ㅕ 🌻모음(중성) 단어 301개
-
열 (熱) : 1 병으로 인하여 오르는 몸의 열. 2 계(系)를 뜨겁게 해주는 것. 계에 열이 가해지면 계를 구성하는 원자와 분자들의 무질서한 열 운동이 활발하게 되어 온도가 올라간다. 3 열성 또는 열의(熱意). ... (총 4개의 의미)
🌏 熱: 더울 열 -
령 (令) : ‘법령’ 또는 ‘명령’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令: 명령할 령 -
경 (庚) : 1 이십사시(二十四時)의 열여덟째 시. 오후 네 시 반부터 다섯 시 반까지이다. 2 천간(天干)의 일곱째. 3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서(正西)에서 남으로 15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 庚: 일곱째 천간 경 -
열 (列) : 1 사람이나 물건이 죽 벌여 늘어선 줄. 2 사람이나 물건이 죽 벌여 늘어선 줄을 세는 단위.
🌏 列: 벌일 열 -
경 (頸) : 척추동물의 머리와 몸통을 잇는 잘록한 부분.
🌏 頸: 목 경 -
결 (結) : 몸과 마음을 결박하여 자유를 얻지 못하게 하는 번뇌.
🌏 結: 맺을 결 -
염 (簾) : 한시에서, 자음의 높낮이를 맞추는 방법. 형식이 여러 가지인데, 가새염이 가장 보편화되었다.
🌏 簾: 발 염 -
결 : ‘겨울’의 준말. (겨울: 한 해의 네 철 가운데 넷째 철. 가을과 봄 사이이며, 낮이 짧고 추운 계절로, 달로는 12~2월, 절기(節氣)로는 입동부터 입춘 전까지를 이른다.)
-
명 (名) : 사람을 세는 단위.
🌏 名: 이름 명 -
영 (靈) : 1 신으로 받들어지는 영혼 또는 자연물. 2 죽은 사람의 넋.
🌏 靈: 신령 영 -
연 (連) : 1 ‘이어져 계속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2 ‘반복하여 계속’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連: 잇닿을 연 -
협 (莢) : 콩과 식물의 씨앗을 싸고 있는 껍질.
🌏 莢: 꼬투리 협 -
여 (旅) : 1 고려ㆍ조선 시대에 둔, 군(軍) 편제(編制)의 하나. 1여는 대략 125인이었다. 2 중국 주나라 때에, 500명을 일단(一團)으로 한 군대. 5여를 1사(師)로 하고 5사를 1군(軍)으로 하였다.
🌏 旅: 나그네 여 -
영 : 1 전혀 또는 도무지. 2 아주 또는 대단히.
-
켜 : 1 포개어진 물건의 하나하나의 층. 2 포개어진 물건 하나하나의 층을 세는 단위. 3 노름하는 횟수를 세는 단위.
-
염 (廉)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파주(坡州), 보성(寶城), 창녕(昌寧) 등 10여 본이 현존한다.
🌏 廉: 청렴할 염 -
폄 (貶) : 남을 나쁘게 말함.
🌏 貶: 떨어뜨릴 폄 -
편 (編) : 사람이나 단체 이름 아래에서, ‘편찬’의 뜻을 나타내는 말. (편찬: 여러 가지 자료를 모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책을 만듦.)
🌏 編: 엮을 편 -
겨 : 벼, 보리, 조 따위의 곡식을 찧어 벗겨 낸 껍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변 : 남이 모르게 저희끼리만 암호처럼 쓰는 말.
-
협 (狹) : ‘협하다’의 어근. (협하다: 지대가 좁다., 성정이 너그럽지 못하고 좁다.)
🌏 狹: 좁을 협 -
멸 (滅) : ‘멸하다’의 어근. (멸하다: 망하여 죄다 없어지다. 또는 그렇게 하다.)
🌏 滅: 멸망할 멸 -
견 (籈) : 어(敔)를 긁어 소리를 내는 채. 끝이 아홉 쪽으로 갈라진 대나무로 만든다.
🌏 籈: 대그릇 견 -
평 (評) : 좋고 나쁨, 잘하고 못함, 옳고 그름 따위를 평가함. 또는 그런 말.
🌏 評: 품평 평 -
결 (闋) : 한 곡이 끝남을 이르는 말.
🌏 闋: 문 닫을 결 -
격 (隔) : 사이를 가로막는 간격.
