ㅜ ㅓ 🌻모음(중성) 단어 1,690개
-
수선
(修繕)
:
낡거나 헌 물건을 고침.
🌏 修: 닦을 수 繕: 기울 선 -
분전
(奮戰)
:
있는 힘을 다하여 싸움.
🌏 奮: 떨칠 분 戰: 싸울 전 -
군정
(軍丁)
:
군적(軍籍)에 있는 지방의 장정. 16세 이상 60세 미만의 정남(丁男)으로, 국가나 관아의 명령으로 병역이나 노역(勞役)에 종사하였다.
🌏 軍: 군사 군 丁: 고무래 정 -
숙석
(熟石)
:
인공으로 다듬은 돌.
🌏 熟: 익을 숙 石: 돌 석 -
불어
(佛語)
:
1
부처의 말. 곧 경전에 있는 말을 이른다.
2
불경에 쓰이거나 불교도가 주로 쓰는 말.
🌏 佛: 부처 불 語: 말씀 어 -
누선
(樓船)
:
다락이 있는 배. 배 안에 이 층으로 집을 지은 배로서 주로 해전이나 뱃놀이에 쓰였다.
🌏 樓: 다락 누 船: 배 선 -
주벌
(誅罰)
:
죄인을 처벌함. 또는 그 벌.
🌏 誅: 벨 주 罰: 벌줄 벌 -
부절
(不節)
:
고구려 때의 직제 가운데 하나. 구품 정도에 해당하는 벼슬이다.
🌏 不: 아닌가 부 節: 마디 절 -
묵법
(墨法)
:
동양화에서, 먹으로 그림을 그리는 기법.
🌏 墨: 먹 묵 法: 법도 법 - 툼벙 : 크고 묵직한 물건이 깊은 물에 떨어져 잠기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숙설
(宿雪)
:
작년에 내려 아직 녹지 아니한 눈. 또는 녹다 남은 눈.
🌏 宿: 잠잘 숙 雪: 눈 설 - 우렁 : → 우렁이. (우렁이: 우렁잇과의 고둥을 통틀어 이르는 말. 껍데기는 원뿔형이며 어두운 녹색이다. 무논, 웅덩이 등지에 산다.)
-
중벌
(重罰)
:
무겁게 벌함. 또는 무거운 형벌.
🌏 重: 무거울 중 중요할 중 점잖을 중 삼갈 중 어려울 중 거듭 중 아낄 중 숭상할 중 罰: 벌줄 벌 -
주적
(紬績)
:
실을 뽑아내는 일.
🌏 紬: 명주 주 績: 길쌈할 적 -
추천
(秋天)
:
가을철의 하늘.
🌏 秋: 가을 추 天: 하늘 천 - 누렁 : 누런 빛깔이나 물감.
- 움펑 : ‘움펑하다’의 어근. (움펑하다: 가운데가 우묵하게 들어가 있다.)
-
추선
(秋蟬)
:
가을의 매미.
🌏 秋: 가을 추 蟬: 매미 선 - 쑥떡 : 쑥을 넣어 만든 떡.
-
우선
(牛癬)
:
‘백선’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백선: 피부 진균의 침입으로 생기는 전염 피부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표피나 진피가 변화하여 피부의 빛깔이 변하고 살갗이나 털이 떨어지며 얼룩이 생긴다.)
🌏 牛: 소 우 癬: 옴 선 -
문정
(問情)
:
1
사정을 물음.
2
조선 말기에, 외국의 배가 처음으로 항구에 들어왔을 때나 외국인이 표류하여 왔을 때 관리를 보내어 그 사정을 알아보던 일.
🌏 問: 물을 문 情: 뜻 정 -
문천
(文川)
:
함경남도 문천군의 중앙부에 있는 읍. 함경선의 중요한 철도역이며 농산물과 임산물의 집산지이다. 군청 소재지이다.
🌏 文: 글월 문 꾸밀 문 川: 내 천 - 술턱 : 좋은 일이 있을 때에 남에게 베푸는 술대접.
-
수적
(數的)
:
1
수를 기준으로 하는 것.
2
수를 기준으로 하는.
🌏 數: 셀 수 的: 과녁 적 -
부업
(父業)
:
1
아버지의 직업.
2
대대로 이어서 내려오는 직업.
🌏 父: 아버지 부 業: 업 업 -
후정
(厚情)
:
남에게 두터이 인정을 베푸는 마음.
🌏 厚: 두터울 후 情: 뜻 정 -
숙청
(熟淸)
:
찌끼를 없앤 맑은 꿀.
