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머니 🍀한국 속담 검색 결과 35개
"어머니"가 들어간 🍀한국 속담은 35개 입니다.
-
쓰니 시어머니
:
흔히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못살게 굶을 이르는 말.
#며느리 #시어머니 -
어머니 다음에 형수
:
형수는 그 집안 살림을 맡아 하는 데 있어서 어머니 다음의 위치를 차지한다는 말.
#다음 #살림 ✅어머니 #위치 #집안 #차지 #형수 -
그 어머니에 그 아들[딸]
:
아들딸의 재능이나 행실이 자기 어머니를 닮았을 경우를 이르는 말.
#경우 #딸 #아들 #아들딸 ✅어머니 #재능 #행실 -
세 끼 굶은 시어머니 상판 같다
:
보기 흉할 정도로 몹시 찌푸린 얼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끼 #상판 #시어머니 #얼굴 #정도 #할 -
겨울 화롯불은 어머니보다 낫다
:
추운 겨울에는 따뜻한 것이 제일 좋음을 이르는 말.
#겨울 ✅어머니 #화롯불 -
자식을 보기 전에 어머니를 보랬다
:
자식은 일반적으로 어머니 품에서 자라기 때문에 어머니의 품성을 닮으니 어머니를 보고 자식을 평가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어머니 #일반 #자식 #전 #평가 #품 #품성 -
어머니 배 속에서 배워 가지고 나오다
:
태어날 때부터 이미 알고 있다는 말.
#때 #배 #속 ✅어머니 -
시어머니에게 역정 나서 개 배때기 찬다
:
엉뚱한 데 가서 노여움이나 분을 푸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개 #경우 #노여움 #배때기 #분 #시어머니 -
가시어머니 장 떨어지자 사위 국 싫다 한다
:
처갓집에 장이 떨어져서 국을 끓일 수 없게 되었는데 마침 사위가 국은 싫어서 먹지 않겠다고 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서로 공교롭게도 때맞추어 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가시어머니 #국 #때 #사위 #일 #장 #처갓집 -
어머니가 반중매쟁이가 되어야 딸을 살린다
:
딸을 둔 어머니는 중매쟁이가 되다시피 하여야 딸을 시집보낼 수 있다는 뜻으로, 과년한 딸을 가진 어머니는 딸을 시집보내기 위해서 누구보다 애쓰고 뛰어야 한다는 말.
#과년 #딸 #매쟁 #반중 ✅어머니 #중매 -
때리는 시어머니보다 말리는 시누이가 더 밉다
:
겉으로는 위하여 주는 체하면서 속으로는 해하고 헐뜯는 사람이 더 밉다는 말.
#겉 #사람 #속 #시누이 #시어머니 #해 -
홀시어머니 거느리기가 벽에 오르기보다도 어렵다
:
홀시어머니는 모시기가 더욱 어렵다는 말.
#기 #벽 #홀시어머니 -
어머니가 의붓어머니면 친아버지도 의붓아버지가 된다
:
어머니가 계모이면 자연히 아버지는 자식보다 계모를 더 위하여 주기 때문에 아버지와 자식의 사이가 멀어진다는 말.
#계모 #모 #사이 #아버지 ✅어머니 #의붓아버지 #의붓어머니면 #자식 #친아버지 -
안방에 가면 시어머니 말이 옳고 부엌에 가면 며느리 말이 옳다
:
양편의 말이 모두 일리가 있어서 시비를 가리기가 어려운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말 #며느리 #부엌 #시비 #시어머니 #안방 #양편 #일리 -
시어머니가 오래 살자니까 며느리가 방아 동티에 죽는 걸 본다
:
사람이 오래 살게 되면 망측한 꼴도 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꼴 #동티 #며느리 #방아 #사람 #시어머니 -
시어머니 죽으라고 축수했더니 보리방아 물 부어 놓고 생각난다
:
시아버지가 미워서 죽기를 빌었으나 막상 동지섣달에 짚신 삼아 줄 사람이 없어서 맨발로 물을 긷고 보니 죽은 시아버지가 그리워진다는 뜻으로, 미워하고 싫어하던 물건이나 사물도 막상 없어지고 나면 아쉽고 생각날 때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각 #동지 #때 #물 #물건 #발 #방아 #보리 #사람 #사물 #섣달 #시아버지 #시어머니 #짚신 #축수 -
가을볕에는 딸을 쬐이고 봄볕에는 며느리를 쬐인다
:
선선한 가을볕에는 딸을 쬐이고 살갗이 잘 타고 거칠어지는 봄볕에는 며느리를 쬐인다는 뜻으로, 시어머니는 며느리보다 제 딸을 더 아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가을볕 #딸 #며느리 #봄볕 #살갗 #시어머니 #아낌 -
시어미가 죽으면 안방은 내 차지
:
시어머니가 죽으면 며느리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는 뜻으로, 권력을 잡았던 사람이 없어지면 그다음 자리에 있던 사람이 권력을 잡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권력 #그다음 #며느리 #사람 #시어머니 #시어미 #안방 #자리 #차지 -
봄볕은 며느리를 쬐이고 가을볕은 딸을 쬐인다
:
선선한 가을볕에는 딸을 쬐이고 살갗이 잘 타고 거칠어지는 봄볕에는 며느리를 쬐인다는 뜻으로, 시어머니는 며느리보다 제 딸을 더 아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가을볕 #딸 #며느리 #봄볕 #살갗 #시어머니 #아낌 -
마음이 맞으면 삶은 도토리 한 알 가지고도 시장 멈춤을 한다
:
사이좋은 어머니와 두 딸처럼 서로 사이가 좋고 마음이 맞는 사람끼리는 어떤 힘든 상황 가운데서도 별 불평 없이 서로가 도우며 잘 지낸다는 말.
