ㅏ ㅣ ㅓ 🌻모음(중성) 단어 344개
-
안시성 (安市城) : 삼국 시대에, 고구려가 랴오허강(遼下江) 유역에 설치한 성. 고구려와 당나라의 싸움(645)에서 당군의 침략을 저지한 곳으로 유명하다.
🌏 安: 편안할 안 市: 시장 시 城: 재 성 -
사인첩 (sign帖) : 서명을 얻어서 엮어 둔 책.
🌏 帖: 휘장 첩 체지 체 -
남기정 (南畿停) : 신라 때에 둔, 육기정의 하나. 지금의 경주 남쪽에 둔 행정 구역으로, 경덕왕 때 도품혜정을 고친 것이다.
🌏 南: 남녘 남 畿: 경기 기 停: 머무를 정 -
삼침법 (三針法) : 수나사의 지름을 재는 방법. 지름이 일정한 쇠바늘 세 개를 나사의 홈 부분에 대고 그 사이의 간격을 잰다.
🌏 三: 석 삼 針: 바늘 침 法: 법도 법 -
감시선 (監視船) : 해상에서 감시 활동을 하는 배.
🌏 監: 볼 감 視: 볼 시 船: 배 선 -
한시법 (限時法) : 일시적인 특정 사정을 위하여 일정한 기간에 한하여 효력을 발휘하는 법률. 유효 기간 중에 행하여진 위반 행위에 대해서는 법률 폐지 후에도 처벌된다.
🌏 限: 한계 한 時: 때 시 法: 법도 법 -
바이어 (Bayer, Johannes) : 독일의 천문학자(1572~1625).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목록을 개정하고 여기에 남반구에서 관측되는 12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첨가하였다. 저서에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 따위가 있다.
-
사비법 (闍毘法) : 불교식으로 시체를 화장하는 법.
🌏 闍: 화장할 사 毘: 도움 비 法: 법도 법 -
가시성 (가시城) : 가시나무로 친 울타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城: 재 성 -
단식선 (單式線) : 테니스나 배드민턴 따위에서, 단식 경기에 쓰이는 선.
🌏 單: 홑 단 式: 법 식 線: 선 선 -
낭비성 (娘臂城) : 충청북도 청주시 일대에 있었던 삼국 시대의 성. 이 지역을 차지하기 위하여 고구려와 신라가 서로 치열하게 싸웠다고 한다.
🌏 娘: 아가씨 낭 臂: 팔 비 城: 재 성 -
참신성 (斬新性) : 새롭고 산뜻한 특성.
🌏 斬: 벨 참 新: 새로울 신 性: 성품 성 -
탄비설 (炭比說) : 어느 지역에서나 석유의 무게는 석탄의 탄소비에 반비례한다는 학설.
🌏 炭: 숯 탄 比: 견줄 비 說: 말씀 설 -
삼림법 (森林法) : 예전에, 산림 자원의 증식과 임업에 관한 기본 원칙을 정하여 산림의 보호와 육성, 임업 생산력의 향상 및 산림의 공익 기능의 증진을 도모함으로써 국토의 보전과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던 법률. 2005년 ‘산림 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으로 폐지되었다.
🌏 森: 나무 빽빽할 삼 林: 수풀 림 法: 법도 법 -
강인성 (強靭性) : 억세고 질긴 성질.
🌏 強: 강할 강 靭: 질길 인 性: 성품 성 -
카이저 (Kaiser) : 1 독일 황제의 칭호. 로마의 장군 카이사르에서 그 명칭이 유래한다. 2 ‘카이사르’의 독일어 이름. (카이사르: 로마의 군인ㆍ정치가(B.C.100~B.C.44). 크라수스ㆍ폼페이우스와 더불어 제1차 삼두 정치를 수립하였으며, 갈리아와 브리타니아에 원정하여 토벌하였다. 크라수스가 죽은 뒤 폼페이우스마저 몰아내고 독재관이 되었으나, 공화 정치를 옹호한 카시우스롱기누스, 브루투스 등에게 암살되었다. ≪갈리아 전기≫, ≪내란기(內亂記)≫ 따위의 사서(史書)를 남겼다.)
-
바이어 (Beyer, Ferdinand) : 독일의 작곡가(1803~1863). 피아노곡과 실내악을 많이 작곡하였으며, 그의 <피아노 계제>는 피아노 교육의 초보 단계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
단기적 (短期的) : 1 짧은 기간에 걸치는. 2 짧은 기간에 걸치는 것.
