ㅐ ㅏ 🌻모음(중성) 단어 1,599개
-
택반 (澤畔) : 못의 가장자리에 있는 조금 편평한 땅.
🌏 澤: 못 택 畔: 두둑 반 -
내사 (內史) : 선종(禪宗)에서, 주지의 온갖 문서에 관계되는 일을 맡은 소임.
🌏 內: 안 내 史: 역사 사 -
해람 (解纜) : 배가 항구를 떠남.
🌏 解: 풀 해 纜: 배닻줄 람 -
책갑 (冊甲) : 책의 겉장이 상하지 아니하게 종이, 비닐, 헝겊 따위로 덧씌우는 일. 또는 그런 물건.
🌏 冊: 책 책 甲: 갑옷 갑 -
내항 (內港) : 항만의 안쪽 깊숙이 있는 항구. 배가 머무르면서 짐을 싣고 내리기에 편리한 항구이다.
🌏 內: 안 내 港: 항구 항 -
개가 (改嫁) : 결혼하였던 여자가 남편과 사별하거나 이혼하여 다른 남자와 결혼함.
🌏 改: 고칠 개 嫁: 시집갈 가 갈 가 떠넘길 가 팔 가 -
대함 (大艦) : 큰 군함.
🌏 大: 큰 대 艦: 싸움배 함 -
대사 (大事) : 1 결혼, 회갑, 초상 따위의 큰 잔치나 예식을 치르는 일. 2 다루는 데 힘이 많이 들고 범위가 넓은 일. 또는 중대한 일.
🌏 大: 큰 대 事: 일 사 -
대파 (代播) : 오랜 가뭄이나 홍수 따위로 인하여 씨 뿌릴 시기를 놓쳐 심으려고 한 곡식을 심지 못하고 대신 다른 곡식의 씨앗을 뿌리는 일.
🌏 代: 대신할 대 播: 뿌릴 파 -
대감 (大鑑) : 한 권만으로 관련 분야 전체에 관한 대강의 지식을 얻을 수 있게 엮은 책.
🌏 大: 큰 대 鑑: 거울 감 -
배반 (背反) : 논리적으로 양립할 수 없음.
🌏 背: 등 배 反: 돌이킬 반 -
행차 (行次) : 웃어른이 차리고 나서서 길을 감. 또는 그때 이루는 대열.
🌏 行: 다닐 행 次: 버금 차 -
해담 (海膽) : 극피동물문 성게강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대부분 둥근 몸에 석회질의 가시가 빽빽하게 박혀 있다. 가시 사이에 실 같은 대롱 모양의 발이 나와 쉽게 움직인다. 대개 배의 중앙에 입이 있고 등 한복판에 항문이 있다. 발생학, 세포학의 실험에 많이 쓰고 알로 젓을 담그기도 한다. 보라성게, 분지성게, 말똥성게 따위가 있으며 우리나라 동해에 널리 분포한다.
🌏 海: 바다 해 膽: 쓸개 담 -
내판 (內辦) : 깃대의 안쪽 깃털.
🌏 內: 안 내 辦: 힘쓸 판 -
뱃강 (뱃江) : 배가 다닐 수 있는 큰 강.
🌏 江: 강 강 -
내자 (來者) : 찾아오는 사람. 또는 찾아온 사람.
🌏 來: 올 내 者: 놈 자 -
내한 (來韓) : 외국인이 한국에 옴.
🌏 來: 올 내 韓: 나라 한 -
맹랑 (孟浪) : ‘맹랑하다’의 어근. (맹랑하다: 생각하던 바와 달리 허망하다., 하는 짓이 만만히 볼 수 없을 만큼 똘똘하고 깜찍하다., 처리하기가 매우 어렵고 묘하다.)
🌏 孟: 맏 맹 浪: 물결 랑 -
생가 (笙歌) : 생황과 노래를 아울러 이르는 말.
🌏 笙: 생황 생 歌: 노래 가 -
액상 (額像) : 궁중에서, ‘이마’를 이르던 말. (이마: 얼굴의 눈썹 위로부터 머리털이 난 아래까지의 부분., 어떤 물체 꼭대기의 앞쪽이 되는 부분., 아궁이 위 앞에 가로로 걸쳐 놓은 긴 돌., ‘앞머리’를 전문적으로 이르는 말. (앞머리: 정수리 앞쪽 부분의 머리.))
🌏 額: 이마 액 像: 모양 상 -
내방 (內房) : 안주인이 거처하는 방.
🌏 內: 안 내 房: 방 방 -
대악 (大樂) : 1 신라 진흥왕 이후에 궁중에서 쓰던 음악. 2 고려 인종 때에, 궁중에 둔 악단. 260명으로 구성되었다.
