ㅕ ㅣ 🌻모음(중성) 단어 1,004개
-
현리 (賢吏) : 현명한 관리.
🌏 賢: 어질 현 吏: 벼슬아치 리 -
열림 (熱淋/熱痳) : 오줌 빛이 붉고 요도가 열이 나고 막히며 아랫배가 몹시 아픈 임질.
🌏 熱: 더울 열 淋: 물방울 떨어질 림 물방울 떨어질 임 熱: 더울 열 痳: 임질 림 임질 임 -
명기 (明氣) : 1 맑고 아름다운 산천(山川)의 기운. 2 환하게 밝은 얼굴빛.
🌏 明: 밝을 명 氣: 기운 기 -
견지 (見地) : 어떤 사물을 판단하거나 관찰하는 입장.
🌏 見: 볼 견 地: 땅 지 -
결기 (潔己) : 자기 몸을 깨끗이 함.
🌏 潔: 깨끗할 결 己: 몸 기 -
견인 (牽引) : 끌어서 당김.
🌏 牽: 끌 견 引: 끌 인 -
영기 (靈氣) : 신령스러운 기운.
🌏 靈: 신령 영 氣: 기운 기 -
병인 (屛人) : 좌우에 있는 사람을 물러가게 함.
🌏 屛: 병풍 병 人: 사람 인 -
면시 (面試) : 면전에서 시험함.
🌏 面: 낯 면 試: 시험할 시 -
결기 (決起) : 결연히 일어남.
🌏 決: 결정할 결 起: 일어날 기 -
명시 (名詩) : 이름난 시. 또는 아주 잘 지은 시.
🌏 名: 이름 명 詩: 시 시 -
여지 (勵志) : 마음을 가다듬어 뜻을 굳힘.
🌏 勵: 힘쓸 여 志: 뜻 지 -
영일 (另日) : 미리 정한 날이 아닌 다른 날.
🌏 另: 日: 날 일 -
견지 : 대나무로 만든 납작한 외짝 얼레. 물고기를 낚시로 잡을 때에 낚싯줄을 감았다 늦추었다 하는 데 쓴다.
-
경비 (輕肥) : 1 가벼운 가죽옷과 살진 말이라는 뜻으로, 부귀한 사람들의 나들이 차림새를 이르는 말. 2 가벼운 차림새로 살진 말을 탐.
🌏 輕: 가벼울 경 肥: 살찔 비 -
연니 (軟泥) : 바다에서 나는 플랑크톤의 유해가 대양 바닥에 퇴적하여 있는 무른 흙. 규질 연니와 석회질 연니로 나뉜다.
🌏 軟: 부드러울 연 泥: 진흙 니 -
연침 (連枕/聯枕) : 남녀가 잠자리를 같이함.
🌏 連: 잇닿을 련 잇닿을 연 枕: 베개 침 聯: 잇닿을 련 잇닿을 연 枕: 베개 침 -
편집 (編輯) : 일정한 방침 아래 여러 가지 재료를 모아 신문, 잡지, 책 따위를 만드는 일. 또는 영화 필름이나 녹음테이프, 문서 따위를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하는 일.
🌏 編: 엮을 편 輯: 모을 집 -
평치 (平치) : 평안도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平: 평평할 평 -
병칩 (病蟄) : 병으로 인하여 집에만 틀어박혀 있음.
🌏 病: 병들 병 蟄: 숨을 칩 -
명기 (鳴器) : 곤충이나 새 따위의 발성 기관. 매미는 가슴과 배 사이에, 새는 기관이나 기관지로 나뉘는 부분에 있다.
🌏 鳴: 울 명 器: 그릇 기 -
열일 (烈日) : 1 여름에 뜨겁게 내리쬐는 태양. 2 세찬 기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烈: 세찰 열 日: 날 일 -
벽립 (壁立) : ‘벽립하다’의 어근. (벽립하다: 낭떠러지가 깎아지른 듯이 솟아 있는 상태이다.)
🌏 壁: 벽 벽 立: 설 립 -
별치 (別置) : 특별히 따로 둠.
🌏 別: 다를 별 置: 둘 치 -
편이 (便易) : ‘편이하다’의 어근. (편이하다: 편리하고 쉽다.)
