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시작 단어 259개
- 사회 체제 (社會體制) : 1 특정한 근본 원리에 의하여 사회의 질서가 통일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 2 특정한 국가의 지배적인 정치 질서.
- 사회 간접 자본 (社會間接資本) : 국민 경제 발전의 기초가 되는 도로, 항만, 철도, 통신, 전력, 수도 따위의 공공시설.
- 사회 구조 (社會構造) : 일정한 사회관계에서, 지위와 역할에 따라 상호 의존적으로 관계하는 개인이 행동할 수 있는 범위나 행동 양식을 정하여 주는 사회적 정의나 틀.
- 사회 신경증 (社會神經症) :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대중이 지속적으로 불안과 빈곤감을 느끼는 심리적 현상. 미국의 임상 심리학자들이 처음 사용하였으며, 사회 조직 자체가 개혁되기 전에는 근본적으로 치유할 수 없다고 한다.
- 사회 집단 (社會集團) : 공통의 관심과 목적, 그에 따른 역할 분담과 규율을 가진 인간의 집합체. 가족이나 이웃 따위의 일차 집단과 학교나 국가, 정당 따위의 이차 집단으로 나뉜다.
- 사회 국가 (社會國家) : 국민 각자의 인간다운 생존을 보장할 것을 임무로 하는 국가. 또는 사회 정의의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국가.
- 사회적 분화 (社會的分化) : 사회가 단순하고 동질적인 상태에서 복잡하고 이질적인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 스펜서(Spencer, H.)가 사회 진화론을 설명하면서 내세운 개념이다.
- 사회 민주주의 (社會民主主義) : 1 제일 차 세계 대전 이전에, 마르크스주의를 포함한 사회주의적 조류를 통틀어 이르던 말. 정치적 민주주의에 한정되었던 자유 민주주의에 대하여 사회적 민주주의까지 포괄하려는 의도로 쓰였다. 2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부정하고 의회와 노동조합을 통하여 합법적이고 점진적으로 사회주의의 실현을 꾀하는 사상. 좁은 의미로는 베른슈타인의 수정주의를 시초로 하는 비마르크스주의적 사회주의를 이른다.
- 사회사업 (社會事業) : 사회 공중의 생활 개선과 보호를 위하여 개인 또는 단체에 의하여 행해지는 사업. 구빈사업, 실업 보호 사업, 아동 보호 사업, 의료 보호 사업 따위가 있다.
- 사회 형태학 (社會形態學) : 토지의 넓고 좁음이나 지형(地形), 인구의 분포, 가옥의 양식 따위와 같이 사회 현상이나 사회의식을 형성하는 사회의 외부적 형태를 연구하는 학문. 사회학의 한 분야이다. 뒤르켐이 주장하였으며 인문 지리학, 경제 지리학, 인간 생태학 따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사회 과정 (社會過程) : 사회력을 바탕으로 인류가 결합되어 가는 과정. 집단생활에서의 모든 생성ㆍ변화ㆍ발전 따위의 과정을 이르며, 문화적 과정ㆍ경제적 과정 따위가 있다.
- 사회 보장 예산 (社會保障豫算) : 생활 보호 대상자, 아동, 노인, 장애자를 위한 사회 복지와 의료 보험, 실업 보험 따위의 사회 보험에 쓰는 예산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공공사업 예산과 함께 국가 예산의 기초가 된다.
- 사회권 (社會權) : 국민이 인간다운 생활을 위하여 필요한 사회적 보장책을 국가에 요구할 수 있는 권리. 건강한 생활을 누릴 권리, 교육을 받을 권리, 노동권, 노동자의 단결권 따위가 있다.
- 사회자 (司會者) : 모임이나 예식에서 진행을 맡아보는 사람.
- 사회 조직 (社會組織) :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의 여러 요소를 일정한 규율 아래에 유기적으로 구성한 체계. 혈연관계에 의한 가족과 민족, 지연 관계에 의한 지방과 도시, 이해관계에 의한 회사와 국가 따위가 있다.
