ㅣ 🌻모음(중성) 단어 560개
-
비
(篚)
:
1
대나무로 만든 광주리.
2
제사 지낼 때에, 신위에 바치는 폐백을 담는 광주리. 높이가 다섯 치, 길이가 두 척 여덟 치, 너비가 다섯 치 두 푼이다.
🌏 篚: 둥근 대광주리 비 - 킹 (King, William Lyon Mackenzie) : 캐나다의 정치가ㆍ수상(1874~1950). 세 번에 걸쳐 22년 동안 정권을 잡았다. 노동 문제에 정통하였고 미국과 협력 관계를 강화하는 데에 힘썼으며 국제 연합의 창건에도 이바지하였다.
- 티 (T) : ‘T’ 자 모양으로 생긴 반소매 셔츠.
-
긴
(緊)
:
‘긴하다’의 어근. (긴하다: 꼭 필요하다., 매우 간절하다.)
🌏 緊: 팽팽할 긴 -
길
(吉)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해평(海平), 선산(善山) 등이 현존한다.
🌏 吉: 길할 길 -
씨
(氏)
:
‘그 성씨 자체’, ‘그 성씨의 가문이나 문중’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氏: 성 씨 -
피
(鈹)
:
구리, 니켈 따위를 정련(精鍊)하거나 광석을 환원(還元)할 때에, 찌끼 밑에 생기는 순도가 낮은 금속.
🌏 鈹: 대침 피 양날칼 피 큰창 피 어수선할 피 베릴륨 피 -
임
(壬)
:
1
천간(天干)의 아홉째.
2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북(正北)에서 서로 15도의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3
이십사시(二十四時)의 스물넷째 시. 오후 열 시 반에서 열한 시 반까지이다.
🌏 壬: 아홉째 천간 임 -
진
(津)
:
‘진하다’의 어근. (진하다: 액체의 농도가 짙다., 기체의 밀도가 높다., 빛깔이 짙다., 맛이나 냄새가 강하다., 감정의 정도가 보통보다 더 깊다., 어떤 정도가 보통보다 더 세거나 강하다.)
🌏 津: 나루 진 건널 진 전할 진 진액 진 방법 진 물가 진 윤택할 진 적실 진 흘러나올 진 은하수 진 - 힘 : 1 일이나 활동에 도움이나 의지가 되는 것. 2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나 역량. 3 약물 따위가 인체에 미치는 효력이나 효능. ... (총 13개의 의미)
-
기
(岐)
:
문무관 출신 이외에 기예로써 관직에 임명된 벼슬아치. 천문관, 금루관, 화원, 녹사, 사자관, 역관, 명과학, 치종 교수, 율원 따위이다.
🌏 岐: 갈림길 기 -
진
(陳)
:
중국 남북조 시대, 남조의 마지막 나라. 557년 진패선(陳霸先)이 후경(侯景)의 난을 평정한 뒤, 양나라의 정권을 장악하여 제위에 올랐는데, 589년 수나라의 문제에게 망하였다.
🌏 陳: 늘어놓을 진 -
기
(箕)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행주(幸州) 하나뿐이다.
🌏 箕: 키 기 -
진
(眞)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서산(西山) 하나뿐이다.
🌏 眞: 참 진 -
미
(尾)
:
물고기나 벌레 따위를 세는 단위.
🌏 尾: 꼬리 미 -
필
(疋)
:
일정한 길이로 말아 놓은 피륙을 세는 단위.
🌏 疋: 짝 필 -
심
(心)
:
‘마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心: 마음 심 -
지
(至)
:
양기가 성하여 지나치게 빨리 뛰는 맥.
🌏 至: 이를 지 -
비
(否)
:
육십사괘(六十四卦)의 하나. 건괘(乾卦)와 곤괘(坤卦)가 거듭된 것으로 하늘과 땅이 서로 사귀지 못함을 상징한다.
🌏 否: 막힐 비 -
진
(晉)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남원(南原), 진주(晉州) 등이 현존한다.
🌏 晉: 나아갈 진 - 짚 : 1 벼의 낟알을 떨어낸 줄기. 2 벼, 보리, 밀, 조 따위의 이삭을 떨어낸 줄기와 잎.
- 길 : 1 어떤 행동이 끝나자마자 즉시. 2 사람이나 동물 또는 자동차 따위가 지나갈 수 있게 땅 위에 낸 일정한 너비의 공간. 3 물 위나 공중에서 일정하게 다니는 곳. ... (총 10개의 의미)
-
비
(非)
:
잘못되거나 그른 것.
🌏 非: 아닐 비 - 심 : 소의 힘줄.
- 시 (C/c) : 영어 알파벳의 세 번째 자모 이름.
-
필
(畢)
:
‘필하다’의 어근. (필하다: 일정한 의무나 과정을 마치다.)
🌏 畢: 마칠 필 - 필 : ‘칼’을 속되게 이르는 말. (칼: 물건을 베거나 썰거나 깎는 데 쓰는 도구. 날과 자루로 이루어져 있다.)
- 길 : 물건 품질의 등급.
-
지
(地)
:
1
‘장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2
‘옷감’ 또는 ‘천’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地: 땅 지 - 킬 (keel) : 1 영국 해안에서 석탄 운반 따위에 쓰는 돛을 단 바닥이 평평한 배. 2 선박 바닥의 중앙을 받치는 길고 큰 재목. 이물에서 고물에 걸쳐 선체를 받치는 기능을 한다.
