ㅗ ㅣ ㅏ 🌻모음(중성) 단어 589개
-
쏘이다 : 1 벌레의 침과 같은 것으로 살이 찔리다. ‘쏘다’의 피동사. (쏘다: 벌레가 침과 같은 것으로 살을 찌르다.) 2 말이나 시선으로 상대편에게 매섭게 공격당하다. ‘쏘다’의 피동사. (쏘다: 말이나 시선으로 상대편을 매섭게 공격하다.)
-
송이밤 : 까지 않은 밤송이 속에 들어 있는 밤.
-
몰지각 (沒知覺) : 지각이 전혀 없음.
🌏 沒: 잠길 몰 知: 알 지 覺: 깨달을 각 -
조지방 (粗脂肪) : 순수하지 못한 지방질.
🌏 粗: 거칠 조 脂: 기름 지 肪: 살찔 방 -
몰이상 (沒理想) : 문학 창작에서, 이상(理想)이나 개인의 견해가 직접 드러나지 않고 이상보다는 현실이 그대로 묘사되어 있는 것.
🌏 沒: 잠길 몰 理: 다스릴 이 想: 생각 상 -
초입사 (初入仕) : 처음으로 벼슬을 함. 또는 그 벼슬.
🌏 初: 처음 초 入: 들 입 仕: 벼슬할 사 -
동미남 (東微南) : 동쪽에서 남쪽으로 조금 기울어진 방위. 동쪽과 동동남쪽 사이의 방위를 이른다.
🌏 東: 동녘 동 微: 작을 미 南: 남녘 남 -
공기창 (空氣窓) : 탁한 공기를 맑은 공기로 바꾸기 위하여 낸 조그마한 창.
🌏 空: 빌 공 氣: 기운 기 窓: 창문 창 -
모이다 : 작고도 여무지다.
-
보집합 (補集合) : ‘여집합’의 옛 용어. (여집합: 부분 집합과 전체 집합의 관계에 있는 두 집합 A와 U에서 전체 집합 U의 원소로서 부분 집합 A에 포함되지 않는 원소 전체로 이루어진 집합. ‘
’ 또는 ‘
’로 나타낸다.)
🌏 補: 기울 보 集: 모을 집 合: 합할 합 -
동지사 (冬至使) : 조선 시대에, 해마다 동짓달에 중국으로 보내던 사신.
🌏 冬: 겨울 동 至: 이를 지 使: 부릴 사 -
고시가 (告示價) : 정부에서 지정한 가격.
🌏 告: 아뢸 고 示: 보일 시 價: 값 가 -
녹지망 (綠地網) : 녹지가 넓은 지역에 광범위하게 그물 모양으로 조성되어 있는 것. 도시 안의 공원, 산책로, 도로변의 녹지들이 그물처럼 서로 연결될 때 이루어진다.
🌏 綠: 초록빛 녹 地: 땅 지 網: 그물 망 -
돌림자 (돌림字) : 항렬을 나타내기 위하여 이름자 속에 넣어 쓰는 글자. 성의 본관, 파에 따라 일정하다.
🌏 字: 글자 자 -
호익사 (虎翼司) : 조선 시대에 둔 십위의 하나. 태종 18년(1418)에 호익시위사를 고친 것으로, 문종 1년(1451)에 없앴다.
🌏 虎: 범 호 翼: 날개 익 司: 맡을 사 -
오비탈 (orbital) : 원자, 분자, 결정 속의 전자나 원자핵 속의 핵자 따위의 양자 역학적인 분포 상태를 이르는 말.
-
볼링장 (bowling場) : 볼링을 할 수 있게 설비를 갖춘 곳.
🌏 場: 마당 장 -
꼽히다 : 1 뽑혀서 지목되다. ‘꼽다’의 피동사. (꼽다: 골라서 지목하다.) 2 어떤 범위나 순위 안에 들다.
-
조리차 : 알뜰하게 아껴 쓰는 일.
-
옵니까 : 하십시오할 자리에 쓰여, 동작이나 상태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공손함을 나타내는 어미 ‘오’에 의문을 나타내는 어미 ‘ㅂ니까’가 결합한 말이다. (오: (예스러운 표현으로) 서술이나 의문에 공손함을 더하여 주는 어미.)
-
골리다 : 상대편을 놀리어 약을 올리거나 골이 나게 하다.
-
소리파 (소리波) : 들을 수 있는 주파수의 탄성파. 주로 공기 속의 파동을 이르는데, 이것의 전파 속도는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 波: 물결 파 -
소디앙 : → 소댕. (소댕: 솥을 덮는 쇠뚜껑. 가운데가 볼록하게 솟고 복판에 손잡이가 붙어 있다.)
