
제일 차 세계 대전 말기부터 영국과 미국에서 일어난 신시(新詩) 운동. 파운드가 주창한 것으로, 형식주의에 반대하며 시 창작에서 일상어를 쓰고 자유시의 형태를 취하되 리듬과 이미지를 창출하며, 제재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집중력을 중시할 것을 주장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34년 김기림과 최재서가 영미의 이론을 소개하였고 김기림, 정지용, 김광균 등이 이 경향의 작품을 창작하였다.
🌏 心: 마음 심 象: 코끼리 상 상아 상 상징 상 형상 상 징조 상 용모 상 상상 상 법제 상 역법 상 본받을 상 主: 주인 주 義: 옳을 의 순응할 의 명분 의 문체이름 의 뜻 의 가짜 의 은의 의 착할 의 의론 의 공정할 의 -
심사
(心史)
:
조선 순조 때 정기화(鄭琦和)가 지은 한문 소설. 인간의 마음을 의인화하여, 태어나면서부터 30세까지의 심성의 변화를 연대적으로 그려 나간 우화 소설이다.
🌏 心: 마음 심 史: 역사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