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내 🍀한국 속담 검색 결과 54개
"아내"가 들어간 🍀한국 속담은 54개 입니다.
-
아내 없는 처갓집 가나 마나
:
목적하는 것이 없는 데는 갈 필요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목적 ✅아내 #처갓집 #필요 -
먹지 않는 종 투기 없는 아내
:
너무나 비현실적인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아내 #종 #투기 #현실 -
일생 화근은 성품 고약한 아내
:
악처는 평생의 애물단지임을 이르는 말.
#단지 #성품 ✅아내 #악처 #애물 #일생 #평생 #화근 -
남편은 두레박 아내는 항아리
:
두레박으로 물을 길어다 항아리를 채운 데서, 남편이 밖에서 돈을 벌어 집에 가지고 오면 아내는 그것을 잘 모으고 간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간직 #남편 #돈 #두레박 #물 #밖 ✅아내 #집 #항아리 -
아내가 귀여우면 처갓집 문설주도 귀엽다
:
1
어떤 사람을 너무 좋아하여 사리 판단이 어두워지면 실수를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아내가 좋으면 아내 주위의 보잘것없는 것까지 좋게 보인다는 말.
3
한 가지가 좋아 보이면 모든 것이 다 좋아 보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문설주 #보임 #사람 #사리 #실수 ✅아내 #주위 #처갓집 #판단 -
아내가 예쁘면 처갓집 울타리까지 예쁘다
:
1
아내가 좋으면 아내 주위의 보잘것없는 것까지 좋게 보인다는 말.
2
한 가지가 좋아 보이면 모든 것이 다 좋아 보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어떤 사람을 너무 좋아하여 사리 판단이 어두워지면 실수를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임 #사람 #사리 #실수 ✅아내 #울타리 #주위 #처갓집 #판단 -
아내가 귀여우면 처갓집 말뚝 보고도 절한다
:
1
아내가 좋으면 아내 주위의 보잘것없는 것까지 좋게 보인다는 말.
2
한 가지가 좋아 보이면 모든 것이 다 좋아 보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어떤 사람을 너무 좋아하여 사리 판단이 어두워지면 실수를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뚝 #보임 #사람 #사리 #실수 ✅아내 #절 #주위 #처갓집 #판단 -
아내 행실은 다홍치마 적부터 그루를 앉힌다
:
아내나 새 며느리를 길들이고 법도를 세우려면 다홍치마를 입는 새색시 때부터 똑바로 가르쳐야 한다는 말.
#다홍치마 #때 #며느리 #법도 #새색 ✅아내 #행실 -
아내 나쁜 것은 백 년 원수 된장 신 것은 일 년 원수
:
아내를 잘못 맞으면 평생을 고생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고생 #된장 #신 ✅아내 #원수 #평생 -
아내에게 한 말은 나도 소에게 한 말은 나지 않는다
:
소에게는 무슨 말을 하여도 절대로 다시 옮기는 일이 없어 새어 나가지 아니하지만 처나 가까운 가족에게 한 말은 어김없이 새어 나가기 마련이라는 뜻으로, 아무리 다정한 사이라도 말을 조심하여서 가려 하여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가족 #다정 #말 #사이 #소 ✅아내 #일 #조심 #처 -
남편을 잘못 만나면 당대 원수 아내를 잘못 만나도 당대 원수
:
결혼을 잘못하면 일생 동안 불행하다는 말.
#결혼 #남편 #당대 #동안 #불행 ✅아내 #원수 #일생 -
무릇인지 닭의 똥인지 모른다
:
알아내어 구별하기 힘듦을 이르는 말.
#구별 #닭 #똥 #무 -
온통으로 생긴 놈 계집 자랑 반편으로 생긴 놈 자식 자랑
:
1
아내 자랑, 자식 자랑하는 사람을 조롱하는 말.
2
큰 천치는 아내 자랑하는 사람이고 반 천치는 자식 자랑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지나치게 사랑하여 눈이 어두워지는 경우를 경계하는 말.
