ㅏ ㅣ ㅗ 🌻모음(중성) 단어 373개
-
방직공 (紡織工) : 방직에 종사하는 직공.
🌏 紡: 자을 방 織: 짤 직 工: 장인 공 -
삼일곡 (三日哭) : 1 사흘 동안 곡(哭)한다는 뜻으로, 사당(祠堂)이 불에 타 버렸을 때의 예(禮)를 이르는 말. 2 상제(喪制)가 사흘 동안 그치지 아니하고 곡함.
🌏 三: 석 삼 日: 날 일 哭: 울 곡 -
악식론 (樂式論) : 음악의 형식에 관한 이론.
🌏 樂: 풍류 악 式: 법 식 論: 논의할 론 -
상지골 (上肢骨) : ‘팔뼈’의 전 용어. (팔뼈: 팔과 손을 이루는 뼈를 통틀어 이르는 말.)
🌏 上: 위 상 肢: 팔다리 지 骨: 뼈 골 -
탑시종 (搭顋腫) : ‘유행성이하선염’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유행성 이하선염: 멈프스 바이러스의 감염에 따른 이하선의 염증. 2~3주일의 잠복기를 거쳐 귀밑의 이하선이 부어오르고 열이 나며 고환염, 난소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치유 뒤에는 평생 면역이 되는 제2종 법정 전염병이다.)
🌏 搭: 탈 탑 顋: 뺨 시 腫: 부스럼 종 -
탄일종 (誕日鐘) : 성탄절에 교회에서 치는 종.
🌏 誕: 탄생할 탄 日: 날 일 鐘: 쇠북 종 -
삼인조 (三人組) : 행동을 같이하기 위하여 세 사람으로 구성된 무리.
🌏 三: 석 삼 人: 사람 인 組: 짤 조 -
잔치옷 : 잔치를 벌일 때 차려입는 옷.
-
앙시도 (仰視圖) : 위로 올려다본 평면도.
🌏 仰: 우러를 앙 視: 볼 시 圖: 그림 도 -
다이호 (多耳壺) : 어깨 부분에 귀 모양의 고리 손잡이가 여러 개 달린 항아리.
🌏 多: 많을 다 耳: 귀 이 壺: 병 호 -
감시초 (監視哨) : 1 일정한 곳에서 적의 동정을 살피는 일을 맡은 병사. 2 적의 동정을 살피기 위하여 만들어 놓은 초소.
🌏 監: 볼 감 視: 볼 시 哨: 망볼 초 -
팔일오 (八一五) : 1945년 8월 15일에 우리나라가 일제로부터 주권을 도로 찾은 일.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이 패망한 뒤였다.
🌏 八: 여덟 팔 一: 하나 일 五: 다섯 오 -
차일봉 (遮日峯) : 함경남도 북청군 상차서면에 있는 산. 높이는 1,663미터.
🌏 遮: 막을 차 日: 날 일 峯: 봉우리 봉 -
하지목 (下地木) : 품질이 가장 낮은 무명.
🌏 下: 아래 하 地: 땅 지 木: 나무 목 -
다릿독 : → 징검다리. (징검다리: 개울이나 물이 괸 곳에 돌이나 흙더미를 드문드문 놓아 만든 다리., 중간에서 양쪽의 관계를 연결하는 매개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라디오 (radio) : 1 방송국에서, 일정한 시간 안에 음악ㆍ드라마ㆍ뉴스ㆍ강연 따위의 음성을 전파로 방송하여 수신 장치를 갖추고 있는 청취자들에게 듣게 하는 일. 또는 그런 방송 내용. 2 방송국에서 보낸 전파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바꿔 주는 기계 장치. 3 무선 전화나 무선 전신을 이르는 말.
-
아미도 (amido) : 산아마이드 속에 들어 있는 아미노기를 이르는 말.
-
다비소 (茶毘所) : 시체를 화장하는 장소.
🌏 茶: 차 다 毘: 도움 비 所: 바 소 -
자치통 : 씨를 뿌리는 깔때기 모양의 기구. 길이는 1미터 정도이고, 위 아가리에 끈을 달아서 어깨에 멜 수 있다.
-
장리곡 (長利穀) : 장리로 빌려주거나 또는 장리로 갚기로 하고 꾸는 곡식.
🌏 長: 길 장 利: 이로울 리 穀: 곡식 곡 -
다민족 (多民族) : 여러 민족.
🌏 多: 많을 다 民: 백성 민 族: 겨레 족 -
사기봉 (沙器峯) : 함경남도 장진군 군내면에 있는 산. 높이는 1,777미터.
🌏 沙: 모래 사 器: 그릇 기 峯: 봉우리 봉 -
함기골 (含氣骨) : 공기가 차 있는 공간을 가진 뼈.
🌏 含: 머금을 함 氣: 기운 기 骨: 뼈 골 -
참시호 (참柴胡) :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40~7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근생엽은 버들잎 모양이고 경엽은 선 모양이다. 8~9월에 노란색 꽃이 복산형 화서로 줄기나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타원형이다. 뿌리는 약용한다. 산에서 자라는데 함북, 황해 등지에 분포한다.
