ㅏ ㅣ ㅜ 🌻모음(중성) 단어 308개
-
살림꾼 : 1 살림을 도맡아서 하는 사람. 2 살림을 알뜰하게 잘 꾸려 나가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상직꾼 (上直꾼) : 1 당직하는 사람. 2 집 안에서 부녀(婦女)의 시중을 드는 늙은 여자.
🌏 上: 위 상 直: 곧을 직 -
다림줄 : 다림을 볼 때 쓰는 줄. 수직을 살펴보기 위하여 추를 달아 늘어뜨린다.
-
다리운 (다리韻) : 시가에서, 구나 행의 끝에 규칙적으로 같은 운의 글자를 다는 일. 또는 그 운.
🌏 韻: 운 운 -
당질부 (堂姪婦) : 사촌 형제의 며느리.
🌏 堂: 집 당 姪: 조카 질 婦: 아내 부 -
강신굿 (降神굿) : 몸에 내린 신을 맞아서 무당이 되려고 신에게 비는 굿.
🌏 降: 내릴 강 神: 귀신 신 -
당밀주 (糖蜜酒) : 당밀을 발효하여 증류한 술.
🌏 糖: 사탕 당 蜜: 꿀 밀 酒: 술 주 -
낚시꾼 : 취미로 낚시를 가지고 고기잡이를 하는 사람.
-
자비문 (자비門) : ‘차비문’의 변한말. (차비문: 궁궐 정전(正殿)의 앞문과 종묘의 상문ㆍ하문ㆍ앞전ㆍ뒷전을 통틀어 이르는 말.)
🌏 門: 문 문 -
사진부 (寫眞部) : 1 신문사나 잡지사 따위에서 사진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부. 2 백화점 따위에서 사진기 및 부속품의 판매와 수리를 전문으로 취급하는 곳.
🌏 寫: 베낄 사 眞: 참 진 部: 나눌 부 -
장기꾼 (將棋꾼) : 장기를 두는 사람.
🌏 將: 장수 장 棋: 바둑 기 -
삼시욹 (三시욹) : 세 가닥으로 꼰 노끈이나 실.
🌏 三: 석 삼 -
삽입구 (揷入句) : 1 악곡의 주제가 되풀이되는 사이에 끼워 넣는 자유로운 곡의 마디. 2 보충하거나 설명하기 위하여 문장의 다른 성분과 직접 관계없이 삽입된 구.
🌏 揷: 꽂을 삽 入: 들 입 句: 구절 구 -
사깃물 (沙器물) : 사기그릇을 구울 때에 쓰는 잿물.
🌏 沙: 모래 사 器: -
차입물 (差入物) : 교도소나 구치소에 갇힌 사람에게 들여보내는 물건.
🌏 差: 어그러질 차 入: 들 입 物: 만물 물 -
발심문 (發心門) : 밀교에서, 사문(四門)의 동쪽에 있는 문을 이르는 말. 발심, 수행, 보리, 열반의 네 단계 가운데 첫 번째 단계이다.
🌏 發: 필 발 心: 마음 심 門: 문 문 -
안식국 (安息國) : 고대 서아시아에 있던 이란족의 파르티아 왕국을 중국에서 이르던 이름.
🌏 安: 편안할 안 息: 숨쉴 식 國: 나라 국 -
산신무 (山神舞) : 신라 때 춤의 하나. 신라 헌강왕이 포석정에 나들이 갔을 때, 남산의 산신령이 나타나서 추는 춤을 보고 따라 추었다는 춤으로, 산신의 터럭이 서리처럼 희다고 하여 이렇게 불렸다.
🌏 山: 뫼 산 神: 귀신 신 舞: 춤출 무 -
라티움 (Latium) : 이탈리아의 중부, 테베레강의 동남부에 있던 옛 왕국. 기원전 1000년 무렵에 남하한 라틴인이 정주하여 고대 로마의 발상지가 되었으며, 기원전 5세기부터 로마에 그 문화가 흡수되었다.
-
안치수 (안치數) : 마주 보는 두 부재의 안쪽 면 사이의 길이.
🌏 數: 셀 수 -
가시눈 : 날카롭게 쏘아보는 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아기수 (兒旗手) : 군영(軍營)에서 장교가 부리던 아이.
🌏 兒: 아이 아 旗: 기 기 手: 손 수 -
남이웅 (南以雄) : 조선 시대의 문신(1575~1648). 자는 적만(敵萬). 호는 시북(市北). 이괄의 난 때 공을 세워 춘성군(春城君)에 봉해지고 좌의정에 이르렀다.