🌏 大: 큰 대 樂: 풍류 악 -
재당 (齋堂) : 선원(禪院)에서, ‘식당’을 이르는 말. (식당: 건물 안에 식사를 할 수 있게 시설을 갖춘 장소., 음식을 만들어 손님들에게 파는 가게.)
🌏 齋: 재계할 재 堂: 집 당 -
대자 : 대나무로 만든 자.
-
태간 (胎癇) : 태어난 지 백 일이 안 된 아이가 자주 경련이 일고 열이 나면서 젖을 빨지 못하는 병증.
🌏 胎: 아이 밸 태 癇: 간질병 간 -
매장 (埋藏) : 1 묻어서 감춤. 2 지하자원 따위가 땅속에 묻히어 있음.
🌏 埋: 묻을 매 藏: 감출 장 -
대차 (大借) : 아주 독한 약을 먹고 힘을 세게 하는 일.
🌏 大: 큰 대 借: 빌릴 차 -
해막 (解幕) : 부정(不淨)을 막기 위하여 임산부의 해산에 임하여 따로 세우는 오두막.
🌏 解: 풀 해 幕: 막 막 -
재담 (才談) : 익살과 재치를 부리며 재미있게 이야기함. 또는 그런 말.
🌏 才: 재주 재 談: 말씀 담 -
째다 : 1 일손이나 물건이 모자라서 일에 쫓기다. 2 시달리거나 부대끼어 괴로움을 겪다.
-
해상 (解喪) : 어버이의 삼년상을 마침.
🌏 解: 풀 해 喪: 죽을 상 -
핵막 (核膜) : 진핵생물 세포의 핵과 세포질의 경계에 있는 이중 구조막.
🌏 核: 씨 핵 膜: 꺼풀 막 -
애상 (哀想) : 슬픈 생각.
🌏 哀: 슬플 애 想: 생각 상 -
해자 (楷字) : 해서(楷書)로 쓴 글자.
🌏 楷: 본 해 字: 글자 자 -
대가 (臺駕) : 임금이 타는 연(輦)과 같이 고귀한 사람이 타는 탈것을 이르던 말.
🌏 臺: 돈대 대 駕: 탈것 가 -
채장 (菜腸) : 늘 채식을 하는 습관에 길든 위와 창자.
🌏 菜: 나물 채 腸: 창자 장 -
대방 (大防) : 1 큰 제방. 2 중요한 일이나 어떤 원칙의 넘지 못할 한계를 이르는 말.
🌏 大: 큰 대 防: 막을 방 -
내간 (內簡) : 부녀자가 쓰는 편지.
🌏 內: 안 내 簡: 대쪽 간 -
맹장 (猛將) : 용맹한 장수.
🌏 猛: 사나울 맹 將: 장수 장 -
개갑 (鎧甲) : 쇠로 된 미늘을 달아 만든 갑옷.
🌏 鎧: 갑옷 개 甲: 갑옷 갑 -
객담 (喀痰) : 가래를 뱉음. 또는 그 가래.
🌏 喀: 토할 객 痰: 가래 담 -
맥랑 (麥浪) : 보리나 밀이 바람을 받아서 물결치듯 흔들리는 모양.
🌏 麥: 보리 맥 浪: 물결 랑 -
재상 (災傷) : 자연의 재해로 농작물이 입는 피해.
🌏 災: 재앙 재 傷: 상처 상 -
개납 (皆納) : 조세 따위를 남김없이 다 냄.
🌏 皆: 다 개 納: 들일 납 -
새방 (塞方) : 나라의 경계가 되는 변두리의 땅.
🌏 塞: 변방 새 方: 모 방 -
내발 (內發) : 외부의 자극 없이 내부에서 자연히 일어남.
🌏 內: 안 내 發: 필 발 -
대갈 : 말굽에 편자를 박을 때 쓰는 징.
-
대납 (代納) : 1 다른 물건으로 대신하여 바침. 2 남을 대신하여 조세 따위를 바침.
🌏 代: 대신할 대 納: 들일 납 -
배사 (拜辭) : 1 웃어른에게 삼가 사양함. 2 예전에, 숙배(肅拜)와 사조(辭朝)를 아울러 이르던 말.
🌏 拜: 절 배 辭: 말씀 사 -
배자 (褙子) : 추울 때에 저고리 위에 덧입는, 주머니나 소매가 없는 옷. 겉감은 흔히 양단을 쓰고 안에는 토끼, 너구리 따위의 털을 넣는다.
🌏 褙: 속적삼 배 子: 아들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