ㅕ ㅜ 🌻모음(중성) 단어 957개
-
염두
(念頭)
:
1
생각의 시초.
2
마음의 속.
🌏 念: 생각할 염 頭: 머리 두 -
여훈
(女訓)
:
집안의 부녀자들에게 하는 훈시나 교훈.
🌏 女: 계집 여 訓: 가르칠 훈 -
열군
(列郡)
:
여러 고을.
🌏 列: 벌일 열 郡: 고을 군 -
명무
(名舞)
:
춤에 대한 기예가 뛰어나 유명한 사람.
🌏 名: 이름 명 舞: 춤출 무 -
엽우
(獵友)
:
함께 사냥을 다니는 친구.
🌏 獵: 사냥할 엽 友: 벗 우 -
엽부
(獵夫)
:
사냥하는 사람. 또는 사냥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獵: 사냥할 엽 夫: 남편 부 -
여충
(戾蟲)
:
‘범’을 달리 이르는 말. 사나운 동물이라는 뜻이다. (범: 고양잇과의 포유류. 몸의 길이는 2미터 정도이며, 등은 누런 갈색이고 검은 가로무늬가 있으며 배는 흰색이다. 꼬리는 길고 검은 줄무늬가 있다. 삼림이나 대숲에 혼자 또는 암수 한 쌍이 같이 사는데 시베리아 남부에서 인도, 자바 등지에 분포한다.)
🌏 戾: 어그러질 여 蟲: 벌레 충 -
역구
(力救)
:
힘써 구원함.
🌏 力: 힘 역 救: 구원할 구 -
별구
(鼈灸)
:
자라의 껍데기를 벗겨 내고 기름 종이에 싸서 짚불에 구운 음식.
🌏 鼈: 자라 별 灸: 뜸 구 -
협문
(夾門)
:
1
삼문(三門) 가운데 좌우에 달린 작은 문. 동협문, 서협문 따위가 있다.
2
대문이나 정문 옆에 있는 작은 문.
🌏 夾: 낄 협 門: 문 문 -
연불
(延拂)
:
치러야 할 대금을 제때에 지불하지 않고 일정 기간 뒤로 늦춤.
🌏 延: 끌 연 拂: 떨칠 불 -
견부
(見孚)
:
남에게 신용을 얻음.
🌏 見: 볼 견 孚: 미쁠 부 -
현우
(賢友)
:
어진 벗.
🌏 賢: 어질 현 友: 벗 우 -
결부
(結負)
:
‘결복’의 원말. (결복: 조선 시대에, 토지세 징수의 기준이 되는 논밭의 면적에 매기던 단위인 결, 짐, 뭇을 통틀어 이르는 말.)
🌏 結: 맺을 결 負: 짐질 부 -
명주
(明州)
:
‘닝보’의 옛 이름. (닝보: 중국 저장성(浙江省) 동쪽 융장강(甬江江) 하류에 있는 도시. 송나라 이후 한국ㆍ일본ㆍ아라비아ㆍ동남아시아와의 무역 중심지로 번영하였으나 상하이(上海)가 발전하면서 상대적으로 쇠퇴하였다.)
🌏 明: 밝을 명 州: 고을 주 - 염불 : 여자의 음문(陰門) 밖으로 비어져 나온 자궁.
-
경숙
(經宿)
:
1
하룻밤을 묵음.
2
임금이 대궐 밖으로 거둥하여 하룻밤을 묵음.
🌏 經: 경서 경 宿: 잠잘 숙 -
현군
(賢君)
:
어질고 현명한 임금.
🌏 賢: 어질 현 君: 임금 군 -
염문
(艷文)
:
남녀 간에 애정을 담아 써서 보내는 편지.
🌏 艷: 고울 염 文: 글월 문 꾸밀 문 -
형무
(刑務)
:
행형(行刑)에 관한 사무나 업무.
🌏 刑: 형벌 형 務: 힘쓸 무 -
명문
(銘文)
:
금석(金石)이나 기명(器皿) 따위에 새겨 놓은 글.
🌏 銘: 새길 명 文: 글월 문 꾸밀 문 -
편부
(偏父)
:
어머니가 죽거나 이혼하여 홀로 있는 아버지.
🌏 偏: 치우칠 편 父: 아버지 부 -
연문
(戀文)
:
연애하는 남녀 사이에 주고받는 애정의 편지.
🌏 戀: 사모할 연 文: 글월 문 꾸밀 문 -
염구
(冉求)
:
중국 춘추 시대의 노나라 사람(?~?). 자는 자유(子有). 염유(冉有)라고도 한다. 공문십철의 한 사람으로, 정사(政事)에 뛰어났다.
