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 💕시작 단어 💡문학 분야 5개
-
견우직녀
(牽牛織女)
:
1
견우와 직녀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견우성과 직녀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 牽: 끌 견 牛: 소 우 織: 짤 직 女: 계집 녀 -
견우
(牽牛)
:
1
견우직녀 설화에 나오는 남자 주인공.
2
메꽃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2~3미터이고 덩굴져 감아 올라가며, 잎은 어긋나고 심장 모양인데 세 갈래로 깊이 갈라진다. 여름에 나팔 모양의 보라색, 붉은색, 재색, 흰색 꽃이 피고 열매는 둥근 삭과(蒴果)를 맺는다.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씨는 ‘견우자’라 하여 약용한다.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3
현대 별자리의 독수리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 실시 등급 1등급의 별로, 은하수를 경계로 직녀성과 마주하고 있다.
🌏 牽: 끌 견 牛: 소 우 -
견우직녀 설화
(牽牛織女說話)
:
칠월 칠석에 견우와 직녀가 1년에 한 번 만나게 된다는 설화. 칠월 칠석이 되면 견우성과 직녀성이 가까워지는 자연 현상에서 생겨난 것으로 본다. 옥황상제의 손녀인 직녀와 목동인 견우가 혼인을 했는데 자신들의 의무를 게을리하여 그 벌로 옥황상제는 두 사람을 1년에 한 번만 만날 수 있게 하였다. 그런데 은하수가 그들을 가로막아 만날 수가 없게 되자 수많은 까마귀와 까치가 머리를 맞대어 다리를 놓아 주었다. 그 다리를 ‘오작교’라 하며, 이날 오는 비, 곧 칠석우(七夕雨)는 견우와 직녀가 기뻐서 흘리는 눈물이라 한다. (오작교: 까마귀와 까치가 은하수에 놓는다는 다리. 칠월 칠석날 저녁에, 견우와 직녀를 만나게 하기 위하여 이 다리를 놓는다고 한다.)
🌏 牽: 끌 견 牛: 소 우 織: 짤 직 女: 계집 녀 說: 말씀 설 話: 말할 화 -
견회요
(遣懷謠)
:
조선 광해군 10년(1618)에 윤선도가 함경도 경원에서 귀양살이하면서 지은 다섯 수의 연시조. 사친, 충효를 노래한 것으로 ≪고산유고≫에 전한다.
🌏 遣: 보낼 견 懷: 품을 회 謠: 노래 요 -
견책 소설
(譴責小說)
: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사이에 중국에서 유행한 소설. 중국 봉건 지배 계층의 부패상을 폭로하고 질책한 것으로, 사회 비판의 성격이 짙게 나타난다.
🌏 譴: 꾸짖을 견 責: 꾸짖을 책 小: 작을 소 說: 말씀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