🌏 南: 남녘 남 以: 써 이 雄: 수컷 웅 -
암기물 (暗記物) : 암기를 특히 필요로 하는 학과. 또는, 암기하여야 하는 일.
🌏 暗: 어두울 암 記: 기록할 기 物: 만물 물 -
장실구 (裝室具) : 방을 치장하여 꾸미는 물건.
🌏 裝: 꾸밀 장 室: 집 실 具: 갖출 구 -
바림수 (바림繡) : 엷은 올의 수 바탕에 짙은 올을 어긋매껴 놓는 수. 갈잎 따위의 수를 놓을 때 한다.
🌏 繡: 수 수 -
탁지우 (濯枝雨) : 음력 유월쯤에 오는 큰비.
🌏 濯: 씻을 탁 枝: 가지 지 雨: 비 우 -
반기둥 (半기둥) : 본기둥의 반쪽 크기의 기둥.
🌏 半: 반 반 -
차입품 (差入品) : 교도소나 구치소에 갇힌 사람에게 들여보내는 물건.
🌏 差: 어그러질 차 入: 들 입 品: 물건 품 -
탄피수 (彈皮手) : 탄피를 치우는 일을 하는 병사.
🌏 彈: 탄알 탄 皮: 가죽 피 手: 손 수 -
달기둥 : 달이 물 위에 비칠 때 물결로 말미암아 길어진 달그림자.
-
살피죽 : ‘살가죽’을 속되게 이르는 말. (살가죽: 사람이나 짐승의 몸 거죽을 싸고 있는 껍질.)
-
창이충 (蒼耳蟲) : 명나방과의 곤충. 도꼬마리 줄기에 사는데 한약재로서 부스럼 치료에 쓰인다.
🌏 蒼: 푸를 창 耳: 귀 이 蟲: 벌레 충 -
간기술 (幹技術) : 생년월일을 가지고 간지(干支)에 의하여 사람의 운세를 점치는 기술.
🌏 幹: 줄기 간 技: 재주 기 術: 꾀 술 -
박피술 (剝皮術) : 피부 표면에 있는 흉터나 흔적들을 깎아 내어 없애는 수술.
🌏 剝: 벗길 박 皮: 가죽 피 術: 꾀 술 -
갈잎숲 : 낙엽수로 이루어진 숲. 온대의 저지대, 아열대의 고지, 열대의 건기가 있는 곳에 형성된다.
-
다리춤 : 주로 다리를 움직이며 추는 춤.
-
산림국 (山林局) : 1 대한 제국 때에, 농상아문에 속하여 임업ㆍ임정ㆍ조림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2 대한 제국 때에, 농상공부에 속하여 임업ㆍ임정ㆍ조림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
🌏 山: 뫼 산 林: 수풀 림 局: 판 국 -
파지굿 : 가산 오광대에서, 마지막에 관중과 함께 어울려 하는 굿.
-
쌍진굿 (雙陣굿) : 농악 십이채 가운데, 두 진으로 나누어 치는 가락. 또는 그 가락에 맞추어 취하는 동작.
🌏 雙: 쌍 쌍 陣: 진칠 진 -
아림국 (兒林國) : 마한에 속한 나라. 충청남도 서천군 일부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전한다.
🌏 兒: 아이 아 林: 수풀 림 國: 나라 국 -
나비눈 : 못마땅해서 눈알을 굴려, 보고도 못 본 체하는 눈짓.
-
사지춤 : → 사자춤. (사자춤: 사자탈을 쓰고 사자의 동작을 흉내 내며 추는 춤.)
-
안시루 : 뜰 밖에 나가 신을 맞이하여 대청으로 들어와 떡시루를 올리고 대접하는 굿.
-
산신굿 (山神굿) : 무당이 산신에게 올리는 굿.
🌏 山: 뫼 산 神: 귀신 신 -
사직물 (紗織物) : 생사로 성기게 짠 얇고 가벼운 천.
🌏 紗: 깁 사 織: 짤 직 物: 만물 물 -
날치꾼 : 날아가는 새를 쏘아 떨어뜨리는 재주가 있는 사냥꾼.
-
팥잎죽 (팥잎粥) : 연한 팥잎을 넣고 쑨 죽.
🌏 粥: 죽 죽 -
장식주 (裝飾奏) : 어떤 악곡에서 독창자 또는 독주자의 기교를 마음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작곡한 부분. 이 부분에는 반주가 없다.
🌏 裝: 꾸밀 장 飾: 꾸밀 식 奏: 아뢸 주 -
삼입수 (滲入水) : 땅 위에서 땅속으로 스며든 물.
🌏 滲: 스밀 삼 入: 들 입 水: 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