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 💕시작 단어 💡절 끝 10개
-
반절
(半折)
:
하나를 반으로 가름. 또는 그렇게 가른 반.
🌏 半: 반 반 折: 꺾을 절 -
반관절
(半關節)
:
관절의 장치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아니한 불완전한 관절. 극히 제한된 운동성을 가진다.
🌏 半: 반 반 關: 빗장 관 節: 마디 절 -
반절
(半절)
:
1
허리를 굽혀 양손을 바닥에 짚고 앉아 고개를 숙여서 하는 여자의 절.
2
아랫사람의 절을 받을 때 완전히 바닥에 엎드리지 않고 앉은 채 윗몸을 반쯤 굽혀서 하는 절.
🌏 半: 반 반 -
반절
(半切/半截)
:
1
반으로 자름. 또는 그렇게 자른 반.
2
당지나 화선지 따위의 전지를 세로로 절반을 자른 것. 또는 그 위에 그린 서화(書畫).
🌏 半: 반 반 切: 끊을 절 모두 체 半: 반 반 截: 끊을 절 -
반근착절
(盤根錯節)
:
1
서린 뿌리와 얼크러진 마디라는 뜻으로, 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사건을 이르는 말. ≪후한서≫ <우후전(虞詡傳)>에 나오는 말이다.
2
세력이 깊이 뿌리박고 있어 흔들리지 아니함.
🌏 盤: 소반 반 根: 뿌리 근 錯: 섞일 착 節: 마디 절 -
반절
(反折)
:
경련이 일어서 몸이 뒤로 꺾이듯이 젖혀지는 증상.
🌏 反: 돌이킬 반 折: 꺾을 절 -
반절
(盤折)
:
꾸불꾸불 돌아감.
🌏 盤: 소반 반 折: 꺾을 절 -
반나절
(半나절)
:
1
한나절의 반.
2
하룻낮의 반(半).
🌏 半: 반 반 -
반절
(反切)
:
1
한자의 음을 나타낼 때 다른 두 한자의 음을 반씩 따서 합치는 방법. ‘文(문)’의 음은 ‘無(무)’의 초성인 ‘ㅁ’과 ‘分(분)’의 중성 및 종성인 ‘ㅜ, ㄴ’을 합친 ‘문’이 되는 것 따위이다.
2
한글 자모를 반절식으로 배열한 본문. 자음 ‘ㄱ, ㄴ, ㄷ, ㄹ, ……’과 모음 ‘ㅏ, ㅑ, ㅓ, ㅕ, ……’를 합쳐 ‘가, 갸, 거, 겨, ……, 나, 냐, 너, 녀, ……’의 순서로 늘어놓은 것이다.
3
‘훈민정음’을 달리 이르는 말. 훈민정음이 초성, 중성, 종성을 합하여 한 글자를 이룬다는 사실에서 유래한다. (훈민정음: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이르는 말., 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어제 서문(御製序文), 자음자와 모음자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 훈민정음을 해설한 해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보 제70호.)
🌏 反: 돌이킬 반 切: 끊을 절 -
반사 회절
(反射回折)
:
전자 빔 회절 해석의 하나. 전자 빔이 시험 재료의 겉면에서 회전하는 것을 이용한다.
🌏 反: 돌이킬 반 射: 쏠 사 回: 돌아올 회 折: 꺾을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