#경계 #경우 #계집 #눈 #반 #반편 #사람 #사랑 ✅아내 #온 #자랑 #자식 #조롱 #천치 -
염치없는 조 발막이다
:
조가 성을 가진 사람이 궁궐에 들어가면서 신발이 없어 아내의 발막신을 신고도 부끄러운 줄을 몰랐다는 데서, 체면과 부끄러움을 전혀 모르는 파렴치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궁궐 #발막 #발막신 #부끄러움 #사람 #성 #신고 #신발 ✅아내 #조 #체면 #치 #파렴치 -
자볼기 맞겠다
:
남편이 잘못한 일이 있어 자기 아내에게 꾸지람을 듣게 되는 경우를 이르는 말.
#경우 #꾸지람 #남편 ✅아내 #일 #자볼기 -
혼백이 상처했다
:
혼백이 아내를 잃었다는 뜻으로, 넋을 잃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넋 #사람 #상처 ✅아내 #정신 #혼백 -
효자가 악처만 못하다
:
아무리 못된 아내라도 효자보다 낫다는 뜻으로,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 남자에게는 자식보다 아내가 더 중요하다는 말.
#남자 #세상 ✅아내 #악처 #자식 #중요 #효자 -
참외를 버리고 호박을 먹는다
:
1
알뜰한 아내를 버리고 둔하고 못생긴 첩을 취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좋은 것을 버리고 나쁜 것을 취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아내 #알뜰 #참외 #첩 #호박 -
색시가 고우면 처갓집 외양간 말뚝에도 절한다
:
1
아내가 좋으면 아내 주위의 보잘것없는 것까지 좋게 보인다는 말.
2
어떤 사람을 너무 좋아하여 사리 판단이 어두워지면 실수를 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한 가지가 좋아 보이면 모든 것이 다 좋아 보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말뚝 #보임 #사람 #사리 #색시 #실수 ✅아내 #외양간 #절 #주위 #처갓집 #판단 -
빚값에 계집 뺏기
:
빚을 물지 못하는 값으로 빚진 사람의 아내를 빼앗아 간다는 뜻으로, 인정 없고 심술궂으며 무도한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값 #계집 #빚 #빚값 #사람 ✅아내 #인정 #짓 -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
날이 샜다고 울어야 할 수탉이 제구실을 못하고 대신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는 뜻으로, 가정에서 아내가 남편을 제쳐 놓고 떠들고 간섭하면 집안일이 잘 안된다는 말.
#가정 #간섭 #날 #남편 #대신 #수탉 ✅아내 #암탉 #제구실 #집안 #집안일 -
사내가 어디 가나 옹솥하고 계집은 있다
:
어떤 남자라도 밥할 만한 작은 밥솥과 같이 살 여자는 다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못난 남자라도 밥벌이와 아내는 얻게 됨을 이르는 말.
#가 #계집 #남자 #밥 #밥벌이 #밥솥 #사내 ✅아내 #여자 #옹솥 -
계집은 상을 들고 문지방을 넘으며 열두 가지 생각을 한다
:
1
아내가 남편에게 할 이야기가 많지만 말할 기회가 없어 못하고 있다가, 밥상을 들고 들어가면서 여러 가지 할 말을 생각한다는 말.
2
여자는 언제나 여러 가지 복잡한 생각을 한다는 말.
#계집 #기회 #남편 #문지방 #밥상 #상 #생각 ✅아내 #여자 #이야기 -
수풀엣 꿩은 개가 내몰고 오장엣 말은 술이 내몬다
:
수풀에 숨은 꿩은 개가 찾아내서 내몰지만 사람이 마음속에 품은 생각은 술에 취하면 나온다는 뜻으로, 술이 들어가면 마음속에 있는 것을 모두 말해 버리게 된다는 말.
#개 #꿩 #마음속 #말 #몬 #몰 #사람 #생각 #수풀 #수풀엣 #술 #엣 #오장 -
장가는 얕이 들고 시집은 높이 가렷다
:
장가는 자기보다 부유하지 아니한 집에 가고 시집은 자기보다 부유한 사람에게 가야 아내가 남편을 존경하며 화목하게 살게 된다는 말.
