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 💕시작 단어 💡불교 분야 32개
-
견불하다
(見佛하다)
:
자기의 내부에 있는 불성을 깨닫다. 수행이나 신앙의 힘에 의지하여 부처를 본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見: 볼 견 佛: 부처 불 -
견법하다
(見法하다)
:
불도를 수행하는 이가 깨끗하고 진실한 마음으로 실상을 자세히 관찰하여 그 참된 뜻에 통달하다.
🌏 見: 볼 견 法: 법도 법 -
견독
(見毒)
:
불도를 수행하는 데 가장 방해가 되는 사견(邪見)을 이르는 말.
🌏 見: 볼 견 毒: 독 독 -
견문생
(見聞生)
:
삼생(三生)의 하나. 과거세에 노사나불을 친견하고, 보현보살의 법문을 들어 미래에 부처가 될 종자를 얻는 자리로, 여기서는 부처의 광명을 받게 된다.
🌏 見: 볼 견 聞: 들을 문 生: 날 생 -
견불
(見佛)
:
수행이나 신앙의 힘에 의지하여 부처를 본다는 뜻으로, 자기의 내부에 있는 불성을 깨달음을 이르는 말.
🌏 見: 볼 견 佛: 부처 불 -
견분
(見分)
:
사분(四分)의 하나. 객관의 사물을 인식하기에 적합하도록 주관에 나타나는 영상인 상분(相分)을 인식하는 작용으로, 사분 중의 두 번째 단계이다.
🌏 見: 볼 견 分: 나눌 분 -
견차
(肩次)
:
선가에서, 자기보다 아랫자리에 있는 이를 이르는 말.
🌏 肩: 어깨 견 次: 버금 차 -
견하
(肩下)
:
선가에서, 자기보다 아랫자리에 있는 이를 이르는 말.
🌏 肩: 어깨 견 下: 아래 하 -
견진
(見眞)
:
공리(空理)를 관찰하는 지혜로 진제(眞諦)의 이치를 꿰뚫어 보는 일.
🌏 見: 볼 견 眞: 참 진 -
견결
(見結)
:
신견(身見), 변견(邊見), 사견(邪見)의 삼혹(三惑). 중생은 여기에 결박되어 살생ㆍ도둑질ㆍ음행ㆍ거짓말의 나쁜 짓을 하고, 결국 고(苦)를 벗어나지 못한다.
🌏 見: 볼 견 結: 맺을 결 -
견성 성공
(見性成功)
:
자기 본래의 성품인 자성을 깨달아 불과(佛果)를 얻는 일.
🌏 見: 볼 견 性: 성품 성 成: 이룰 성 功: 공 공 -
견법
(見法)
:
불도를 수행하는 이가 깨끗하고 진실한 마음으로 실상을 자세히 관찰하여 그 참된 뜻에 통달하는 일.
🌏 見: 볼 견 法: 법도 법 -
견취견
(見取見)
:
오견의 하나. 졸렬한 지견(知見)이나 졸렬한 일을 고집하고 스스로 훌륭한 견해라고 여기는 그릇된 견해를 이른다.
🌏 見: 볼 견 取: 취할 취 見: 볼 견 -
견성
(見成)
:
선원에서, 사실이 현재 이루어져 있거나 또는 지금 있는 그대로임을 이르는 말.
🌏 見: 볼 견 成: 이룰 성 -
견제도
(見諦道)
:
삼도(三道)의 첫째 단계. 처음으로 지혜를 얻어 번뇌와 미혹(迷惑)을 벗어나 진리를 보는 단계이다.
🌏 見: 볼 견 諦: 울 제 道: 길 도 -
견론
(見論)
:
모든 법의 이치를 모르는 그릇된 견해. 아무런 뜻도 소용도 없는 이론을 이른다.
🌏 見: 볼 견 論: 논의할 론 -
견문위
(見聞位)
:
삼생(三生)의 하나. 과거세에 노사나불을 친견하고, 보현보살의 법문을 들어 미래에 부처가 될 종자를 얻는 자리로, 여기서는 부처의 광명을 받게 된다.