🌏 隔: 막을 격 -
경 (卿) : 1 신라 때에 둔 중앙 관아와 각 성전(成典)의 으뜸 또는 버금 벼슬. 위계는 6등급인 아찬(阿飡)에서 11등급인 내마(奈麻)까지였다. 2 고려 초기에 둔 병부, 물장성 및 각 시(寺)의 으뜸 또는 버금 벼슬. 3 조선 시대에, 정이품 벼슬을 이르던 말. ... (총 4개의 의미)
🌏 卿: 벼슬 경 -
평 (坪) : 1 부피의 단위. 흙이나 모래의 부피를 잴 때 쓴다. 한 평은 여섯 자 세제곱으로 6.013㎥에 해당한다. 2 헝겊, 유리, 타일 따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단위. 한 평은 한 자 제곱이다. 3 조각, 동판 따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단위. 한 평은 한 자 제곱이다. ... (총 4개의 의미)
🌏 坪: 벌 평 -
격 (激) : ‘격하다’의 어근. (격하다: 갑작스럽게 성을 내거나 흥분하다., 기세나 감정 따위가 급하고 거세다.)
🌏 激: 과격할 격 -
영 (令) : 1 사(詞)의 한 형식. 대체로 빠르고 가락이 많이 들어가는 음악 형태이다. 2 조선 시대에, 조참(朝參) 날 임금이 환궁할 때에 아뢰었던 여민락계의 한 음악. 당피리 중심의 고취악이다.
🌏 令: 명령할 영 -
영 (領) : ‘영하다’의 어근. (영하다: 성체나 성혈을 받아 모시다.)
🌏 領: 거느릴 영 -
연 (延) :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곡산(谷山), 곡성(谷城), 연안(延安), 개성(開城), 광주(廣州), 남양(南陽), 청주(淸州) 등 30여 본이 현존한다.
🌏 延: 끌 연 -
여 : → 여기. (여기: 말하는 이에게 가까운 곳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
-
병 (兵) : 1 병장, 상등병, 일등병, 이등병 따위의 계급으로 이루어진 병사. 2 ‘병사’의 뜻을 나타내는 말.
🌏 兵: 군사 병 -
여 (如) : ‘여하다’의 어근. (여하다: 서로 다르지 않고 하나이다.)
🌏 如: 같을 여 -
력 (力) : ‘능력’ 또는 ‘힘’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力: 힘 력 -
여 (汝) : ‘너’ 또는 ‘자네’를 문어적으로 이르는 말. (너: 듣는 이가 친구나 아랫사람일 때, 그 사람을 가리키는 이인칭 대명사. 주격 조사 ‘가’나 보격 조사 ‘가’가 붙으면 ‘네’가 된다.)
🌏 汝: 너 여 -
영 (嶺) : 1 길이 나 있어서 넘어 다닐 수 있는, 높은 산의 고개. 2 높은 산의 마루를 이룬 곳.
🌏 嶺: 재 영 -
엿 : 그 수량이 여섯임을 나타내는 말.
-
엿 : 곡식으로 밥을 지어 엿기름으로 삭힌 뒤 겻불로 밥이 물처럼 되도록 끓이고, 그것을 자루에 넣어 짜낸 다음 진득진득해질 때까지 고아 만든 달고 끈적끈적한 음식.
-
편 (鞭) : 쇠로 도리깨처럼 만든 병장기(兵仗器). 포졸이 순라를 돌 때 가지고 다녔다.
🌏 鞭: 채찍 편 -
별 (別) : 보통과 다르게 두드러지거나 특별한.
🌏 別: 다를 별 -
염 (廉) : ‘염하다’의 어근. (염하다: 값이 싸다., 성품과 행실이 높고 맑으며, 탐욕이 없다.)
🌏 廉: 청렴할 염 -
영 (Young, Lester Willis) : 미국의 테너 색소폰 연주자(1909~1959). 즉흥 연주에 의한 독특한 솔로 연주로 모던 재즈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
년 (年) : ‘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年: 해 년 -
연 (燕) :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에, 선비족(鮮卑族)의 모용씨(慕容氏)가 건설한 나라. 4세기 초에서 5세기 초에 걸쳐 전연(前燕), 후연(後燕), 서연(西燕), 남연(南燕), 북연(北燕)이 있었다.
🌏 燕: 제비 연 -
열 : 도리깨나 채찍 따위의 끝에 달려 있는 회초리나 끈을 통틀어 이르는 말.
-
경 (卿) : 1 임금이 이품 이상의 신하를 가리키던 이인칭 대명사. 2 영국에서, 귀족의 작위를 받은 이를 높여 이르는 말.
🌏 卿: 벼슬 경 -
격 (鬲) : 고대 중국에서 사용하던, 발이 바깥쪽으로 굽어서 벌어진 세 발 달린 솥.
🌏 鬲: 오지병 격 -
여 (厲) : 살벌(殺罰)을 맡아 다스리는 궁중의 작은 신. 나라에서 가을에 제를 올렸다.
🌏 厲: 갈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