- 사회 통계학 (社會統計學) : 사회 집단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수량적으로 기술하고 분석하는 학문. 사회 과학의 한 분야이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발달한 독일 통계학파에서 시작하였으며, 표본 추출에 근거한 수리 통계학의 입장에 반대한다.
- 사회 개벽 (社會開闢) : 천도교에서 말하는 삼대 개혁의 하나. 후천적인 인문 개벽으로서, 사회 일반의 제도나 생활 양식ㆍ물질 따위의 변혁으로 새롭게 되는 것을 이른다.
- 사회 정책 학파 (社會政策學派) : 사회 개선 정책을 이론적으로 연구하고 계몽 운동을 주장하였던 학파. 1872년에 설립된 사회 정책 학회가 주도하였다.
- 사회주의 정당 (社會主義政黨) : 사회주의 사회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정당. 혁명 방법의 차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 사회 질서 (社會秩序) : 사회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와 집단이 조화롭게 균형을 이룬 상태.
- 사회 개발 (社會開發) : 도시, 농촌, 주택, 교통, 보건, 공중위생, 사회 복지, 교육 따위를 사회적으로 개발하여 국민의 복지 향상을 꾀하는 일.
- 사회악 (社會惡) : 사회적 모순으로 생기는 해악(害惡). 도박, 매춘, 빈곤, 범죄 따위가 있다.
- 사회 위압 (社會威壓) : 개인에 대하여 사회가 주는 강한 제재와 압력. 이것의 유무가 사회 현상과 다른 현상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고 한다. 프랑스의 사회학자 뒤르켐이 사용한 용어이다.
- 사회성 동물 (社會性動物) : 같은 종류의 개체가 무리를 이루며 분업 생활을 하는 동물. 개미, 꿀벌 따위가 있다.
- 사회 동학 (社會動學) : 사회 발전의 동적(動的)인 측면을 연구하는 사회학. 사회학의 창시자인 콩트가 처음으로 제창하였다.
- 사회적 교육학 (社會的敎育學) : 교육의 목적 및 방법을 사회의 입장에서 결정하려고 하는 교육학. 19세기 말부터 주창되었으며 슐라이어마허, 나토르프(Natorp, P. G.)가 그 대표자이다.
- 사회 정체 (社會停滯) : 사회의 여러 가지 제도가 고정화된 결과로 진보와 발전이 불가능하게 된 상태.
- 사회 경제 제도 (社會經濟制度) : 사회 경제 생활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에 맺어지는 사회적 관계의 총체적인 체계.
- 사회주의 경제학 (社會主義經濟學) : 사회주의 경제에 관한 이론 체계. 생산 수단의 사회적 소유가 완전히 이루어지고, 노동자가 착취에서 해방되며, 생산물의 분배가 각자가 노동한 만큼 노동자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내용이다.
- 사회 (社會) : 1 같은 무리끼리 모여 이루는 집단. 2 학생이나 군인, 죄수 들이 자기가 속한 영역 이외의 영역을 이르는 말. 3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모든 형태의 인간 집단. 가족, 마을, 조합, 교회, 계급, 국가, 정당, 회사 따위가 그 주요 형태이다. ... (총 4개의 의미)
- 사회 위생학 (社會衛生學) : 사회에서 일반 대중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고 향상하기 위하여 그 방책을 연구하는 학문. 사회의 경제적ㆍ문화적 조건 따위가 사람의 병이나 사망, 출생 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건강 유지에 가장 좋은 생활 조건을 연구한다.
- 사회하다 (司會하다) : 회의나 예식 따위를 진행하다.
- 사회면 (社會面) : 신문에서 사회와 관계된 기사를 싣는 지면.
- 사회하다 (私回하다) : 사사롭고 마음이 바르지 못하다.
