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 💕시작 단어 💡方 한자 24개
-
대권 방향
(大圈方向)
:
대권의 수평면 안에서의 방향. 기준 방향으로부터 각거리로 나타낸다.
🌏 大: 큰 대 圈: 우리 권 方: 모 방 向: 향할 향 -
대화 방식
(對話方式)
:
사용자가 브라운관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과 메시지를 주고받으면서 자료를 처리하는 방식. 사용자가 프로그램의 사용법에 익숙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 對: 대답할 대 話: 말할 화 方: 모 방 式: 법 식 -
대방군
(帶方郡)
:
중국 후한(後漢) 헌제(獻帝) 때에, 공손강이 옛 진번 땅에 설치한 군. 고구려 미천왕 14년(313)에 낙랑이 멸망한 뒤 고구려에 병합되었다.
🌏 帶: 띠 대 方: 모 방 郡: 고을 군 -
대방가
(大方家)
:
문장이나 학술이 뛰어난 사람.
🌏 大: 큰 대 方: 모 방 家: 집 가 -
대수 방안지
(對數方眼紙)
:
‘로그모눈종이’의 전 용어. (로그 모눈종이: 세로와 가로, 또는 어느 한쪽에 로그 눈금을 매긴 모눈종이.)
🌏 對: 대답할 대 數: 셀 수 方: 모 방 眼: 눈 안 紙: 종이 지 -
대수 방정식
(代數方程式)
:
대수식으로 이루어진 방정식.
🌏 代: 대신할 대 數: 셀 수 方: 모 방 程: 단위 정 式: 법 식 -
대수 방정식
(對數方程式)
:
‘로그방정식’의 전 용어. (로그 방정식: 미지수 또는 미지수를 포함하는 식의 로그를 포함하고 있는 방정식. 예를 들면 따위가 있다.)
🌏 對: 대답할 대 數: 셀 수 方: 모 방 程: 단위 정 式: 법 식 -
대방
(貸方)
:
복식 부기의 분개법(分介法)에서, 장부상의 계정계좌의 오른쪽 부분. 자산(資産)의 감소(減少), 부채나 자본의 증가, 이익의 발생 따위를 기입한다.
🌏 貸: 빌릴 대 方: 모 방 -
대의지방
(大義之方)
: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다하는 길.
🌏 大: 큰 대 義: 옳을 의 순응할 의 명분 의 문체이름 의 뜻 의 가짜 의 은의 의 착할 의 의론 의 공정할 의 之: 갈 지 方: 모 방 -
대권 방위
(大圈方位)
:
지구 위의 두 점을 잇는 가장 가까운 거리의 방향. 기준 방향에 대한 각거리로 나타낸다.
🌏 大: 큰 대 圈: 우리 권 方: 모 방 位: 자리 위 -
대방전
(大方甎)
:
성벽이나 담 따위를 쌓는 데 쓰는 네모반듯한 벽돌. 가로와 세로가 각각 두 자, 높이가 네 치이다.
🌏 大: 큰 대 方: 모 방 甎: 벽돌 전 -
대방광불화엄경주본
(大方廣佛華嚴經周本)
:
중국 당나라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주본 화엄경의 고려 시대 목판본. 주본 80권 중 권 6은 국보 제203호, 권 36은 국보 제204호.
🌏 大: 큰 대 方: 모 방 廣: 넓을 광 佛: 부처 불 華: 빛날 화 嚴: 엄할 엄 經: 경서 경 周: 두루 주 本: 근본 본 -
대방
(大方)
:
문장이나 학술이 뛰어난 사람.
🌏 大: 큰 대 方: 모 방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
석가모니가 십이 보살(十二菩薩)과의 문답을 통하여 대원각(大圓覺)의 묘리(妙理)와 관행(觀行)을 밝힌 경전.
🌏 大: 큰 대 方: 모 방 廣: 넓을 광 圓: 둥글 원 覺: 깨달을 각 修: 닦을 수 多: 많을 다 羅: 그물 라 了: 마칠 요 義: 옳을 의 순응할 의 명분 의 문체이름 의 뜻 의 가짜 의 은의 의 착할 의 의론 의 공정할 의 經: 경서 경 -
대방광불화엄경진본
(大方廣佛華嚴經晉本)
:
중국 동진(東晉)의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진본 화엄경의 고려 시대 목판본. 진본 60권 중 권 37은 국보 제202호.