#가운데 #도토리 #딸 #마음 #불평 #사람 #사이 #삶 #상황 #서로 #시장 #알 ✅어머니 -
마당이 환하면 비가 오고 계집 뒤가 반지르르하면 애가 든다
:
아이 어머니의 쇠약하였던 몸이 다시 회복되고 몸매가 반지르르하게 되면 또 아이를 가지게 됨을 이르는 말.
#계집 #뒤 #마당 #몸 #몸매 #비 #쇠약 #아이 #애 ✅어머니 #회복 -
애어미 삼사 월에 돌이라도 이 안 들어가 못 먹는다
:
젖을 먹이는 아이어머니는 식성이 좋아 닥치는 대로 잘 먹는데 더군다나 해가 긴 음력 삼사 월에는 이만 들어가면 돌이라도 먹을 형편이라는 뜻으로, 젖을 먹이는 어머니들이 무엇이나 가리지 아니하고 다 잘 먹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돌 #삼사 #식성 #아이어머니 #애어미 ✅어머니 #월 #음력 #젖 #해 #형편 -
젖먹이 두고 가는 년은 자국마다 피가 맺힌다
:
어린 자식을 떼어 놓고 가는 어머니의 심정은 걸음걸음에 피가 맺힐 것같이 침통하다는 말.
#걸음걸음 #심정 ✅어머니 #자국 #자식 #젖먹이 #침통 #피 -
벙어리 속은 그 어미도 모른다
:
말을 하지 않고 가만있는 벙어리의 속마음은 그 어머니조차도 알 길이 없다는 뜻으로, 무슨 말을 실지로 들어 보지 않고는 그 내용을 알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길 #내용 #벙어리 #속 #속마음 ✅어머니 #어미 -
시어미 범 안 잡은 사람이 없다
:
시어머니 치고 젊었을 때에 고생 안 했다는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일은 제대로 잘하지도 못하면서 자기 자랑만 늘어놓음을 이르는 말.
#고생 #때 #미 #범 #사람 #시 #시어머니 #어 #일 #자랑 -
늙은 아이어미 석 자 가시 목구멍에 안 걸린다
:
늙도록 아이를 많이 낳은 어머니들은 석 자나 되는 가시를 먹어도 목에 안 걸리고 넘어갈 만큼 속이 비고 궁하게 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가시 #궁 #목 #목구멍 #속 #아 #아이 #어 ✅어머니 #자 #지 -
흉이 없으면 며느리 다리가 희단다
: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공연히 생트집을 잡는다는 뜻으로, 말도 되지 아니하는 생트집을 잡아서 남을 흉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경우 #다리 #며느리 #생트 #생트집 #시어머니 #집 #흉 #희 -
의가 좋으면 세 어이딸이 도토리 한 알을 먹어도 시장 멈춤은 한다
:
사이좋은 어머니와 두 딸처럼 서로 사이가 좋고 마음이 맞는 사람끼리는 어떤 힘든 상황 가운데서도 별 불평 없이 서로가 도우며 잘 지낸다는 말.
#가운데 #도토리 #딸 #마음 #불평 #사람 #사이 #상황 #서로 #시장 #알 ✅어머니 #어이딸 #의 -
자식 떼고 돌아서는 어미는 발자국마다 피가 고인다
:
자식을 떼어 버리고 돌아선 어머니는 걸음마다 피를 쏟으며 걷는다는 뜻으로, 어머니가 자식을 떼어 놓는 일이 매우 괴롭고 고통스러운 일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걸음 #고인 #고통 #발자국 ✅어머니 #어미 #일 #자식 #피 -
저녁 굶은 시어미 상
:
1
저녁을 주지 아니하여 굶은 탓으로 얼굴을 잔뜩 찌푸리고 며느리를 쳐다보는 시어머니의 얼굴 모양이라는 뜻으로, 아주 못마땅하여 얼굴을 잔뜩 찌푸리고 있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날씨가 흐려서 음산하다는 말.