- 사회 계약론 (社會契約論) : 1762년에 프랑스의 루소가 쓴 사회사상서. 사회 계약설과 인민 주권론을 바탕으로 이상 국가를 실현하자는 내용으로, 프랑스 혁명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한 근대 민주론의 결정판이다.
- 사회 자본 (社會資本) : 국민 경제 발전의 기초가 되는 도로, 항만, 철도, 통신, 전력, 수도 따위의 공공시설.
- 사회 복지 (社會福祉) : 국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 보장을 위한 사회 정책과 시설을 통틀어 이르는 말. 교육, 문화, 의료, 노동 따위 사회생활의 모든 분야에 관계하는 조직적인 개념으로 국민 기초 생활 보장법, 아동 복지법, 사회 복지 사업법 따위의 법률에 기초를 둔다.
- 사회주의 경제 (社會主義經濟) : 생산 수단을 사회가 소유하고 계획 경제에 따라 생산과 분배가 이루어지는 경제 체제. 마르크스주의자의 주장에 따르면 고도의 공산주의 사회로 이행하는 과도기의 사회주의적인 경제 체제이다.
- 사회주의 혁명 (社會主義革命) : 무산 계급이 주체가 되어 모든 자본주의적 관계를 철폐하고 사회주의 사회를 실현하기 위하여 일으킨 혁명. 러시아의 시월 혁명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 사회 심리 (社會心理) : 특정한 사회 환경 속에서, 사회생활의 상호 작용으로 형성되는 개인의 심리. 또는 그 결합으로서의 사회적 의식.
- 사회 (司會) : 1 모임이나 예식에서 진행을 맡아보는 사람. 2 회의나 예식 따위를 진행함.
- 사회 보장세 (社會保障稅) : 사회 보장 제도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국가가 부과하는 세금.
- 사회 복귀 요법 (社會復歸療法) : 병이나 사고로 기능 장애에 빠진 사람이 신체적인 훈련이나 직업 훈련에 의하여 기능을 회복함으로써 다시 사회인으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사회에 복귀시키는 요법.
- 사회적 압력 (社會的壓力) : 개인이나 집단의 태도, 의견, 행동 따위를 특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고 변화하게 하는 사회적인 영향.
- 사회적 윤리 (社會的倫理) : 도덕 원칙을 개인 생활이 아니라 사회 제도에 적용하였을 때의 윤리.
- 사회적 정보화 (社會的情報化) : 사회 각 분야에 컴퓨터를 비롯한 정보 시스템을 적용하고 보급하는 일. 국방, 우주 공학, 정부나 기업의 경영, 의료, 교통, 공해 문제 따위에 이용된다.
- 사회적 사실 (社會的事實) : 외적으로 일종의 강제력을 가지고 개인의 행동을 제약하는 현상. 도덕, 종교, 범죄, 유행 따위가 있다.
- 사회장하다 (社會葬하다) : 사회적으로 공로가 큰 사람이 죽었을 때에 모든 사회단체가 연합하여 장례를 치르다.
- 사회 계획 (社會計劃) : 국민의 복지 향상을 목적으로 경제, 문화, 사회 전반에 걸쳐서 종합적으로 세워진 계획.
- 사회 계급적 처지 (社會階級的處地) : 사회적 계급 관계에 의하여 규정되는 사람의 사회적 처지. 주로 정치와 경제생활에서 사람들이 놓여 있는 형편을 이른다.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 분야로 구분한 통계
💡사회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3개의 분야 중에서 사회 일반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21개입니다.
- 사회 일반 121개 : 사회 시스템, 사회형, 사회 측정학, 사회주의 경쟁, 사회 체제, 사회 동학, 사회 구성체, 사회 정체, 사회 통계, 사회 지표학
- 경제 18개 : 사회주의적 생산관계, 사회주의 경제권, 사회 지표, 사회 경제 형태, 사회 비용, 사회 경제 체계, 사회적 분업, 사회적 빈곤, 사회 경제 구성체, 사회 경제적 기초 복지 14개 법률 12개 심리 1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