ㅗ ㅕ 🌻모음(중성) 단어 1,281개
-
본념 (本念) : 본디부터의 이념이나 생각.
🌏 本: 근본 본 念: 생각할 념 -
도편 (刀鞭) : 무장할 때 갖추는 칼과 채찍.
🌏 刀: 칼 도 鞭: 채찍 편 -
도면 (壔面) : ‘기둥면’의 전 용어. (기둥면: 평면상에 있는 곡선상의 각 점을 지나 그 평면에 수직인 직선이 모여서 이루는 곡면.)
🌏 壔: 성채 도 面: 낯 면 -
동편 (東便) : 동쪽 편.
🌏 東: 동녘 동 便: 편할 편 -
동혈 (洞穴) : 깊고 넓은 굴의 구멍.
🌏 洞: 고을 동 穴: 구멍 혈 -
조영 (造營) : 집 따위를 지음.
🌏 造: 지을 조 營: 경영할 영 -
고력 (古曆) : 옛날의 달력.
🌏 古: 옛 고 曆: 책력 력 -
동경 (動徑) : 점의 위치를 표시할 때, 기준이 되는 점으로부터 그 점까지 그은 직선을 벡터로 하는 선분.
🌏 動: 움직일 동 徑: 지름길 경 -
포역 (暴逆) : 난폭하여 인도(人道)에 어긋남. 또는 그런 사람.
🌏 暴: 사나울 포 逆: 거스를 역 -
폭연 (爆煙) : 폭발할 때에 나는 연기.
🌏 爆: 터질 폭 煙: 연기 연 -
소연 (騷然) : ‘소연하다’의 어근. (소연하다: 떠들썩하게 야단법석이다.)
🌏 騷: 떠들 소 然: 그럴 연 -
돌연 (突然) : 예기치 못한 사이에 급히.
🌏 突: 부딪칠 돌 然: 그럴 연 -
오연 (傲然) : ‘오연하다’의 어근. (오연하다: 태도가 거만하거나 그렇게 보일 정도로 담담하다.)
🌏 傲: 거만할 오 然: 그럴 연 -
독경 (篤慶) : 1 조선 세종 때의 <정대업지악> 열다섯 곡 가운데 둘째 곡. 한문 가사 4언 12구로 되어 있다. 2 조선 세조 때의 <정대업지악> 열한 곡 가운데 둘째 곡. 한문 가사 4언 4구로 되어 있다. 종묘 제례악에 썼다.
🌏 篤: 도타울 독 慶: 경사 경 -
동격 (同格) : 1 한 문장에서, 어떤 단어나 구절이 다른 단어나 구절과 문장 구성에서 같은 기능을 가지는 일. 2 같은 자격이나 지위.
🌏 同: 같을 동 格: 격식 격 -
소력 (所歷) : 겪어 지내 온 일.
🌏 所: 바 소 歷: 지낼 력 -
포벽 (包壁) : 포(包)와 포 사이에 바른 벽.
🌏 包: 쌀 포 壁: 벽 벽 -
소력 (小曆) : 작게 만든 달력.
🌏 小: 작을 소 曆: 책력 력 -
종년 (終年) : 한 해를 마침.
🌏 終: 마칠 종 年: 해 년 -
고영 (高影) : 높이 솟아 있는 것의 그림자.
🌏 高: 높을 고 影: 그림자 영 -
동형 (同形) : 1 서로 다른 물질이 같은 구조의 결정형을 나타내면서 임의의 비율로 혼합하여 정용체를 만드는 일. 2 어떤 현상이 서로 성질이나 내용은 달라도 그 현상을 지배하는 원리가 같고 그 과정에 대응 관계가 있는 일. 예를 들면, 대뇌의 흥분과 의식의 경험 사이의 관계 따위가 있다. 3 사물의 성질, 모양, 형식 따위가 서로 같음.
🌏 同: 같을 동 形: 형상 형 -
존현 (尊顯) : ‘존현하다’의 어근. (존현하다: 지위가 높고 이름이 드러나 있다.)
🌏 尊: 높을 존 顯: 나타날 현 -
소연 (小宴) : 작은 규모로 벌인 잔치.
🌏 小: 작을 소 宴: 잔치 연 -
혼령 (婚齡) : 혼인할 나이.
🌏 婚: 혼인할 혼 齡: 나이 령 -
속벽 (속壁) : 속에 있거나 속 쪽에 있는 벽.
🌏 壁: 벽 벽 -
토역 (討逆) : 역적을 토벌함.
🌏 討: 칠 토 逆: 거스를 역 -
소혈 (巢穴) : 나쁜 짓을 하는 도둑이나 악한 따위의 무리가 활동의 본거지로 삼고 있는 곳.
🌏 巢: 새집 소 穴: 구멍 혈 -
오결 (誤決) : 잘못 결정하거나 결재함. 또는 그런 결정이나 결재.
