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시작 단어 💡불교 분야 65개
-
성주산문
(聖住山門)
:
신라 때에, 선종 구산문(九山門)의 하나. 문성왕 7년에 무염 선사(禪師)가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에 성주사를 중창하고 개산(開山)하였다.
🌏 聖: 성인 성 住: 살 주 山: 뫼 산 門: 문 문 -
성
(性)
:
1
나면서부터 지닌 본연의 성품이나 그 자체. 현상 차별의 상대적 모양에 대하여 오온(五蘊), 평등 진여(眞如)를 이른다.
2
사람이나 사물 따위의 본성이나 본바탕.
3
남성과 여성, 수컷과 암컷의 구별. 또는 남성이나 여성의 육체적 특징.
... (총 5개의 의미)
🌏 性: 성품 성 -
성만
(成滿)
:
일체를 완성ㆍ성취(成就)함.
🌏 成: 이룰 성 滿: 찰 만 -
성도하다
(成道하다)
:
1
도를 닦아 이루다. 또는 학문의 참뜻을 깊이 체득하다.
2
깨달아 부처가 되다. 특히 석가모니가 음력 12월 8일에 보리수 아래서 큰 도(道)를 이룬 일을 이른다.
🌏 成: 이룰 성 道: 길 도 -
성화
(聖花)
:
부처 앞에 바치는 꽃.
🌏 聖: 성인 성 花: 꽃 화 -
성도절
(成道節)
:
석가모니의 성도(成道)를 기념하는 날. 음력 12월 8일이다.
🌏 成: 이룰 성 道: 길 도 節: 마디 절 -
성죄
(性罪)
:
어떤 환경에 있는 사람이 저질러도 그 자체가 죄악인 행위. 살생, 도둑질, 음행, 거짓말 따위이다.
🌏 性: 성품 성 罪: 허물 죄 -
성불득탈
(成佛得脫)
:
성불하여 해탈의 덕을 얻음.
🌏 成: 이룰 성 佛: 부처 불 得: 얻을 득 脫: 벗을 탈 -
성심
(性心)
:
사람들이 타고난 본성으로서의 깨끗한 마음.
🌏 性: 성품 성 心: 마음 심 -
성도회
(成道會)
:
석가모니의 성도(成道)를 기념하는 음력 12월 8일에 여는 법회.
🌏 成: 이룰 성 道: 길 도 會: 모일 회 -
성상
(成相)
:
육상의 하나. 우주 만물의 여러 가지 존재가 서로 의지하여 동일체(同一體)를 이루는 형상을 이른다.
🌏 成: 이룰 성 相: 서로 상 -
성과
(聖果)
:
성자가 수행을 쌓아 얻은 진정한 과보(果報). 열반을 이른다.
🌏 聖: 성인 성 果: 열매 과 -
성중
(聖衆)
:
1
성자의 무리. 부처와 성문, 연각, 보살 따위를 이른다.
2
극락에 있는 모든 보살.
🌏 聖: 성인 성 衆: 무리 중 -
성명사
(聲明師)
:
성명(聲明)의 이치에 정통한 사람.
🌏 聲: 소리 성 明: 밝을 명 師: 스승 사 -
성공
(性空)
:
모든 사물은 인연의 화합에 의한 것이어서 그 본성은 실재하지 않고 공허하다는 말. 모든 존재의 실상(實相)을 의미한다.
🌏 性: 성품 성 空: 빌 공 -
성문정성
(聲聞定性)
:
오성의 하나. 아라한이 될 무루 종자(無漏種子)를 가진 성품이다.
🌏 聲: 소리 성 聞: 들을 문 定: 정할 정 性: 성품 성 -
성주산
(聖住山)
:
신라 때에, 선종 구산문(九山門)의 하나. 문성왕 7년에 무염 선사(禪師)가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에 성주사를 중창하고 개산(開山)하였다.
🌏 聖: 성인 성 住: 살 주 山: 뫼 산 -
성문승
(聲聞僧)
:
성문승(聲聞乘)을 닦는 승려.
