ㅣ ㅐ 🌻모음(중성) 단어 710개
-
이색 (李穡) : 고려 말기의 문신ㆍ학자(1328~1396). 자는 영숙(穎叔). 호는 목은(牧隱). 중국 원나라에 가서 과거에 급제하고, 귀국하여 우대언(右代言)과 대사성 따위를 지냈다. 삼은의 한 사람으로, 문하에 권근과 변계량 등을 배출하여 학문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조선 개국 후 태조가 여러 번 불렀으나 절개를 지키고 나가지 않았다. 저서에 ≪목은시고(牧隱詩藁)≫, ≪목은문고(牧隱文藁)≫ 따위가 있다.
🌏 李: 오얏 이 穡: 거둘 색 -
빈개 (擯介) : 주인과 손님 사이에서 주선하여 주는 사람.
🌏 擯: 물리칠 빈 介: 끼일 개 -
필패 (必敗) : 반드시 패함.
🌏 必: 반드시 필 敗: 패할 패 -
지랭 (至冷) : ‘지랭하다’의 어근. (지랭하다: 몹시 차거나 춥다.)
🌏 至: 이를 지 冷: 찰 랭 -
시태 : 소의 등 위에 실은 짐.
-
임맥 (任脈) : 기경 팔맥의 하나. 회음(會陰)에서 시작하여 몸 앞쪽의 중심선을 따라 아랫입술 밑의 혈(穴)인 승장(承奬)에 이르는 경락(經絡)이다.
🌏 任: 맡길 임 脈: 맥 맥 -
인재 (印材) : 도장을 만드는 재료. 나무, 돌, 뿔, 상아, 고무, 쇠붙이 따위가 있다.
🌏 印: 도장 인 材: 재목 재 -
미색 (微色) : 엷은 빛.
🌏 微: 작을 미 色: 빛 색 -
기해 (氣海) : ‘대기’를 바다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대기: ‘공기’를 달리 이르는 말., 천체(天體)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기체.)
🌏 氣: 기운 기 海: 바다 해 -
이재 (里宰) : 조선 시대에, 지방의 동리에서 호적에 관한 일과 그 밖의 공공사무를 맡아보던 사람.
🌏 里: 마을 이 宰: 재상 재 주재자 재 개인집에딸린노예 재 다스릴 재 짐승을도살할 재 무덤 재 봉읍 재 찌꺼기 재 -
일재 (逸才) : 보통보다 뛰어난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
🌏 逸: 잃을 일 才: 재주 재 -
이해 (裏醢) : 조기의 내장으로만 담근 젓.
🌏 裏: 속 이 醢: 육장 해 -
집채 : 집의 한 덩이.
-
기색 (起色) : 1 장사 시세. 2 어떠한 일이 일어날 동정(動靜).
🌏 起: 일어날 기 色: 빛 색 -
짐태 (짐駄) : 말이나 소로 실어 나르는 짐.
🌏 駄: 짐실을 태 낙타 태 짐 태 바리 태 -
기행 (紀行) : 여행하는 동안에 보고, 듣고, 느끼고, 겪은 것을 적은 것.
🌏 紀: 벼리 기 行: 다닐 행 -
기책 (奇策) : 남들이 흔히 생각할 수 없는 기묘한 꾀.
🌏 奇: 기이할 기 策: 꾀 책 -
피행 (피行) : → 파행. (파행: 절뚝거리며 걸음., 일이나 계획 따위가 순조롭지 못하고 이상하게 진행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떤 병이 원인이 되어 정상적으로 걷지 못하는 상태.)
🌏 行: 다닐 행 -
징색 (徵色) : 얼굴에 나타냄.
🌏 徵: 부를 징 色: 빛 색 -
이재 (移栽) : 옮겨서 재배함.
🌏 移: 옮길 이 栽: 심을 재 -
지대 (支隊) : 본 부대에서 갈라져 나와 있는 소규모 부대.
🌏 支: 지탱할 지 隊: 떼 대 -
이재 (異財) : 재산을 나누어 따로 떼어 둠.
🌏 異: 다를 이 財: 재물 재 -
침재 (沈滓) : 액체 속에 있는 물질이 밑바닥에 가라앉음. 또는 그 물질.
