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시작 단어 💡식물 분야 11개
- 성냥골 :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0cm 정도이며, 잎은 없다. 7~10월에 꽃이 피며, 붉은 갈색의 작은 이삭은 달걀 모양이거나 피침 모양이고 열매는 누런 갈색의 수과(瘦果)이다. 바닷가의 습지에서 자라는데 한국, 사할린, 북아메리카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
성호원
(聖護院)
:
무 품종의 하나. 잎은 작으나 밑동이 둥글고 커서 김장에 많이 쓴다.
🌏 聖: 성인 성 護: 보호할 호 院: 집 원 - 성긴털제비꽃 :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잎자루가 길며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5~6월에 연보라색 꽃이 긴 꽃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 성주풀 : 현삼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20~40cm이며, 잎은 마주나고 끝이 뾰족한 피침 모양이다. 8~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줄기 끝에 노란 꽃이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삭과(蒴果)를 맺는다. 습지에서 자라는데, 동아시아의 열대와 온대 지방에 분포한다.
-
성등
(省藤)
:
콩과의 낙엽 덩굴성 식물. 줄기는 길이가 10미터 정도이고 마디가 있다. 잎은 겹잎이며 소엽은 길이가 4~8cm이고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다. 여름에 자주색의 잔꽃이 총상(總狀) 화서를 이루며 열매는 협과(莢果)를 맺는다.
🌏 省: 살필 성 藤: 등나무 등 -
성장계
(成長計)
:
고등 식물의 생장을 재는 장치. 식물의 싹에 맨 실을 도르래에 걸어 그 생장을 확대시켜 나타내는 페퍼식(pfeffer式) 생장계, 나무줄기 주위에 철사를 감아 그 부피 생장을 자동으로 기록하는 수경 생장계 따위가 있다.
🌏 成: 이룰 성 長: 길 장 計: 꾀할 계 -
성성목
(猩猩木)
:
대극과의 상록 활엽 관목. 높이는 2~3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피침 모양이다. 가지와 원줄기 끝에 달리는 잎은 피침 모양으로 돌려나는 것처럼 보이고 짙은 붉은색ㆍ흰색을 띠며 꽃잎처럼 보인다. 꽃은 가지 끝에 10여 송이가 모여 달리고, 직경 5~6mm이다. 관상용이고 성탄절 장식에 쓰인다.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온실에서 자란다.
🌏 猩: 성성이 성 猩: 성성이 성 木: 나무 목 -
성장 운동
(成長運動)
:
식물이 생장할 때에, 식물체의 각 부분에서 생장 속도의 차이 때문에 나타나는 운동. 자극에 의한 굴성(屈性)이나 경성(傾性)이 대부분인데 자극에 의하지 않는 자발적인 운동도 있다. 굴성 운동에는 줄기의 굴광성(屈光性)이나 뿌리의 굴지성(屈地性), 굴수성(屈水性) 따위가 있으며, 감성 반응에는 수면 운동 따위가 있다.
🌏 成: 이룰 성 長: 길 장 運: 운전할 운 動: 움직일 동 -
성장소
(成長素)
:
1
포유류의 성장을 촉진하는 단백질 호르몬. 뇌하수체 앞엽에서 분비하는데 소아기에 과잉일 때에는 거인증이 되고, 성인 이후에 과잉일 때에는 말단 비대증이 되며 성장기 이전에 부족하면 소인증이 된다.
2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생장 호르몬의 하나. 식물의 싹과 뿌리의 생장점에서 만들어져 길이 생장을 하며, 사람의 오줌, 옥수수기름, 보리 싹 따위에 포함되어 있다. 빛으로 파괴되며 이 호르몬의 분포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굴광성(屈光性)이 일어난다.
🌏 成: 이룰 성 長: 길 장 素: 흴 소 -
성수채
(星宿菜)
: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40~7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거꾸로 된 피침 모양이다. 7~8월에 흰색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습지에서 자라는데 한국의 전남ㆍ제주,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 星: 별 성 宿: 성수 수 菜: 나물 채 -
성장점
(成長點)
:
식물의 줄기나 뿌리 끝에 있으며 생장을 현저하게 하고 있는 부분. 수정란에서 배를 거쳐 생기는 싹에서는 식물체의 선단부에서 활발히 세포 분열을 하여 식물의 생장을 이룬다. 화본과(禾本科) 식물의 줄기와 같이 마디 사이의 부분에 있는 것도 있다.
🌏 成: 이룰 성 長: 길 장 點: 점찍을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