ㅜ ㅏ 🌻모음(중성) 단어 2,749개
-
순란 (純爛) : ‘순란하다’의 어근. (순란하다: 아주 찬란하다.)
🌏 純: 순수할 순 爛: 불에 데일 란 -
중가 (重價) : 비싼 값.
🌏 重: 무거울 중 중요할 중 점잖을 중 삼갈 중 어려울 중 거듭 중 아낄 중 숭상할 중 價: 값 가 -
품값 : 품을 판 대가로 받거나, 품을 산 대가로 주는 돈이나 물건.
-
주사 (注射) : 약액을 주사기에 넣어 생물체의 조직이나 혈관 속에 직접 주입하는 일. 또는 그 기구.
🌏 注: 물댈 주 射: 쏠 사 -
순장 (順將) : 바둑에서, 한국식 바둑판의 네 변으로부터 각 넷째 줄을 6등분 한 5개의 점. 모두 16점으로 바둑을 둘 때 먼저 이 점들에 양편의 돌을 같은 꼴로 섞바뀌게 벌여 놓는다.
🌏 順: 순할 순 將: 장수 장 -
숙감 (宿憾) : 오래된 원한이나 좋지 못한 감정.
🌏 宿: 잠잘 숙 憾: 한할 감 -
수판 (數板) : 셈을 놓는 데 쓰는 기구의 하나.
🌏 數: 셀 수 板: 널빤지 판 -
충당 (衝幢) : 신라 때에 둔 사설당 가운데 하나. 전쟁터에서 적진으로 돌격하던 군대이다.
🌏 衝: 찌를 충 幢: 기 당 -
수마 (水磨) : 돌의 표면을 물을 쳐 가며 광택이 나도록 가는 일.
🌏 水: 물 수 磨: 갈 마 -
우사 (雨師) : 비를 맡은 신.
🌏 雨: 비 우 師: 스승 사 -
출말 (出末) : 일이 끝남.
🌏 出: 날 출 末: 끝 말 -
불차 (불車) : 소방 장비를 갖추고 있는 특수차.
🌏 車: 수레 차 -
북악 (北岳/北嶽) : 1 함경도와 만주 사이에 있는 산. 장백산맥(長白山脈) 동쪽에 솟은 우리나라 제일의 산이다. 최고봉인 병사봉에 있는 칼데라호인 천지(天池)에서 압록강, 두만강, 송화강(松花江)이 시작한다. 높이는 2,744미터. 2 중국 오악(五嶽) 가운데 하나. 산시성(山西省) 북부에 있는 산이다. 옛날에는 이 산 대신에 후베이성(河北省) 딩현(定縣) 서북쪽에 있는 다마오산(大茂山)을 북악에 포함시켰다. 높이는 2,052미터. 3 서울의 경복궁 북쪽에 있는 산. 서울 분지를 둘러싸는 자연 요새의 하나로 기반암은 화강암이며, 이 산을 중심으로 서울 북쪽의 성벽이 축조되었다. 높이는 342미터.
🌏 北: 북녘 북 패할 배 岳: 큰산 악 北: 북녘 북 패할 배 嶽: 큰산 악 -
북사 (北史) : 중국 당나라 때에, 이연수(李延壽)가 북위(北魏), 북제(北齊), 북주(北周) 및 수나라 4왕조 242년 동안의 사실(史實)을 기록한 역사책. 이십오사(二十五史)의 하나로, 본기(本紀) 12권, 열전(列傳) 88권으로 이루어졌다. 100권.
🌏 北: 북녘 북 史: 역사 사 -
군자 (裙子) : 허리에 둘러 입는 승려의 옷. 짧고 검은색이며 치마처럼 많은 주름을 잡아 만든다.
🌏 裙: 치마 군 子: 아들 자 -
북학 (北學) : 1 중국 남북조 시대에, 북조에서 행해진 학풍. 후한의 고문학적(古文學的) 경학(經學)을 중히 여겨 번잡한 실증(實證)을 좋아하였다. 2 조선 영조ㆍ정조 때에, 실학자들이 청나라의 앞선 문물제도 및 생활 양식을 받아들일 것을 내세운 학풍.
🌏 北: 북녘 북 學: 배울 학 -
수장 (愁腸) : 근심하고 슬퍼하는 마음.
🌏 愁: 근심 수 腸: 창자 장 -
우한 (Wuhan[武漢]) : 중국 양쯔강(揚子江)과 한수이강(漢水江)이 합쳐지는 곳에 있는 도시. 후베이성(湖北省)의 성도(省都)이다.
-
풍학 (風學) : 바람에 관한 학문.
🌏 風: 바람 풍 學: 배울 학 -
군학 (軍學) : 군사상의 전술을 연구하는 학문.