- 기 : ‘품사’를 달리 이르는 말. 주시경이 만든 말로 뒤에 ‘씨’로 고쳤다. (품사: 단어를 기능, 형태, 의미에 따라 나눈 갈래.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 문법에서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의 아홉 가지로 분류한다.)
- 띠 : 사람이 태어난 해를 열두 지지(地支)를 상징하는 동물들의 이름으로 이르는 말.
- 이 : 1 말하는 이에게 가까이 있거나 말하는 이가 생각하고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 2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 3 ‘이 사람’을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 ... (총 5개의 의미)
-
이
(釐)
:
1
분(分)의 10분의 1이 되는 수. 즉, 10-2을 이른다.
2
분(分)의 10분의 1이 되는 수의. 즉, 10-2을 이른다.
🌏 釐: 의리 이 -
일
(日)
:
‘일본’을 이르는 말. (일본: 아시아 동쪽 끝에 있는 입헌 군주국. 일본 열도를 이루는 홋카이도(北海道)ㆍ혼슈(本州)ㆍ시코쿠(四國)ㆍ규슈(九州) 및 그 부속 도서(島嶼)로 이루어진 섬나라로, 1867년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이후 자본주의적 군주 국가로서 급속히 발전하였다. 농업과 공업, 전자 산업이 발달하여 경제 수준이 높으며, 일본어를 사용하고 한자와 가나를 쓴다. 수도는 도쿄, 면적은 37만 7800㎢.)
🌏 日: 날 일 - 씨 : 단어를 기능, 형태, 의미에 따라 나눈 갈래.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 문법에서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의 아홉 가지로 분류한다.
- 잇 : 1 잇꽃의 꽃부리에서 얻은 붉은빛의 물감. 2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피침 모양이다. 7~9월에 붉은빛을 띤 누런색의 꽃이 줄기 끝과 가지 끝에 핀다. 씨로는 기름을 짜고 꽃은 약용하고, 꽃물로 붉은빛 물감을 만든다. 이집트가 원산지로 중국, 인도, 남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 집 : 1 사람이나 동물이 추위, 더위, 비바람 따위를 막고 그 속에 들어 살기 위하여 지은 건물. 2 사람이나 동물이 살기 위하여 지은 건물의 수효를 세는 단위. 3 바둑에서, 자기 돌로 에워싸 상대편 돌이 들어올 수 없게 한 빈 자리를 세는 단위. ... (총 10개의 의미)
-
기
(基)
:
‘기하다’의 어근. (기하다: 기초를 두다.)
🌏 基: 터 기 - 림 (rim) : 1 자동차나 자전거 따위에서 바퀴의 테를 이루는 고리 모양의 부분. 여기에 고무 타이어를 고정한다. 2 농구에서, 농구대의 수직 판에 공을 던져 넣도록 고정되어 있는 둥근 테.
- 띠 : 1 옷 위로 허리를 둘러매는 끈. 2 주로 아이를 업을 때 쓰는, 너비가 좁고 기다란 천. 3 너비가 좁고 기다랗게 생긴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총 4개의 의미)
- 히 : 1 ‘사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사동: 주체가 제3의 대상에게 동작이나 행동을 하게 하는 동사의 성질.) 2 ‘사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사동: 주체가 제3의 대상에게 동작이나 행동을 하게 하는 동사의 성질.) 3 ‘피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피동: 남의 힘에 의하여 움직이는 일., 주체가 다른 힘에 의하여 움직이는 동사의 성질.)
- 지 : 어떤 일이 있었던 때로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을 나타내는 말.
-
집
(集)
:
‘모아 엮은 책’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集: 모을 집 - 킹 (King, Gregory) : 영국의 계량(計量) 경제학자(1648~1712). 잉글랜드와 웨일스 지방의 인구 및 국민 소득을 최초로 과학적으로 추정하였으며, 곡물 수확량과 곡물 가격과의 변동 관계에 대한 ‘킹의법칙’을 제창하였다. 저서에 ≪잉글랜드의 상태≫가 있다. (킹의 법칙: 곡물의 수확량이 정상 수준 이하로 감소할 때에 그 가격은 정상 수준 이상으로 오른다는 법칙. 17세기 말 영국의 경제학자 킹이 정립하였다.)
-
이
(理)
:
만물의 이치, 원리, 질서. 이(理)란 원래 옥(玉)에 나타나는 무늬를 가리켰는데, 나중에 철학적 개념으로 발전하여 ‘사물에 내재하는 원리’, ‘우주의 근본이 되는 도리’ 따위를 지칭하게 되었다. 특히 성리학에서는 사물의 질료적 측면을 기(氣)라 하고 원리적 측면을 이(理)라 한다.
🌏 理: 다스릴 이 - 시 (C/c) : 서양 음악의 칠음 체계에서, 첫 번째 음이름.
- 비 : 1 화투에서, 비를 피하고 있는 모양이 그려져 있는 화투장. 12월이나 열두 끗을 나타낸다. 2 대기 중의 수증기가 높은 곳에서 찬 공기를 만나 식어서 엉기어 땅 위로 떨어지는 물방울.
-
이
(伊)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태원(太原), 은천(銀川) 등이 현존한다.
🌏 伊: 저 이 - 밀 : 함지질할 때 나오는 모래알 모양의 광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