🌏 柴: 섶 시 胡: 오랑캐 호 -
마치종 (馬齒種) : 말의 이빨 모양으로 생긴 옥수수의 종자.
🌏 馬: 말 마 齒: 이 치 種: 씨 종 -
다리목 : 다리로 들어서는 어귀.
-
단입공 (單入栱) : 촛가지 하나로 꾸민 공포.
🌏 單: 홑 단 入: 들 입 栱: 두공 공 -
마리보 (Marivaux, Pierre Carlet de Chamblain de) : 프랑스의 극작가ㆍ소설가(1688~1763). 몰리에르식의 전통적 희극을 개혁하여 여성의 연애 심리에 대한 미묘하고 섬세한 분석을 특색으로 하는 희극을 창조하였다. 세련된 사고와 문체는 ‘마리보타지’라고 불리어 뮈세, 지로두 등에 큰 영향을 주었다. 작품에 <사랑과 우연의 장난>, <사랑의 기습>, <마리안의 생애> 등 30여 편이 있다.
-
나이롱 : → 나일론. (나일론: 폴리아마이드 계열의 합성 섬유. 가볍고 부드럽고 탄력성이 강하나 습기를 빨아들이는 힘이 약하다. 의류, 어망, 낙하산, 밧줄 따위에 쓰이며, 상표명에서 나온 말이다.)
-
자필본 (自筆本) : 편저자가 직접 글씨를 쓴 책.
🌏 自: 스스로 자 筆: 붓 필 本: 근본 본 -
바리포 (바리布) : 한 필을 접어서 바리때에 전부 담을 수 있는 베라는 뜻으로, 썩 고운 베를 이르는 말.
🌏 布: 베 포 -
칼립소 (Calypso) :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요정. 오기기아섬에 살았는데 트로이 전쟁에서 돌아오다가 그곳에 표착한 오디세우스가 그녀의 청혼에도 불구하고 귀국할 의사를 밝히자 7년을 붙잡아 두었으나, 끝내는 제우스의 명에 따라서 보내 주게 되었다고 한다.
-
한티족 (Khanty族) : 시베리아 서쪽의 오비강과 예니세이강 유역에 사는 종족. 순록 사육과 어로ㆍ수렵에 종사하고 우랄 어족 우고르 어파에 속한다.
🌏 族: 겨레 족 풍류 가락 주 -
아이오 (IO) : 화면을 가득 채웠던 영상이 원(圓)의 상태로 점점 줄어들다가 마침내는 사라지는 기법.
-
단신총 (單身銃) : 총신(銃身)이 하나인 엽총.
🌏 單: 홑 단 身: 몸 신 銃: 총 총 -
자민족 (自民族) : 어떠한 사람이 속한 민족을 다른 민족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自: 스스로 자 民: 백성 민 族: 겨레 족 -
마리노 (Marino, Giambattista) : 이탈리아의 시인(1569~1625). 전통에 저항하여 기어(奇語)와 은유, 말장난과 과장 등을 추구하였다. 저서에 ≪마도네≫가 있다.
-
사지통 (四肢痛) : 팔다리가 쑤시고 아픈 병.
🌏 四: 넉 사 肢: 팔다리 지 痛: 아플 통 -
삽지공 (揷紙工) : 인쇄할 때에 기계에 종이를 먹이는 사람.
🌏 揷: 꽂을 삽 紙: 종이 지 工: 장인 공 -
잡기호 (雜記號) : 기본적인 것이 아닌 자질구레한 기호.
🌏 雜: 섞일 잡 記: 기록할 기 號: 부르짖을 호 -
각시돔 : 바릿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20cm 정도로 길쭉하고 납작하며, 붉은색인데 옆구리와 배에는 누런색의 띠가 있다. 입이 크고 아래턱이 나와 있다.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장빙고 (藏氷庫) : 얼음을 넣어 두는 창고.
🌏 藏: 감출 장 氷: 얼음 빙 庫: 곳집 고 -
다릿목 : 다리가 놓여 있는 길목.
-
강밋돈 (講米돈) : 조선 시대에, 서당 선생에게 수업료로 곡식 대신 바치던 돈.
🌏 講: 강론할 강 米: -
바지폭 (바지幅) : 천을 이어 대어서 만든 바지의 폭.
🌏 幅: 폭 폭 -
사기소 (沙器所) : 사기그릇을 구워 만드는 곳.
🌏 沙: 모래 사 器: 그릇 기 所: 바 소 -
카키복 (khaki服) : 카키색의 군복. ‘카키’는 인도어로 ‘흙’을 뜻한다.
🌏 服: 입을 복 -
담기골 (擔鰭骨) : 어류의 지느러미를 지탱하는 골격.
🌏 擔: 멜 담 鰭: 지느러미 기 骨: 뼈 골 -
장미꽃 (薔薇꽃) : 장미의 꽃.
🌏 薔: 장미 장 薇: 고비 미 -
깍짓손 : 깍지 상태를 한 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