#날씨 #며느리 #모양 #상 #시어머니 #시어미 #얼굴 #저녁 #탓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어머니
:
니로 끝나는 단어: 총 877개
-
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75개입니다.- 예: 옥니(玉니), 비니(Vigny, Alfred Victor, de Comte), 오니, 은니(銀泥), 은니(銀니)
-
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76개입니다.- 예: 모노포니, 을데라니, 젖어머니, 말주머니, 호모포니
-
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2개의 분야 중에서 인명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0개입니다.- 예: 세니, 버니, 중니, 헤니, 비니
-
니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69 종류의 한자 중에서 55번 사용된 泥이 최다입니다.- 예: 청니(靑泥), 장니(障泥), 은니(銀泥), 적니(赤泥), 동니(銅泥)
-
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36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아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0개입니다.- 예: 아기니, 아니, 아자버니, 아랫니, 아그니
-
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73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오니, 옷니, 으니, 은니, 육니
-
-
어머니
:
머니로 끝나는 단어: 총 202개
-
머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73개입니다.- 예: 욕주머니(辱주머니), 젖어머니, 애어머니, 말주머니, 콜머니(call money)
-
머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5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93개입니다.- 예: 모래주머니, 웃음주머니, 울음주머니, 영등할머니, 음흉주머니
-
머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개의 분야 중에서 식물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8개입니다.- 예: 꿀주머니, 눈괴불주머니, 홀씨주머니, 씨주머니, 양꽃주머니
-
머니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5 종류의 한자 중에서 8번 사용된 祖이 최다입니다.- 예: 큰종조할머니(큰從祖할머니), 고조할머니(高祖할머니), 재종조할머니(再從祖할머니), 증조할머니(曾祖할머니), 작은종조할머니(작은從祖할머니)
-
머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9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예: 가시할머니, 가는괴불주머니, 가스주머니, 가린주머니, 가시어머니
-
머니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6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49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인주머니, 애어머니, 애그머니, 오두머니, 어머니
-
-
:
자음 ㅇㅁㄴ 단어: 총 23개
-
자음 ㅇㅁㄴ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9개입니다.- 예: 월명년(越明年), 우묵눈, 아미노(amino), 이모님(姨母님), 어머님
-
자음 ㅇㅁㄴ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분야 중에서 화학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예: 암모늄, 아미노, 이미노, 알미늄
-
자음 ㅇㅁㄴ 단어들은 총 17 종류의 한자로 분류됩니다.- 예: 월명년(越明年), 억만년(億萬年)
-
-
:
모음 ㅓㅓㅣ 단어: 총 354개
-
모음 ㅓㅓㅣ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46개입니다.- 예: 엉너리, 덧거침, 터뻑질, 꺼러기, 어머니
-
모음 ㅓㅓㅣ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3개의 분야 중에서 동물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9개입니다.- 예: 철써기, 거저리, 점넙치, 정어리, 버버지
-
모음 ㅓㅓㅣ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5 종류의 한자 중에서 8번 사용된 器이 최다입니다.- 예: 험전기(驗電器), 정선기(精選器), 접선기(接線器), 서석기(曙石器), 검척기(檢尺器)
-
모음 ㅓㅓㅣ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8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48번 사용된 ㅈ이 최다입니다.- 예: 전성기, 정머리, 정정히, 정적히, 적절히
-
-
어머니
:
어로 시작하는 단어: 총 2,002개
-
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19개입니다.- 예: 어복(魚箙/魚服), 어령(御領), 어복(御服), 어, 어임
-
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1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61개입니다.- 예: 어정대다, 어쩍어쩍, 어린줄기, 어중하다, 어극하다
-
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2개의 분야 중에서 언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0개입니다.- 예: 어지, 어말, 어, 어사, 어계
-
어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44 종류의 한자 중에서 246번 사용된 魚이 최다입니다.- 예: 어복(魚箙/魚服), 어박(魚粕), 어(魚), 어하(魚蝦/魚鰕), 어판(魚板)
-
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42개입니다.- 예: 어이다, 어다, 어쩌다, 어둡다, 어물다
-
-
어머니
:
어머로 시작하는 단어: 총 11개
-
어머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
어머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개입니다.
-
어머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2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
어머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개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