🌏 沈: 잠길 침 滓: 찌꺼기 재 찐득찐득해쉽게응결하는물질 재 더러운생각이나감정 재 더러울 재 오염될 재 -
이재 (理財) : 재산을 잘 관리함.
🌏 理: 다스릴 이 財: 재물 재 -
기내 (畿內) : 1 나라의 수도를 중심으로 하여 사방으로 뻗어 나간 가까운 행정 구역의 안. 2 조선 시대에, 경기도 일대를 이르던 말.
🌏 畿: 경기 기 內: 안 내 -
미생 (未生) : 미년(未年)에 태어난 사람을 이르는 말.
🌏 未: 아닐 미 生: 날 생 -
기재 (機才) : 기민한 재주나 임기응변의 재치.
🌏 機: 틀 기 才: 재주 재 -
미태 (美態) : 아름다운 자태.
🌏 美: 아름다울 미 態: 모양 태 -
미개 (未開) : 1 사회가 발전되지 않고 문화 수준이 낮은 상태. 2 아직 꽃이 피지 않음. 3 토지 또는 어떤 분야가 개척되지 않음.
🌏 未: 아닐 미 開: 열 개 -
기재 (棋才/碁才) : 바둑을 잘 두는 재능.
🌏 棋: 바둑 기 才: 재주 재 碁: 바둑 기 才: 재주 재 -
이래 (移來) : 옮겨 옴.
🌏 移: 옮길 이 來: 올 래 -
지대 (地帶) :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한정된 일정 구역.
🌏 地: 땅 지 帶: 띠 대 -
치랭 (治冷) : 냉병이나 냉기를 다스림.
🌏 治: 다스릴 치 冷: 찰 랭 -
비배 (肥培) : 식물에 거름을 주고 가꿈.
🌏 肥: 살찔 비 培: 북돋울 배 -
인내 (忍耐) : 괴로움이나 어려움을 참고 견딤.
🌏 忍: 참을 인 耐: 견딜 내 -
밀개 : 1 밀가루 반죽 따위를 밀어서 얇고 넓게 만드는 기구. 2 밀어 주는 작용을 하는 기계 부속품.
-
입개 (笠蓋) : 불좌 또는 높은 좌대를 덮는 장식품. 나무나 쇠붙이로 만들어 법회 때 법사의 위를 덮는다. 원래는 인도에서 햇볕이나 비를 가리기 위하여 쓰던 우산 같은 것이었다.
🌏 笠: 삿갓 입 蓋: 덮을 개 -
지색 (知色) : 색(色)의 길을 잘 앎.
🌏 知: 알 지 色: 빛 색 -
지객 (知客) : 절에서 오고 가는 손님을 접대하고 안내하는 일. 또는 그 일을 맡은 사람.
🌏 知: 알 지 客: 손님 객 -
신책 (神策) : 신기하고 뛰어난 꾀와 방법.
🌏 神: 귀신 신 策: 꾀 책 -
심핵 (深劾) : 깊이 그 죄를 캐내어 조사함.
🌏 深: 깊을 심 劾: 캐물을 핵 -
기대 (機臺) : 기계를 올려놓는 받침.
🌏 機: 틀 기 臺: 돈대 대 -
이행 (異行) : 보통 사람과 다른 행동.
🌏 異: 다를 이 行: 다닐 행 -
삐빼 : 1 어린아이의 높고 가느다란 울음소리. 2 피리나 호드기 따위를 불 때 나는 소리.
-
지배 (遲配) : 배급, 배달, 지급 따위가 늦어짐.
🌏 遲: 더딜 지 配: 짝 배 -
시태 (始胎) : 석 달 자란 태아. 비로소 사람의 모양을 갖추며 남녀 생식기가 구별되는 상태이다.
🌏 始: 비로소 시 胎: 아이 밸 태 -
이배 (離杯) : 이별의 술잔.
🌏 離: 떠날 이 杯: 잔 배 -
일개 (一介) : 보잘것없는 한 낱.
🌏 一: 하나 일 介: 끼일 개 -
진배 (進排) : 물품을 나라에 바침.
🌏 進: 나아갈 진 排: 물리칠 배 -
시행 (詩行) : 운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시의 행.
🌏 詩: 시 시 行: 다닐 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