🌏 軍: 군사 군 學: 배울 학 -
훈자 (薰炙) : 남에게 교화(敎化)를 받음.
🌏 薰: 향풀 훈 炙: 구울 자 -
준가 (準價) : 1 제 가치에 꽉 찬 값. 2 가격에 준함. 또는 가격대로 함.
🌏 準: 법도 준 價: 값 가 -
불발 (不發) : 1 총알이나 폭탄 따위가 발사되지 아니함. 또는 발사된 폭발물이 터지지 아니함. 2 계획했던 일을 못 하게 됨.
🌏 不: 아닐 불 發: 필 발 -
불단 (佛壇) : 부처를 모셔 놓은 단.
🌏 佛: 부처 불 壇: 단 단 -
부감 (副監) : 감(監)이나 총감(總監)을 보좌하는 직위. 또는 그런 사람.
🌏 副: 버금 부 監: 볼 감 -
품칼 : 모시풀의 껍질을 벗기는 칼.
-
군살 : 1 영양 과잉이나 운동 부족 따위 때문에 찐 군더더기 살. 2 헌데에 두드러지게 내민 군더더기 살.
-
우산 (Wushan[巫山]) : 중국 충칭시(重慶市) 동쪽에 있는 현. 우산 십이봉(巫山十二峯)이 솟아 있는데 기암과 절벽으로 이루어진 경치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오동유를 비롯하여 쌀, 고구마, 수수를 생산한다.
-
문망 (門望) : 조선 시대에, 의정(議政)이 문에 들어올 때 하인이 문 앞에서 큰 소리로 이를 알리던 일.
🌏 門: 문 문 望: 바랄 망 -
풍안 (風眼) : 바람과 티끌을 막으려고 쓰는 안경.
🌏 風: 바람 풍 眼: 눈 안 -
수란 (水亂) : 큰물이나 그 밖의 원인으로 많은 물이 넘쳐서 일어난 혼란.
🌏 水: 물 수 亂: 어지러울 란 -
구나 (拘拿) : 죄인을 잡음.
🌏 拘: 잡을 구 拿: 잡을 나 -
붕탑 (崩塌) : 무너져서 한 곳이 떨어져 나감.
🌏 崩: 무너질 붕 塌: 애벌갈 탑 -
중방 (中枋) : 벽의 중간 높이에 가로지르는 인방.
🌏 中: 가운데 중 枋: 나무 이름 방 -
눈맛 : 눈으로 보고 느끼는 기분.
-
분만 (分娩) : 아이를 낳음.
🌏 分: 나눌 분 娩: 해산할 만 -
분사 (噴射) : 액체나 기체 따위에 압력을 가하여 세차게 뿜어 내보냄.
🌏 噴: 뿜을 분 射: 쏠 사 -
물차 (물車) : 가뭄이나 단수, 화재 따위로 물이 부족한 곳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탱크를 장치한 차.
🌏 車: 수레 차 -
수자 (守者) : 지키는 사람.
🌏 守: 지킬 수 者: 놈 자 -
중방 (中方) : 백제 때에, 지방에 둔 오방(五方) 가운데 고사성(古沙城)을 달리 이르던 말. 지금의 고부(古阜)에 해당한다.
🌏 中: 가운데 중 方: 모 방 -
주찰 (駐札) : 외교 사절로서 외국에 머물러 있음.
🌏 駐: 머무를 주 札: 패 찰 -
눈아 (嫩芽) : 새로 나오는 싹.
🌏 嫩: 어릴 눈 芽: 싹 아 -
충간 (忠奸) : 충신과 간신을 아울러 이르는 말.
🌏 忠: 충성 충 奸: 간음할 간 -
부압 (負壓) : 대기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
🌏 負: 짐질 부 壓: 누를 압 -
수난 (羞赧) : 부끄러워 얼굴을 붉힘.
🌏 羞: 바칠 수 赧: 얼굴 붉힐 난 -
궁할 (宮割) : 중국에서 행하던 오형(五刑) 가운데 하나. 죄인의 생식기를 없애는 형벌이다.
🌏 宮: 집 궁 割: 나눌 할 -
수단 (水壇) : 호마단의 하나. 질병이나 난리 따위가 생겼을 때 그 땅을 물로 깨끗하게 하여 하루 동안 급히 만든다.
🌏 水: 물 수 壇: 단 단 -
국한 (國漢) : 1 한글과 한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국어(國語)와 한어(漢語)를 아울러 이르는 말.
🌏 國: 나라 국 漢: 한나라 한 -
주장 (譸張) : 터무니없는 말로 남을 속임.
🌏 譸: 속일 주 張: 베풀 장 -
숙사 (熟思) : 깊이 생각함.
🌏 熟: 익을 숙 思: 생각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