#남편 #렷 #부유 #사람 #시집 ✅아내 #얕이 #장가 #존경 #집 #화목 -
밀가루 장사 하면 바람이 불고 소금 장사 하면 비가 온다
:
밀가루 장사를 하려고 장을 펼치면 바람이 불어와서 가루가 날리고 소금 장사를 하려고 하면 비가 와서 소금이 녹아내린다는 뜻으로, 일이 공교롭게 매번 뒤틀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가루 #밀가루 #바람 #비 #소금 #일 #장 #장사 -
더러운 처와 악한 첩이 빈방보다 낫다
:
아무리 못된 아내라도 없는 것보다 있는 것이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빈방 ✅아내 #악 #처 -
계집은 남의 것이 곱고 자식은 제 새끼가 곱다
:
1
자식에 대한 부모의 정은 더할 나위가 없음을 이르는 말.
2
남의 여자를 넘겨다보며 자기 아내에 대하여 불만을 가지는 실없는 남자의 마음을 이르는 말.
#계집 #남 #남자 #마음 #부모 #불만 #새끼 ✅아내 #여자 #자식 #정 -
처남의 댁네 병 보듯
:
처남의 아내가 앓는 병에 대하여 가슴 아파하지 않고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는 뜻으로, 일을 진심으로 하지 않고 건성건성으로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가슴 #대수 #댁 #병 #성건성 ✅아내 #일 #진심 #처남 #함 -
사내는 죽을 때 계집과 돈을 머리맡에 놓고 죽어라
:
남자가 늙어서는 아내와 돈이 있어야 된다는 말.
#계집 #남자 #돈 #때 #머리맡 #사내 ✅아내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아내
:
내로 끝나는 단어: 총 302개
-
내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64개입니다.- 예: 파내(叵耐), 탄내, 곽내(郭內), 군내(郡內), 지내(地內)
-
내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04개입니다.- 예: 이내, 체내, 탄내, 파내, 곽내
-
내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6개입니다.- 예: 이내, 자내, 환내, 불내, 유내
-
내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84 종류의 한자 중에서 151번 사용된 內이 최다입니다.- 예: 액내(額內), 성내(城內), 곽내(郭內), 군내(郡內), 지내(地內)
-
내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6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2개입니다.- 예: 내, 내내
-
내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6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58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이내, 와내, 우내, 유내, 액내
-
-
아내
:
아내로 끝나는 단어: 총 4개
-
아내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2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자음 ㅇㄴ 단어: 총 416개
-
자음 ㅇㄴ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61개입니다.- 예: 요나(Jonah), 약년(藥碾), 압닐(狎昵/狎暱), 이내(以內), 왜낫(倭낫)
-
자음 ㅇㄴ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6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1개입니다.- 예: 의능, 이내, 연노, 임나, 유내
-
자음 ㅇㄴ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37 종류의 한자 중에서 37번 사용된 女이 최다입니다.- 예: 유녀(猶女), 양녀(洋女), 용녀(龍女), 약녀(弱女), 일녀(一女)
-
-
:
모음 ㅏㅐ 단어: 총 1,374개
-
모음 ㅏㅐ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33개입니다.- 예: 발뺌, 타맥(打麥), 하재(下齋), 다래, 안택(安宅)
-
모음 ㅏㅐ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3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6개입니다.- 예: 탁대, 다색, 삼대, 강대, 하재
-
모음 ㅏㅐ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72 종류의 한자 중에서 75번 사용된 行이 최다입니다.- 예: 감행(敢行), 판행(版行), 장행(壯行), 아행(牙行), 사행(使行)
-
모음 ㅏㅐ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8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245번 사용된 ㅅ이 최다입니다.- 예: 사생, 사대, 상개, 삿대, 사앵
-
-
아내
:
아로 시작하는 단어: 총 3,590개
-
아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152개입니다.- 예: 아조(我朝), 아, 아(阿), 아(我), 아(雅)
-
아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8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99개입니다.- 예: 아슬하다, 아짝대다, 아무아무, 아카바만, 아라한과
-
아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3개의 분야 중에서 화학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355개입니다.- 예: 아니솔, 아연, 아연록, 아세톤, 아족
-
아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45 종류의 한자 중에서 242번 사용된 亞이 최다입니다.- 예: 아강(亞綱), 아연(亞鉛), 아목(亞目), 아세(亞歲), 아준(亞樽)
-
아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47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00개입니다.- 예: 아뢰다, 아물다, 아일다, 아뤼다, 아리다
-
-
아내
:
아내로 시작하는 단어: 총 9개
-
아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개입니다.
-
아내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6 종류의 글자수로 분류됩니다.
-
아내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2 종류의 한자로 분류됩니다.
-
아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개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