🌏 熟: 익을 숙 淸: 맑을 청 -
부서
(府署)
:
예전에, 벼슬아치들이 모여 나랏일을 처리하던 곳.
🌏 府: 마을 부 署: 관청 서 -
눈접
(눈椄)
:
나뭇가지의 중간 부위에 있는 눈을 떼어 접본이 될 가지에 접을 붙임. 또는 그런 방법.
🌏 椄: 접붙일 접 -
묵적
(墨跡/墨迹)
:
먹으로 쓴 흔적.
🌏 墨: 먹 묵 跡: 자취 적 墨: 먹 묵 迹: 자취 적 -
수법
(水法)
:
해양, 운하, 호수, 하천, 상ㆍ하수도 따위 물에 관한 모든 법률. 좁은 의미로는 공수(公水)에 관한 법률만을 이른다.
🌏 水: 물 수 法: 법도 법 -
주절
(主節)
:
종속절이 있는 문장에서 주(主)가 되는 절. ‘봄이 오니 날씨가 따뜻하다.’에서 ‘날씨가 따뜻하다’ 따위이다.
🌏 主: 주인 주 節: 마디 절 -
숙청
(淑淸)
:
‘숙청하다’의 어근. (숙청하다: 성품이나 행실이 깨끗하고 정숙하다.)
🌏 淑: 맑을 숙 淸: 맑을 청 -
부첩
(府貼)
:
관청에서 보내는 간단한 편지.
🌏 府: 마을 부 貼: 붙을 첩 -
죽점
(竹簟)
:
대오리로 엮어 만든 자리.
🌏 竹: 대 죽 簟: 대자리 점 -
중청
(中淸)
:
양금의 오른쪽 괘 왼쪽 둘째 줄인 태주의 구음.
🌏 中: 가운데 중 淸: 맑을 청 -
문전
(門箭)
:
문짝에 종이를 바르거나 유리를 끼우는 데에 뼈가 되는 나무오리나 대오리.
🌏 門: 문 문 箭: 화살 전 -
부정
(不庭)
:
1
지방 관아의 신하가 임금을 뵈러 오지 아니함. 또는 그 신하.
2
속국이 종주국에게 예물을 바치지 아니함. 또는 그 속국.
🌏 不: 아닌가 부 庭: 뜰 정 -
순접
(順接)
:
문장 또는 구(句)의 접속 방법. 앞뒤의 문장이나 구를 논리적 모순 없이 이유, 원인, 조건 따위의 관계가 되도록 순조롭게 잇는다. ‘그리고’, ‘그래서’, ‘그러니’, ‘그러므로’ 따위를 쓴다.
🌏 順: 순할 순 接: 접할 접 -
구절
(九折)
:
1
물체가 꼬불꼬불한 모양.
2
아홉 번 꼬부라진 양의 창자라는 뜻으로, 꼬불꼬불하며 험한 산길을 이르는 말.
🌏 九: 아홉 구 折: 꺾을 절 -
숙덕
(淑德)
:
1
착하고 아름다운 덕행.
2
여성의 정숙하고 단아한 덕행.
🌏 淑: 맑을 숙 德: 덕 덕 - 훌쩍 : 1 콧물을 단숨에 들이마시는 소리. 또는 그 모양. 2 거침없이 가볍게 길을 떠나는 모양. 3 액체 따위를 단숨에 남김없이 들이마시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총 5개의 의미)
- 부억 : → 부엌. (부엌: 일정한 시설을 갖추어 놓고 음식을 만들고 설거지를 하는 등 식사에 관련된 일을 하는 곳.)
-
군척
(捃摭)
:
주워서 가짐.
🌏 捃: 주울 군 摭: 주울 척 -
수적
(水賊)
:
바다나 큰 강에서 남의 재물을 강제로 빼앗아 가는 도둑.
🌏 水: 물 수 賊: 도둑 적 -
우점
(優點)
:
매우 훌륭한 점.
🌏 優: 넉넉할 우 點: 점찍을 점 -
구설
(口舌)
:
시비하거나 헐뜯는 말.
🌏 口: 입 구 舌: 혀 설 -
우성
(牛腥)
:
소의 날고기.
🌏 牛: 소 우 腥: 비릴 성 - 두덜 : ‘두덜거리다’의 어근. (두덜거리다: 남이 알아듣기 어려울 정도의 낮은 목소리로 자꾸 불평을 하다.)
-
울절
(鬱折)
:
고구려 때의 십사 관등 가운데 셋째 등급. 왕명의 출납과 국가의 문서, 장부 등을 맡아보았다.
🌏 鬱: 막힐 울 折: 꺾을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