🌏 便: 편할 편 易: 쉬울 이 -
변비 (便祕) : 대변이 대장 속에 오래 맺혀 있고, 잘 누어지지 아니하는 병.
🌏 便: 오줌 변 祕: 숨기다 비 귀신 비 -
병인 (丙寅) : 육십갑자의 셋째.
🌏 丙: 남녘 병 寅: 동방 인 -
엽기 (獵期) : 사냥이 허가되는 철. 수렵법에 따라 9월이나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를 이른다.
🌏 獵: 사냥할 엽 期: 기약할 기 -
별기 (別記) : 본문에 덧붙여 따로 적음. 또는 그런 기록.
🌏 別: 다를 별 記: 기록할 기 -
역리 (逆理) : 1 거꾸로 된 나뭇결. 2 부주의에서 생기는 추리의 오류.
🌏 逆: 거스를 역 理: 다스릴 리 -
명지 (名紙) : 과거 시험에 쓰던 종이.
🌏 名: 이름 명 紙: 종이 지 -
영질 (令姪) : 상대편의 조카를 높여 이르는 말.
🌏 令: 명령할 영 姪: 조카 질 -
엽이 (葉耳) : 볏과 식물의 잎에서 잎집과 잎몸과의 갈림목 양쪽에 있는 한 쌍의 돌기. 칼 모양의 막질이며, 끝이 갈라지거나 구부러지고 털이 있다.
🌏 葉: 나뭇잎 엽 耳: 귀 이 -
경신 (敬愼) : 공경하고 삼감.
🌏 敬: 공경할 경 愼: 삼갈 신 -
혐핍 (嫌逼) : 매우 혐의쩍어함.
🌏 嫌: 싫어할 혐 逼: 닥칠 핍 -
경필 (勁筆) : 힘찬 필력(筆力).
🌏 勁: 강할 경 筆: 붓 필 -
여진 (餘塵) : 옛사람이 남긴 일의 자취.
🌏 餘: 남을 여 塵: 티끌 진 -
겸비 (兼備) : 두 가지 이상을 아울러 갖춤.
🌏 兼: 겸할 겸 備: 갖출 비 -
명실 (命실) : 1 돌떡이나 백일 떡을 받고 그릇을 돌려줄 때에 답례로 담아 보내는 실이나 실타래. 2 음력 정월 첫 토끼날에 만든 실. 이것을 주머니 끈 따위에 차면 그해에 재액이 물러가고 좋은 일이 생긴다고 한다. 3 발원(發願)하는 사람이 쌀을 담은 밥그릇 가운데 꽂은 숟가락에 잡아맨 실.
🌏 命: 목숨 명 -
혈지 (血池) : 피가 괴어 있다고 전하여 오는 지옥의 못.
🌏 血: 피 혈 池: 못 지 -
결인 (結姻) : 혼인 관계를 맺음.
🌏 結: 맺을 결 姻: 혼인 인 -
별기 (別岐) : 따로 갈라진 길. 또는 다른 갈래.
🌏 別: 다를 별 岐: 갈림길 기 -
멸기 (滅期) : 멸망하는 때.
🌏 滅: 멸망할 멸 期: 기약할 기 -
경식 (京式) : 1 서울의 방식이나 법식. 2 베이징의 방식이나 법식.
🌏 京: 서울 경 式: 법 식 -
편집 (偏執) : 편견을 고집하고, 남의 말을 듣지 않음.
🌏 偏: 치우칠 편 執: 잡을 집 -
경칩 (驚蟄) : 이십사절기의 하나.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에 들며, 양력 3월 5일경이다. 겨울잠을 자던 벌레, 개구리 따위가 깨어 꿈틀거리기 시작한다는 시기이다.
🌏 驚: 놀랄 경 蟄: 숨을 칩 -
경질 (硬質) : 단단하고 굳은 성질.
🌏 硬: 굳을 경 質: 바탕 질 -
염지 (染指) : 손가락을 솥 속에 넣어 국물의 맛을 본다는 뜻으로, 남의 물건을 옳지 못한 방법으로 가짐을 이르는 말.
🌏 染: 물들일 염 指: 가리킬 지 -
경미 (粳米) : 메벼를 찧은 쌀.
🌏 粳: 米: 쌀 미 -
별지 (別指) : 원가락에 대한 다른 가락.
🌏 別: 다를 별 指: 가리킬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