ㅗ ㅗ ㅏ 🌻모음(중성) 단어 402개
-
노통장 (弩筒匠) : 예전에, 화살이나 쇠뇌를 넣어 두는 통을 만들던 수공업자.
🌏 弩: 쇠뇌 노 筒: 통 통 匠: 장인 장 -
호초말 (胡椒末) : 후추를 갈아서 만든 가루. 양념으로 쓴다.
🌏 胡: 오랑캐 호 椒: 산초나무 초 末: 끝 말 -
통돌다 : 여러 사람의 의견이 합치되어 그렇게 하기로 서로 알려지다.
-
본동사 (本動詞) : 보조 용언의 도움을 받는 동사.
🌏 本: 근본 본 動: 움직일 동 詞: 말씀 사 -
도본사 (道本司) : 대종교의 도 단위 기관. 전리가 맡아본다.
🌏 道: 길 도 本: 근본 본 司: 맡을 사 -
돌보다 : 관심을 가지고 보살피다.
-
속보판 (速報板) : 주요 사항을 빨리 알리는 데 쓰는 게시판.
🌏 速: 빠를 속 報: 갚을 보 板: 널빤지 판 -
고소발 (高素勃) : 고구려 중천왕의 아들(?~286). 서천왕의 동생으로, 형 일우(逸友)와 함께 반역을 꾀하다가 처형되었다.
🌏 高: 높을 고 素: 흴 소 勃: 우쩍 일어날 발 -
종모마 (種牡馬) : 씨를 받기 위하여 기르는 수말.
🌏 種: 씨 종 牡: 수컷 모 馬: 말 마 -
공고상 (公故床) : ‘번상’을 격식을 차려 이르는 말. (번상: 예전에, 번을 들 때에 자기 집에서 차려 내오던 밥상.)
🌏 公: 공변될 공 故: 옛 고 床: 평상 상 -
노골파 (露骨派) : 예술 창작에 있어서, 성(性)을 노골적으로 표현하는 일파.
🌏 露: 이슬 노 骨: 뼈 골 派: 물갈래 파 -
보통강 (普通江) : 평안남도 평원군에서 시작하여 대동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길이는 59km.
🌏 普: 널리 보 通: 통할 통 江: 강 강 -
노총각 (老總角) : 혼인할 시기를 넘긴 나이 많은 남자.
🌏 老: 늙을 노 總: 거느릴 총 角: 뿔 각 -
도동항 (道洞港)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에 있는 항구. 동해에서 하나뿐인 도서항으로, 주민의 생활필수품과 오징어, 관광객의 수송에 중요한 곳이다.
🌏 道: 길 도 洞: 고을 동 港: 항구 항 -
목목장 (穆穆章) : 악장(樂章)의 이름. 원묘(原廟) 문소전(文昭殿)의 삼실(三室)에서 초헌(初獻)할 때 연주한다.
🌏 穆: 온화할 목 穆: 온화할 목 章: 글월 장 -
공복감 (空腹感) : 배 속이 빈 듯한 느낌.
🌏 空: 빌 공 腹: 배 복 感: 느낄 감 -
초동삼 (初冬三) : 이른 겨울. 주로 음력 10월을 이른다.
🌏 初: 처음 초 冬: 겨울 동 三: 석 삼 -
동종사 (東從祀) : 문묘(文廟)의 동쪽에 있는 사당.
🌏 東: 동녘 동 從: 좇을 종 祀: 제사 사 -
혼돈탕 (混沌湯) : 여러 가지 음식을 한데 섞어서 끓인 국.
🌏 混: 섞을 혼 沌: 어두울 돈 湯: 끓일 탕 -
토포사 (討捕使) : 각 진영에서 도둑 잡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 처음에는 수령이, 후에는 진영장이 겸직하였다.
🌏 討: 칠 토 捕: 사로잡을 포 使: 부릴 사 -
조롱말 : → 조랑말. (조랑말: 몸집이 작은 종자의 말.)
-
온도파 (溫度波) : 온도 변화가 매질을 통하여 전파되는 파동.
🌏 溫: 따뜻할 온 度: 법도 도 波: 물결 파 -
옥봉잠 (玉鳳簪) : 머리에 봉황새를 새긴 옥비녀.
🌏 玉: 구슬 옥 鳳: 봉새 봉 簪: 비녀 잠 -
토론자 (討論者) : 토론하는 사람.
🌏 討: 칠 토 論: 논의할 론 者: 놈 자 -
보조닻 (補助닻) : 닻이 물 밑바닥에 박히는 힘을 더해 주기 위하여 덧달아 놓은 닻.
🌏 補: 기울 보 助: 도울 조 -
고독안 (蠱毒案) : 예전에, 고독을 악용한 사람들의 이름을 적은 문서.
🌏 蠱: 뱃속 벌레 고 毒: 독 독 案: 책상 안 -
고족상 (高足床) : 잔치 때 음식을 차리는 데 쓰는, 다리가 높은 상.
🌏 高: 높을 고 足: 발 족 床: 평상 상 -
총호사 (總護使) : 국상(國喪)에 관한 모든 의식을 총괄적으로 맡아보던 임시 벼슬.
🌏 總: 거느릴 총 護: 보호할 호 使: 부릴 사 -
보통강 (普通鋼) : 중탄소강 또는 저탄소강으로서 특수한 금속이 들어 있지 아니하며 특수한 열처리가 필요 없는 강철. 구조용이나 값싼 금속 재료로 쓴다.
