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 💕시작 단어 💡2 글자 35개
- 깨성 : → 소복. (소복: 원기가 회복됨. 또는 원기가 회복되게 함.)
- 깨다 : ‘까이다’의 준말. (까이다: (속되게) 치이거나 맞아서 상처가 나게 되다. ‘까다’의 피동사. (까다: (속되게) 치거나 때려서 상처를 내다.))
- 깨끼 : 곡식을 되질하거나 그릇에 밥 등을 담을 때에, 수북이 담지 않고 전과 수평으로 담는 방법.
- 깨떡 : 시루에 쌀가루를 안치고, 켜 사이에 깨고물을 뿌려서 찐 떡.
- 깨끔 : ‘깨끔하다’의 어근. (깨끔하다: 깨끗하고 아담하다.)
- 깨깨 : 몹시 여위어 마른 모양.
- 깨깨 : → 깨끗이. (깨끗이: 사물이 더럽지 않게., 빛깔 따위가 흐리지 않고 맑게., 가지런히 잘 정돈되어 말끔하게., 맛이 개운하게., 남은 것이나 자취가 전혀 없이., 마음에 구구함이나 연연함이 없이., 후유증이 없이 말짱하게., 마음씨나 행동 따위가 허물이 없이 떳떳하고 올바르게., 마음이나 표정 따위에 구김살이 없이.)
- 깨새 : → 박새. (박새: 박샛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14cm 정도이며, 머리와 날개는 검은빛을 띤 흰색이고 뺨은 흰색, 등은 누런 초록색이고 아랫면은 흰색에 검은 띠가 둘려 있다. 나무 구멍, 처마 밑, 바위틈 등지에 둥지를 틀고 4~7월에 한 배에 6~12개의 알을 낳는다. 해충을 잡아먹는 텃새로 보호새이다. 동부 아시아에 분포한다.)
- 깨끗 : ‘깨끗하다’의 어근. (깨끗하다: 사물이 더럽지 않다., 빛깔 따위가 흐리지 않고 맑다., 가지런히 잘 정돈되어 말끔하다., 맛이 개운하다., 남은 것이나 자취가 전혀 없다., 마음에 구구함이나 연연함이 없다., 후유증이 없이 말짱하다., 마음씨나 행동 따위가 허물이 없이 떳떳하고 올바르다., 마음이나 표정 따위에 구김살이 없다.)
- 깨죽 : ‘깨죽거리다’의 어근. (깨죽거리다: 불평스럽게 자꾸 종알거리다., 음식을 먹기 싫은 듯이 자꾸 되씹다.)
- 깨다 : 알로 품었던 새끼가 껍데기를 깨고 나오다. ‘까다’의 피동사. (까다: 알을 품어 새끼가 껍데기를 깨고 나오게 하다.)
- 깨꽃 : 꿀풀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60~90cm이며, 잎은 마주나고 긴 달걀 모양이다. 5~10월에 빨간 꽃이 줄기와 가지 끝에 총상(總狀) 화서로 핀다. 관상용이고 브라질이 원산지이다.
- 깨작 : ‘깨작거리다’의 어근. (깨작거리다: 글씨나 그림 따위를 아무렇게나 잘게 자꾸 쓰거나 그리다.)
- 깨작 : ‘깨작거리다’의 어근. (깨작거리다: ‘깨지락거리다’의 준말., ‘깨지락거리다’의 준말.)
- 깨소 : 떡 속에 넣는, 깨로 만든 소.
- 깨다 : → 깨우다. (깨우다: 잠, 꿈 따위에서 벗어나게 하다. ‘깨다’의 사동사.)
- 깨다 : 알을 품어 새끼를 까게 하다. ‘까다’의 사동사. (까다: 알을 품어 새끼가 껍데기를 깨고 나오게 하다.)
-
깨죽
(깨粥)
:
껍질을 벗긴 참깨에 찹쌀을 섞고 함께 갈아서 쑨 죽.
🌏 粥: 죽 죽 - 깨나 : 어느 정도 이상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 깨갱 : 개가 아프거나 무서워서 지르는 소리.
-
깨장
(깨醬)
:
깨를 비롯한 여러 가지 양념을 넣어 만든 장.
🌏 醬: 장 장 - 깨편 : → 깨떡. (깨떡: 시루에 쌀가루를 안치고, 켜 사이에 깨고물을 뿌려서 찐 떡.)
- 깨춤 : 깨를 볶을 때에 톡톡 튀듯, 체구가 작은 사람이 방정맞게 까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깨알 : 깨씨의 낱알.
- 깨단 : ‘깨단하다’의 어근. (깨단하다: 오랫동안 생각해 내지 못하던 일 따위를 어떠한 실마리로 말미암아 깨닫거나 분명히 알다.)
- 깨다 : 1 술기운 따위가 사라지고 온전한 정신 상태로 돌아오다. 2 생각이나 지혜 따위가 사리를 가릴 수 있게 되다. 3 잠, 꿈 따위에서 벗어나다. 또는 벗어나게 하다.
- 깨웃 : 고개나 몸 따위를 한쪽으로 매우 귀엽게 조금 기울이는 모양.
- 깨엿 : 볶은 깨를 겉에 묻힌 엿.
- 깨꾼 : 은어로, ‘지게꾼’을 이르는 말. (지게꾼: 지게를 진 사람., 지게로 짐 나르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깨도 : 생각하고 궁리하다 알게 되는 것.
- 깨깨 : 어린아이가 듣기 싫게 자꾸 우는 소리.
- 깨끼 : 1 안팎 솔기를 발이 얇고 성긴 깁을 써서 곱솔로 박아 지은 겹옷. 2 안팎 솔기를 발이 얇고 성긴 깁을 써서 곱솔로 박아 옷을 짓는 일.
- 깨다 : 1 단단한 물체를 쳐서 조각이 나게 하다. 2 일이나 상태 따위를 중간에서 어그러뜨리다. 3 머리나 무릎 따위를 부딪치거나 맞거나 하여 상처가 나게 하다. ... (총 4개의 의미)
- 깨질 : ‘깨질거리다’의 어근. (깨질거리다: ‘깨지락거리다’의 준말., ‘깨지락거리다’의 준말.)
- 깨풀 : 대극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cm 정도이고 온몸에 짧은 털이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넓은 피침 모양으로 톱니가 있다. 7~8월에 갈색의 작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수상(穗狀) 화서로 피고 삭과(蒴果)를 맺는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논밭이나 길가에 자라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