🌏 冉: 늘어질 염 求: 구할 구 -
경준
(輕俊)
:
재주나 슬기는 뛰어나나 하는 짓이 경솔함. 또는 그런 선비.
🌏 輕: 가벼울 경 俊: 준걸 준 -
여축
(餘蓄)
:
쓰고 남은 물건을 모아 둠. 또는 그 물건.
🌏 餘: 남을 여 蓄: 쌓을 축 -
염문
(廉問)
:
사정이나 형편 따위를 몰래 물어봄.
🌏 廉: 청렴할 염 問: 물을 문 -
역무
(驛務)
:
역에서 하는 행정이나 일.
🌏 驛: 정거장 역 務: 힘쓸 무 -
영축
(零縮)
:
수효가 줄어서 모자람.
🌏 零: 떨어질 영 縮: 오그라들 축 -
연수
(煙水)
:
수증기가 자욱한 수면(水面).
🌏 煙: 연기 연 水: 물 수 -
경우
(輕雨)
:
조금 내리는 비.
🌏 輕: 가벼울 경 雨: 비 우 - 뼛국 : 짐승의 뼈를 푹 삶아 곤 국.
-
명문
(命門)
:
1
생명의 문(門) 또는 생명의 근본이라는 뜻으로, 오른쪽 콩팥을 이르는 말.
2
경혈(經穴)의 이름. 제2허리뼈 극상 돌기와 제3허리뼈 극상 돌기 사이에 있다.
3
사람의 복장뼈 아래 한가운데의 오목하게 들어간 곳. 급소의 하나이다.
🌏 命: 목숨 명 門: 문 문 -
역부
(役夫)
:
공사장에서 삯일을 하는 사람.
🌏 役: 부릴 역 夫: 남편 부 -
면수
(面數)
:
신문이나 책 지면의 수효.
🌏 面: 낯 면 數: 셀 수 -
경수
(經水)
:
‘월경’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월경: 성숙한 여성의 자궁에서 주기적으로 출혈하는 생리 현상. 임신하지 않는 경우 황체(黃體)에서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기 때문에 자궁 속막이 벗겨져서 일어난다. 보통 12~17세에 시작하여 50세 전후까지 계속되는데 임신 중이나 수유기를 빼놓고는 평균 28일의 간격을 두고 3~7일간 지속된다.)
🌏 經: 경서 경 水: 물 수 -
열구
(熱球)
:
열구 기관에서, 늘 뜨겁게 달아 있어 연료의 분사와 점화ㆍ연소가 이루어지는 구형(球形) 연소실.
🌏 熱: 더울 열 球: 공 구 -
영수
(永壽)
:
오래도록 삶.
🌏 永: 길 영 壽: 목숨 수 -
곁순
(곁筍)
:
풀이나 나무의 원줄기 곁에서 돋아나는 순.
🌏 筍: 죽순 순 -
경구
(驚懼)
:
놀라고 두려워함.
🌏 驚: 놀랄 경 懼: 두려워할 구 -
연우
(連雨)
:
연일 계속하여 내리는 비.
🌏 連: 잇닿을 연 雨: 비 우 -
병수
(竝垂)
:
후세에까지 함께 길이 남음.
🌏 竝: 아우를 병 垂: 드리울 수 -
견우
(肩羽)
:
날개가 붙는 부분에 난 몇 개의 긴 깃털.
🌏 肩: 어깨 견 羽: 깃 우 -
면품
(面稟)
:
윗사람 면전에서 말씀을 드림.
🌏 面: 낯 면 稟: 줄 품 -
변수
(變數)
:
1
어떤 관계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값으로 변할 수 있는 수.
2
어떤 상황의 가변적 요인.
🌏 變: 변할 변 數: 셀 수 -
역순
(歷巡)
:
차례로 순회함.
🌏 歷: 지낼 역 巡: 돌 순 -
혈주
(血珠)
:
핏빛의 산호주.
🌏 血: 피 혈 珠: 구슬 주 -
변죽
(萹竹)
: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cm 정도이고 가지가 많이 뻗으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 또는 선 모양 타원형인데 긴 잎집은 둘로 크게 갈라진다. 여름에 녹색 바탕에 흰빛 또는 붉은빛이 도는 잔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하나 또는 몇 개가 달려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줄기와 잎은 황달, 곽란, 복통 따위에 약재로 쓴다. 들이나 길가에 나는데 북반구 온대 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 萹: 마디풀 변 竹: 대 죽 -
면출
(免黜)
:
벼슬을 갈아 그 지위를 떨어뜨림.
🌏 免: 면할 면 黜: 물리칠 출 -
연중
(筵中)
:
임금과 신하가 모여 자문(諮問)ㆍ주달(奏達)하던 자리.
🌏 筵: 대자리 연 中: 가운데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