🌏 聲: 소리 성 聞: 들을 문 僧: 중 승 -
성승
(聖僧)
:
1
식당의 상좌(上座)에 두는 고승(高僧)의 상(像). 식사 때에 식사를 공양한다.
2
덕이 높은 승려.
🌏 聖: 성인 성 僧: 중 승 -
성계
(性戒)
:
행위 자체가 본질적으로 죄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금지 여부를 불문하고 스스로 죄가 되는 일을 경계하는 일. 살생계, 투도계, 사음계, 망어계 따위가 있다.
🌏 性: 성품 성 戒: 경계할 계 -
성종
(性宗)
:
일체 만유는 모두 같은 법성을 지녔으며 모든 중생은 성불할 수 있다는 종지(宗旨)를 편 종파. 신라 때 원효가 분황사를 근본 도량으로 하여 개창하였다.
🌏 性: 성품 성 宗: 마루 종 -
성문 사과
(聲聞四果)
:
성문들이 얻는 네 단계의 깨달음. 수다원과, 사다함과, 아나함과, 아라한과이다.
🌏 聲: 소리 성 聞: 들을 문 四: 넉 사 果: 열매 과 -
성득
(性得)
:
학문이나 수행 따위의 수단에 의하지 아니하고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것.
🌏 性: 성품 성 得: 얻을 득 -
성불
(成佛)
:
1
부처가 되는 일. 보살이 자리(自利)와 이타(利他)의 덕을 완성하여 궁극적인 깨달음의 경지를 실현하는 것을 이른다.
2
사람이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成: 이룰 성 佛: 부처 불 -
성불도
(成佛道)
:
부처가 되는 일. 보살이 자리(自利)와 이타(利他)의 덕을 완성하여 궁극적인 깨달음의 경지를 실현하는 것을 이른다.
🌏 成: 이룰 성 佛: 부처 불 道: 길 도 -
성성위
(聖性位)
:
수행이 원숙(圓熟)하여 처음으로 진리를 보는 지위.
🌏 聖: 성인 성 性: 성품 성 位: 자리 위 -
성불하다
(成佛하다)
:
1
(비유적으로) 사람이 죽다.
2
부처가 되다. 보살이 자리(自利)와 이타(利他)의 덕을 완성하여 궁극적인 깨달음의 경지를 실현하는 일을 이른다.
🌏 成: 이룰 성 佛: 부처 불 -
성유식론
(成唯識論)
:
법상종의 주요 경전. 바수반두의 유심(唯心) 사상의 대표작인 ≪유식삼십송≫을 해석한 여러 학설을 중국 당나라 현장이 비판적으로 종합하여 번역하였다. 팔식(八識)을 자세히 말하여 인식의 과정을 명확히 하고 실천 수행의 다섯 계위를 밝히고 있다.
🌏 成: 이룰 성 唯: 오직 유 識: 알 식 論: 논의할 론 -
성행
(聖行)
:
보살이 자신의 해탈을 위하여 수행하는 계율ㆍ선정(禪定)ㆍ지혜의 삼학(三學).
🌏 聖: 성인 성 行: 다닐 행 -
성언량
(聖言量)
:
석가모니 등 성자의 가르침에 기준을 두고 여러 가지 뜻을 헤아려 아는 일.
🌏 聖: 성인 성 言: 말씀 언 量: 헤아릴 량 -
성명절
(聲明節)
:
성명(聲明)의 곡절(曲節).
🌏 聲: 소리 성 明: 밝을 명 節: 마디 절 -
성덕
(性德)
:
중생이 선천적으로 갖추고 있는 덕.
🌏 性: 성품 성 德: 덕 덕 -
성관음법
(聖觀音法)
:
밀교에서, 성관음을 본존으로 하여 기도하는 수행 방법.
🌏 聖: 성인 성 觀: 볼 관 音: 소리 음 法: 법도 법 -
성수겁
(星宿劫)
:
삼겁(三劫)의 하나. 현재의 대겁인 현겁 다음에 올 미래의 대겁(大劫)이다. 이 겁 동안 천 명의 부처가 나타나는 것이 하늘의 별과 같다고 하여 이르는 말이다.