🌏 普: 널리 보 通: 통할 통 鋼: 강철 강 -
콜콜랑 : ‘콜콜랑거리다’의 어근. (콜콜랑거리다: 병이나 그릇에 다 차지 아니한 액체가 계속하여 흔들거리다.)
-
공동작 (共同作) : 1 여럿이 함께 창작한 미술, 음악, 문학 따위의 작품. 2 입에서 입으로 전하여 오는 문학. 설화, 민요, 무가, 판소리, 민속극 따위가 있다.
🌏 共: 함께 공 同: 같을 동 作: 지을 작 -
통조각 : 여러 조각을 한데 잇지 아니한, 하나로 이루어진 조각.
-
조롱박 : 1 호리병박으로 만든 바가지. 2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풀. 줄기는 덩굴지고 덩굴손에 의해서 다른 물체에 감아 붙으며, 잎은 어긋나고 심장 모양인데 털이 있다. 암수한그루로 7월에 깔때기 모양의 흰 꽃이 잎겨드랑이에 피고 열매는 장과로 길쭉하며 가운데가 잘록한 모양이다. 열매의 껍질이 단단하여 말려서 그릇으로 쓴다. 인가 근처에서 자란다.
-
조종간 (操縱杆) : 1 조종사가 항공기의 비행 방향과 운동 방향을 조종하는 막대 모양의 장치. 또는 그 장치의 손잡이. 2 기차, 배, 포클레인 따위의 운행 방향과 작동 방향을 조종하는 막대 모양의 장치. 또는 그 장치의 손잡이.
🌏 操: 잡을 조 縱: 늘어질 종 杆: 쓰러진 나무 간 -
녹포자 (綠胞子) : 녹포자기에 의하여 만들어진 홀씨.
🌏 綠: 초록빛 녹 胞: 태보 포 子: 아들 자 -
오목장 (於穆章) : 조선 성종의 아버지 덕종(德宗)의 제향에서, 초헌(初獻)할 때에 연주하는 악장.
🌏 於: 감탄사 오 穆: 온화할 목 章: 글월 장 -
꽃동산 : 1 경치 좋고 생활이 행복한 보금자리나 낙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꽃이 많이 피어 있는 동산.
-
보호사 (保護司) : 일제 강점기에, 보호 관찰소에서 보호 관찰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리.
🌏 保: 보전할 보 護: 보호할 호 司: 맡을 사 -
포도아 (葡萄牙) : ‘포르투갈’의 음역어. (포르투갈: 유럽 남부 이베리아반도 서쪽 끝에 있는 공화국. 12세기에 독립 왕국을 수립하고, 15세기에서 16세기에 걸쳐 많은 지역을 식민지로 삼아 동양 무역을 독점하여 번성하였으며, 1910년에 혁명으로 공화국이 되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포도ㆍ올리브ㆍ코르크 따위를 재배하며, 주민은 라틴계로, 대부분이 가톨릭교도이고 주요 언어는 포르투갈어이다. 수도는 리스본, 면적은 9만 1642㎢.)
🌏 葡: 포도 포 萄: 포도 도 牙: 어금니 아 -
꼬꼬마 : 1 아이들 장난감의 하나. 실 끝에 새의 털이나 종이 오리 따위를 매어 바람에 날리며 논다. 2 말총으로 만들어 군졸의 벙거지 뒤에 길게 늘여 꽂던 붉은 털.
-
오로라 (aurora) : 주로 극지방에서 초고층 대기 중에 나타나는 발광(發光) 현상. 태양으로부터의 대전 입자(帶電粒子)가 극지 상공의 대기를 이온화하여 일어나는 현상으로, 빨강ㆍ파랑ㆍ노랑ㆍ연두ㆍ분홍 따위의 색채를 보인다.
-
뽕놓다 : (속되게) 남의 비밀을 드러내다.
-
보초망 (步哨網) : 효과적인 경계와 감시를 위하여 펼쳐 놓은 보초의 조직과 체계.
🌏 步: 걸음 보 哨: 망볼 초 網: 그물 망 -
호송차 (護送車) : 죄수나 형사 피고인 따위를 수송하는 차.
🌏 護: 보호할 호 送: 보낼 송 車: 수레 차 -
소복만 (小腹滿) : 방광에 찬 기운이 몰려서 아랫배가 그득한 증상.
🌏 小: 작을 소 腹: 배 복 滿: 찰 만 -
소호각 (消弧角) : 1 가스 방전관에서 양극 전압의 (+) 반사이클에 상당한 통전 개시 시점에 대한 양극 전류의 통전 정지 순간의 위상각. 2 애자(礙子)가 섬락할 때, 아크열에 의한 애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출한 금속 전극을 애자련의 상하에 전선과 평행으로 부착하여 아크를 그 선단에서 방전시키는 장치.
🌏 消: 꺼질 소 弧: 나무활 호 角: 뿔 각 -
독농가 (篤農家) : 농사를 열심히 짓는 착실한 사람. 또는 그런 집.
🌏 篤: 도타울 독 農: 농사 농 家: 집 가 -
홍조아 (紅條兒) : 삼품 이상의 벼슬아치가 사복에 매던 붉은 실로 만든 띠.
🌏 紅: 붉을 홍 條: 가지 조 兒: 아이 아 -
오목판 (오목版) : 인쇄할 문자나 도형 부분이 동철이나 동판의 표면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판.
🌏 版: 널조각 판 -
초토사 (招討使) : 조선 시대에, 변란을 평정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임시로 보내던 벼슬아치.
🌏 招: 부를 초 討: 칠 토 使: 부릴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