🌏 大: 큰 대 方: 모 방 廣: 넓을 광 佛: 부처 불 華: 빛날 화 嚴: 엄할 엄 經: 경서 경 晉: 나아갈 진 本: 근본 본 -
대방광불화엄경
(大方廣佛華嚴經)
:
‘화엄경’의 정식 이름. 부처가 광대무변하게 모든 중생과 사물을 포함하고 있어, 마치 향기 진한 꽃으로 장식한 것과 같다는 뜻으로 이렇게 이른다. (화엄경: 석가모니가 성도한 깨달음의 내용을 그대로 설법한 경문. 법계 평등(法界平等)의 진리를 증오(證悟)한 부처의 만행(萬行)과 만덕(萬德)을 칭양하고 있다. 정식 이름은 대방광불화엄경이다.)
🌏 大: 큰 대 方: 모 방 廣: 넓을 광 佛: 부처 불 華: 빛날 화 嚴: 엄할 엄 經: 경서 경 -
대방
(大方)
:
작용이 강한 약을 한 번에 많이 써서 중병을 치료하는 약방문.
🌏 大: 큰 대 方: 모 방 -
대방등
(大方等)
:
‘대승경’을 달리 이르는 말. (대승경: 대승의 교법이 담긴 불경. 화엄경, 대집경, 반야경, 법화경, 열반경 따위가 있다.)
🌏 大: 큰 대 方: 모 방 等: 같을 등 -
대방광
(大方廣)
:
1
부처가 깨달은 진리.
2
‘대승경’을 달리 이르는 말. (대승경: 대승의 교법이 담긴 불경. 화엄경, 대집경, 반야경, 법화경, 열반경 따위가 있다.)
🌏 大: 큰 대 方: 모 방 廣: 넓을 광 -
대방
(帶方)
:
중국 후한(後漢) 헌제(獻帝) 때에, 공손강이 옛 진번 땅에 설치한 군. 고구려 미천왕 14년(313)에 낙랑이 멸망한 뒤 고구려에 병합되었다.
🌏 帶: 띠 대 方: 모 방 -
대동방여전도
(大東方輿全圖)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부분적으로 보완하여 만든 우리나라 지도. 전국을 9도로 나누어 주현(州縣), 대소영(大小營), 진보(鎭堡), 산성(山城), 봉수(烽燧), 역참(驛站), 민호(民戶), 인구(人口), 면(面) 따위를 자세히 기입하였다. 채색 필사본으로 작자와 연대는 알 수 없다. 21첩.
🌏 大: 큰 대 東: 동녘 동 方: 모 방 輿: 수레 여 全: 온전할 전 圖: 그림 도 -
대방등대집경
(大方等大集經)
:
중국 수나라 때에, 승려 취(就)가 엮은 불경. 부처가 욕계와 색계의 중간에 대도량을 열고 시방(十方)의 불보살과 천룡(天龍), 귀신을 모아 대승 법문을 설파한 것이다. 60권.
🌏 大: 큰 대 方: 모 방 等: 같을 등 大: 큰 대 集: 모을 집 經: 경서 경 -
대방상
(大方狀)
:
큰 상여. 예전에는 삼공(三公)과 구경(九卿)만이 쓸 수 있었다.
🌏 大: 큰 대 方: 모 방 狀: 형상 상 -
대오방기
(大五方旗)
:
조선 시대에, 진중(陣中)에서 방위를 나타내던 다섯 가지의 큰 군기(軍旗). 동, 서, 남, 북, 중앙을 나타내는 청룡기, 백호기, 주작기, 현무기, 등사기 따위로 각각의 기(旗)에 딸린 부대에 명령을 내릴 때 쓰였다.
🌏 大: 큰 대 五: 다섯 오 方: 모 방 旗: 기 기
▹ 품사로 구분한 통계
▹ 글자수로 구분한 통계
💡대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0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247개입니다.
- 1 글자 22개 : 대
- 2 글자 1,131개 : 대밭, 대접, 대풍, 대고, 대변, 대주, 대한, 대종, 대색 3 글자 1,247개 4 글자 1,170개 5 글자 31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