🌏 星: 별 성 宿: 성수 수 劫: 겁탈할 겁 -
성소작지
(成所作智)
:
사지의 하나. 모든 것을 완성으로 인도하는 지혜이다.
🌏 成: 이룰 성 所: 바 소 作: 지을 작 智: 지혜 지 -
성군
(星君)
:
북두칠성의 낱낱을 신으로 이르는 말. 탐랑 성군, 거문 성군, 녹존 성군, 문곡 성군, 염정 성군, 무곡 성군, 파군 성군이다.
🌏 星: 별 성 君: 임금 군 -
성도
(聖道)
:
1
성인의 길. 또는 성인의 거룩한 도.
2
이 세상에서 스스로의 힘으로 번뇌를 끊고 성불하는 교법(敎法). 정토교에서 깨달음을 얻는 방법의 하나이다.
🌏 聖: 성인 성 道: 길 도 -
성문장
(聲聞藏)
:
1
삼장(三藏)의 하나. 성문이 수행할 교법과 증과(證果)를 말한 대승 경전을 이른다.
2
성문과 연각을 위하여 설한 사제(四諦), 십이 인연(十二因緣) 따위의 가르침.
🌏 聲: 소리 성 聞: 들을 문 藏: 감출 장 -
성교량
(聖敎量)
:
석가모니 등 성자의 가르침에 기준을 두고 여러 가지 뜻을 헤아려 아는 일.
🌏 聖: 성인 성 敎: 가르칠 교 量: 헤아릴 량 -
성제
(聖諦)
:
진실해서 헛되지 않은 성스러운 진리. 또는 그런 가르침.
🌏 聖: 성인 성 諦: 울 제 -
성공
(聖供)
:
삼보(三寶)의 공양물.
🌏 聖: 성인 성 供: 이바지할 공 -
성욕
(性欲)
:
버릇으로 길들여진 성향(性向)과 욕망.
🌏 性: 성품 성 欲: 하고자 할 욕 -
성해
(性海)
:
진여(眞如)의 이성이 깊고 넓음을 바다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덕(佛德)이 원만히 구비된 경지이다.
🌏 性: 성품 성 海: 바다 해 -
성겁
(成劫)
:
사겁의 하나. 세계가 파괴되어 없어진 후 아주 오랜 세월이 지나 다시 세계가 생기고 인류가 번식하는 기간이다.
🌏 成: 이룰 성 劫: 겁탈할 겁 -
성등정각
(成等正覺)
:
보살행이 원만하여 평등하고 바른 진리의 깨달음을 이루는 일.
🌏 成: 이룰 성 等: 같을 등 正: 바를 정 覺: 깨달을 각 -
성경대
(聖經臺)
:
경전을 올려놓고 읽게 만든 대.
🌏 聖: 성인 성 經: 경서 경 臺: 돈대 대 -
성만하다
(成滿하다)
:
일체를 완성ㆍ성취하다.
🌏 成: 이룰 성 滿: 찰 만 -
성도
(成道)
:
1
도를 닦아 이룸. 또는 학문의 참뜻을 깊이 체득함.
2
깨달아 부처가 되는 일. 특히 석가모니가 음력 12월 8일에 보리수 아래서 큰 도(道)를 이룬 일을 이른다.
🌏 成: 이룰 성 道: 길 도 -
성실종
(成實宗)
:
모든 거짓을 버리고 참된 지혜로부터 열반의 경지에 이르는 것을 종지(宗旨)로 하는 종파. 인도의 하리발마(訶梨跋摩)가 지은 성실론(成實論)을 근본 경전으로 삼는다.
🌏 成: 이룰 성 實: 열매 실 宗: 마루 종 -
성자필쇠
(盛者必衰)
:
융성하는 것은 결국 쇠퇴해짐.
🌏 盛: 성할 성 者: 놈 자 必: 반드시 필 衰: 쇠할 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