-
고심작 (苦心作) : 고심하면서 애쓴 끝에 완성한 작품.
🌏 苦: 괴로울 고 心: 마음 심 作: 지을 작 -
오지랍 : → 오지랖. (오지랖: 웃옷이나 윗도리에 입는 겉옷의 앞자락.)
-
옥잎잠 (玉잎簪) : 나뭇잎을 새긴 옥비녀.
🌏 玉: 구슬 옥 簪: 비녀 잠 -
도닐다 : 가장자리를 빙빙 돌며 거닐다.
-
동일자 (同一者) : 현실에서 동일하게 있는 사물. 곧 같은 사물을 말한다.
🌏 同: 같을 동 一: 하나 일 者: 놈 자 -
소일차 (小日次) : 조선 시대에, 왕실의 반찬거리를 매일 진상하게 하던 일.
🌏 小: 작을 소 日: 날 일 次: 버금 차 -
존시간 (尊侍間) : 나이가 많은 사람과 나이가 적은 사람과의 사이. 주로 20세 정도의 차이가 있을 때에 쓴다.
🌏 尊: 높을 존 侍: 모실 시 間: 사이 간 -
종잇장 (종잇張) : 1 종이의 낱장. 2 핏기가 없이 창백한 얼굴빛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張: 베풀 장 -
홀리다 : 1 무엇의 유혹에 빠져 정신을 차리지 못하다. 2 유혹하여 정신을 차리지 못하게 하다.
-
종이칼 : 1 종이로 만든 칼. 2 종이를 자르는 작은 칼.
-
송신악 (送神樂) : 문묘나 종묘 따위의 제례에서, 신을 보낼 때 연주하는 음악.
🌏 送: 보낼 송 神: 귀신 신 樂: 풍류 악 -
조지다 : 1 (속되게) 일신상의 형편이나 일정한 일을 망치다. 2 (속되게) 쓰거나 먹어 없애다.
-
토피카 (Topeka) : 미국 캔자스강 하류에 있는 도시. 농업과 제분 따위의 공업이 발달하였다. 캔자스주의 주도(州都)이다.
-
꼬이다 : 1 사람이 한곳에 많이 모이다. 2 벌레 따위가 한곳에 많이 모여들어 뒤끓다.
-
곰피다 : 곰팡이가 피다.
-
보리밭 : 보리를 심은 밭.
-
종이함 (종이函) : 두꺼운 종이로 만든 상자. 상품을 담는 데 주로 사용한다.
🌏 函: 함 함 -
홍익한 (洪翼漢) : 조선 인조 때의 문신(1586~1637). 자는 백승(伯升). 호는 화포(花浦)ㆍ운옹(雲翁). 삼학사의 한 사람으로, 병자호란 때에 척화론을 주장하여 중국 청나라 선양(瀋陽)에 붙잡혀 갔으나 끝내 뜻을 굽히지 않고 죽었다.
🌏 洪: 큰 물 홍 翼: 날개 익 漢: 한나라 한 -
도낏밥 : 도끼질을 할 때 생기는 나무 부스러기.
-
몽비망 (夢非妄) : 꿈은 헛된 것이 아니고, 무엇인가를 상징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 夢: 꿈 몽 非: 아닐 비 妄: 허망할 망 -
몰비판 (沒批判) :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않음.
🌏 沒: 잠길 몰 批: 비평할 비 비파 비 칠 비 물리칠 비 깎을 비 비답 비 보일 비 개선할 비 평어 비 判: 판가름할 판 -
독립사 (獨立史) : 나라의 독립을 위한 투쟁의 역사. 또는 그것을 서술한 책.
🌏 獨: 홀로 독 立: 설 립 史: 역사 사 -
홑치마 : 1 속에 아무것도 입지 않고 입은 치마. 2 한 겹으로 된 치마.
-
초립장 (草笠匠) : 조선 시대에, 공조와 상의원에 속하여 초립 만드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 草: 풀 초 笠: 삿갓 립 匠: 장인 장 -
동이다 : 끈이나 실 따위로 감거나 둘러 묶다.
-
독립상 (獨立像) : 장식용으로 따로 조각된 작품.
🌏 獨: 홀로 독 立: 설 립 像: 모양 상 -
손실각 (損失角) : 코일이나 콘덴서의 전력 소비의 크기를 나타내는 양.
🌏 損: 덜 손 失: 잃을 실 角: 뿔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