🌏 見: 볼 견 聞: 들을 문 位: 자리 위 -
견루
(見漏)
:
칠루의 하나. 견도(見道)에서 끊는 여러 가지 사견(邪見)이다.
🌏 見: 볼 견 漏: 샐 루 -
견상
(肩上)
:
선종에서, 자기보다 윗자리에 있는 이를 이르는 말.
🌏 肩: 어깨 견 上: 위 상 -
견불문법
(見佛聞法)
:
눈으로 대자대비한 부처를 보고, 귀로 오묘한 교법을 듣는 일.
🌏 見: 볼 견 佛: 부처 불 聞: 들을 문 法: 법도 법 -
견성하다
(見性하다)
:
모든 망념과 미혹을 버리고 자기 본래의 성품인 자성을 깨달아 알다.
🌏 見: 볼 견 性: 성품 성 -
견덕
(見德)
:
조계종에서 비구 법계의 5급을 이르는 말. 중덕(中德)보다 아래로 최하위이며, 나이는 25세 이상이고 승려가 되어 구족계를 받은 지 5년 이상 된 자에게 준다.
🌏 見: 볼 견 德: 덕 덕 -
견문각지
(見聞覺知)
:
눈으로 빛을 보고, 귀로 소리를 듣고, 코ㆍ혀ㆍ몸으로 냄새ㆍ맛ㆍ촉감을 감각하고, 뜻으로 법을 아는 육식(六識) 작용. 외경을 식별ㆍ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을 이르는 말이다.
🌏 見: 볼 견 聞: 들을 문 覺: 깨달을 각 知: 알 지 -
견삭
(羂索)
:
1
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여러 방편으로 구제하는 것을 상징하는, 여러 색실로 꼰 줄. 부동명왕, 불공견삭관음, 천수관음 등이 가지고 있다.
2
새나 짐승을 잡는 밧줄.
🌏 羂: 올무 견 索: 동아줄 삭 -
견도
(見道)
:
삼도(三道)의 첫째 단계. 처음으로 지혜를 얻어 번뇌와 미혹(迷惑)을 벗어나 진리를 보는 단계이다.
🌏 見: 볼 견 道: 길 도 -
견혹
(見惑)
:
불도를 수행하는 가운데 온갖 지식으로 욕계와 색계, 무색계의 사제(四諦)의 이치를 깨달음으로써 없어지는 번뇌와 미혹.
🌏 見: 볼 견 惑: 미혹할 혹 -
견득
(見得)
:
수도위(修道位)에 있는 사람 가운데 지혜가 밝은 사람. 지견이 뛰어나서 스스로 법을 보고 이치를 깨달을 수 있다.
🌏 見: 볼 견 得: 얻을 득 -
견탁
(見濁)
:
오탁(五濁)의 하나. 사악한 사상과 견해가 무성하게 일어나 더러움이 넘쳐흐름을 이른다.
🌏 見: 볼 견 濁: 흐릴 탁 -
견성
(見性)
:
1
모든 망념과 미혹을 버리고 자기 본래의 성품인 자성을 깨달아 앎.
2
자기 본래의 성품인 자성을 깨달아 부처가 됨.
🌏 見: 볼 견 性: 성품 성 -
견사혹
(見思惑)
:
삼혹(三惑)의 하나. 우주의 진리와 낱낱의 사물의 진상을 알지 못하여 일어나는 번뇌로, 견혹과 사혹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 見: 볼 견 思: 생각 사 惑: 미혹할 혹 -
견박
(見縛)
:
진리가 판명되지 않는 견혹. 사람을 속박하여 자유롭지 못하게 한다.
🌏 見: 볼 견 縛: 묶을 박 -
견성성불
(見性成佛)
:
자기 본래의 성품인 자성을 깨달아 부처가 됨.
🌏 見: 볼 견 性: 성품 성 成: 이룰 성 佛: 부처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