🌏 誤: 그릇할 오 決: 결정할 결 -
호역 (戶疫) : ‘천연두’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천연두: 천연두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급성의 법정 전염병. 열이 몹시 나고 온몸에 발진(發疹)이 생겨 딱지가 저절로 떨어지기 전에 긁으면 얽게 된다. 전염력이 매우 강하며 사망률도 높으나, 최근 예방 주사로 인해 연구용으로만 그 존재가 남아 있다.)
🌏 戶: 지게 호 疫: 염병 역 -
종명 (種名) : 생물의 분류학에서 종(種)에 부여한 이름.
🌏 種: 씨 종 名: 이름 명 -
동혈 (動血) : 희로애락의 감정이 얼굴에 뚜렷이 드러남.
🌏 動: 움직일 동 血: 피 혈 -
고격 (敲擊) : 손이나 발 따위를 이용하여 치고 때림.
🌏 敲: 두드릴 고 擊: 부딪칠 격 -
촌려 (村廬) : 시골 마을에 있는 집.
🌏 村: 마을 촌 廬: 농막 려 -
소려 (小呂) :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여섯째 음. 육려의 하나로 방위는 사(巳), 절후는 음력 4월에 해당한다.
🌏 小: 작을 소 呂: 등뼈 려 -
보결 (保結) : 1 선비가 과거에 응시할 때나 관리가 승진할 때에 그 신분을 증명하던 보증서. 2 관가에서 출생 신분을 증명하기 위하여 발행하던 증명 서류.
🌏 保: 보전할 보 結: 맺을 결 -
토병 (土兵) : 일정한 지역에 붙박이로 사는 사람으로 조직된 그 지방의 군사.
🌏 土: 흙 토 兵: 군사 병 -
손뼈 : 손가락 끝에서 손목까지의 뼈. 손목뼈, 손허리뼈, 손가락뼈로 이루어진다.
-
소병 (小甁) : 작은 병.
🌏 小: 작을 소 甁: 병 병 -
동경 (銅鏡) : 구리로 만든 거울. 통일 신라 시대의 유물이다. 국보 제126-18호.
🌏 銅: 구리 동 鏡: 거울 경 -
돈녕 (敦寧) : ‘돈령’의 원말. (돈령: 조선 시대에, 왕실의 친척을 이르던 말. 왕과 같은 성은 9촌 이내, 다른 성은 6촌 이내, 왕비와 같은 성은 8촌 이내, 다른 성은 5촌 이내, 세자빈과 같은 성은 6촌 이내, 다른 성은 3촌 이내에 드는 사람이다.)
🌏 敦: 도타울 돈 寧: 편안할 녕 -
혼령 (魂靈) : 죽은 사람의 넋.
🌏 魂: 넋 혼 靈: 신령 령 -
호연 (胡燕) : 칼샛과의 새. 몸의 길이는 18cm 정도로 제비와 비슷한데 검은 갈색에 허리, 목, 턱이 희며 나는 속도가 빨라 소리가 들리고 높은 산이나 해안 절벽에 분포한다. 여름 철새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번식하고 말레이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겨울을 보낸다.
🌏 胡: 오랑캐 호 燕: 제비 연 -
종경 (倧經) : 대종교의 경전. 원전인 삼일 신고와 부전인 신리대전, 신사기, 회삼경, 삼법회통, 팔리훈, 천부경, 진리도설 따위가 있다.
🌏 倧: 상고 신인 종 經: 경서 경 -
공역 (共役) : 두 개의 점, 선, 수가 서로 특수한 관계에 있어 바꾸어 놓아도 그 성질에 변화가 없을 경우에, 그 둘의 관계를 이르는 말.
🌏 共: 함께 공 役: 부릴 역 -
통령 (統領) : 1 조선 시대에, 조운선 10척을 거느리던 무관 벼슬. 2 일체를 통할하여 거느림. 또는 그런 사람.
🌏 統: 거느릴 통 領: 거느릴 령 -
보벽 (寶璧) : 아름답고 귀한 구슬.
🌏 寶: 보배 보 璧: 둥근 옥 벽 -
공연 (空然) : ‘공연하다’의 어근. (공연하다: 아무 까닭이나 실속이 없다.)
🌏 空: 빌 공 然: 그럴 연 -
온열 (溫熱) : 1 온열 요법 따위에서 33~45℃의 온도를 이르는 말. 2 따뜻하게 느껴지는 열.
🌏 溫: 따뜻할 온 熱: 더울 열 -
소견 (素絹) : 1 흰빛의 견. 2 거칠고 나쁜 견직물로 만든 흰 법복(法服).
🌏 素: 흴 소 絹: 명주 견 -
초형 (峭刑) : 매우 엄한 형벌.
🌏 峭: 가파를 초 刑: 형벌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