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 💕시작 단어 💡역사 분야 12개
-
둔졸
(屯卒)
:
둔전에 딸려 있던 군사.
🌏 屯: 진칠 둔 卒: 마칠 졸 -
둔전답
(屯田畓)
:
둔전과 둔답을 아울러 이르던 말.
🌏 屯: 진칠 둔 田: 밭 전 畓: 논 답 -
둔답
(屯畓)
:
1
과전법에 따라 각 지방 주둔병의 군량을 지급하기 위하여 반급(頒給)하던 논.
2
각 궁과 관아의 경비를 충당하던 논.
🌏 屯: 진칠 둔 畓: 논 답 -
둔태법
(臀笞法)
:
죄인의 아랫도리를 벗기고 볼기를 곤장으로 치던 형벌.
🌏 臀: 볼기 둔 笞: 볼기칠 태 法: 법도 법 -
둔토
(屯土)
:
둔전과 둔답을 아울러 이르던 말.
🌏 屯: 진칠 둔 土: 흙 토 -
둔라
(屯羅)
:
삼국 시대에 제주도에 있던 나라. 백제, 신라, 고려의 각 조(朝)에 속했다가 고려 숙종 10년(1105)에 고려의 한 군현이 되었다.
🌏 屯: 진칠 둔 羅: 그물 라 -
둔별장
(屯別將)
:
주둔군을 통솔하는 장교를 이르던 말.
🌏 屯: 진칠 둔 別: 다를 별 將: 장수 장 -
둔전병
(屯田兵)
:
변경에 주둔ㆍ정착시켜 평상시에는 농사를 짓게 하고, 전시에는 전투병으로 동원하였던 군사.
🌏 屯: 진칠 둔 田: 밭 전 兵: 군사 병 -
둔곡
(屯穀)
:
둔전에서 거두던 곡식.
🌏 屯: 진칠 둔 穀: 곡식 곡 -
둔땅
(屯땅)
:
둔전과 둔답을 아울러 이르던 말.
🌏 屯: 진칠 둔 -
둔감
(屯監)
:
조선 후기에, 관아의 둔전을 관리하던 벼슬. 또는 그 벼슬아치.
🌏 屯: 진칠 둔 監: 볼 감 -
둔전
(屯田)
:
1
각 궁과 관아에 속한 토지. 관노비나 일반 농민이 경작하였으며, 소출의 일부를 거두어 경비를 충당하였다.
2
변경이나 군사 요지에 주둔한 군대의 군량을 마련하기 위하여 설치한 토지. 군인이 직접 경작하는 경우와 농민에게 경작시켜 수확량의 일부를 거두어 가는 두 가지 경우가 있었다.
🌏 屯: 진칠 둔 田: 밭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