🌏 短: 짧을 단 期: 기약할 기 的: 과녁 적 -
간지석 (間知石) : 석축을 쌓는 데 쓰는, 사각뿔 모양의 석재.
🌏 間: 사이 간 知: 알 지 石: 돌 석 -
알링턴 (Arlington) : 미국 동부, 버지니아주(Virginia州)에 있는 마을. 포토맥강을 사이에 두고 워싱턴시와 마주 보고 있으며 국립묘지가 있다.
-
차이법 (差異法) : 영국의 밀이 실험적 연구법으로 든 귀납법의 하나. 어떤 현상이 일어날 때와 일어나지 않을 경우와의 차이를 조사하여 인과를 미루어 아는 방법이다.
🌏 差: 어그러질 차 異: 다를 이 法: 법도 법 -
바지런 : 놀지 아니하고 하는 일에 꾸준함.
-
박이것 : 1 박아서 만든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박음질을 하여 지은 옷.
-
납치범 (拉致犯) : 사람, 항공기, 배 따위를 불법으로 데리고 가거나 끌고 간 사람.
🌏 拉: 끌고갈 납 致: 이를 치 犯: 범할 범 -
각인처 (各人處) : 각 사람의 앞.
🌏 各: 각각 각 人: 사람 인 處: 곳 처 -
차일석 (遮日石) : 차일을 칠 때 줄을 매는 돌.
🌏 遮: 막을 차 日: 날 일 石: 돌 석 -
단일어 (單一語) : 하나의 실질 형태소로 된 말. ‘하늘’, ‘땅’, ‘밥’ 따위이다.
🌏 單: 홑 단 一: 하나 일 語: 말씀 어 -
가림법 (가림法) : 둘 또는 그 이상의 사실에서 하나의 선택을 보이는 연결법. 선택형 어미 ‘-나’, ‘-거나’ 따위로 나타낸다.
🌏 法: 법도 법 -
마인어 (馬印語) :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를 통틀어 이르는 말. 주로 인도네시아어를 가리킨다.
🌏 馬: 말 마 印: 도장 인 語: 말씀 어 -
가지런 : ‘가지런하다’의 어근. (가지런하다: 여럿이 층이 나지 않고 고르게 되어 있다.)
-
하임법 (하임法) : 문장의 주체가 자기 스스로 행하는 것이 아니라 남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이나 행동을 하게 하는 방법. 사동사에 의한 방법과 주동사에 어미 ‘-게’를 붙이고 보조 동사 ‘하다’를 쓰는 방법이 있다. 대개 대응하는 주동문이 존재하며, 주동문의 주어는 주격 조사 대신 ‘-에게’, ‘-한테’가 붙어 새로운 문장 성분이 된다.
🌏 法: 법도 법 -
타킹턴 (Tarkington, Newton Booth) : 미국의 소설가ㆍ극작가(1869~1946). 미국 중서부를 무대로 한 사실적인 소설을 발표하였다. 작품에 <인디애나 출신의 신사>, <멋있는 앰버슨가의 사람들> 따위가 있다.
-
만리성 (萬里城) : 매우 긴 성.
🌏 萬: 일만 만 里: 마을 리 城: 재 성 -
다리접 (다리椄) : 다리 모양으로 가지를 건너질러 접을 붙이는 방법. 나무껍질에 상처가 났을 때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조직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처 부위를 건너질러 접을 붙인다.
🌏 椄: 접붙일 접 -
칼잎벌 : 칼잎벌과의 곤충. 몸은 검고 더듬이는 누런 갈색, 다리는 붉은 갈색이며 더듬이의 셋째 마디와 산란관이 길다.
-
짝진점 (짝진點) : 합동 또는 닮은꼴인 다각형에서 서로 대응하는 두 점.
🌏 點: 점찍을 점 -
마이너 (minor) : 단음계로 된 곡조.
-
방식법 (防蝕法) : 금속의 표면이 화학적 변화로 녹이 슬거나 삭지 않도록 처리하는 방법.
🌏 防: 막을 방 蝕: 갉아먹을 식 法: 법도 법 -
사기업 (私企業) : 민간인이 출자하여 운영하는 기업.
🌏 私: 사사로울 사 企: 꾀할 기 業: 업 업 -
장끼전 (장끼傳) : 조선 시대의 우화 소설. 장끼 남편을 잃은 까투리의 개가(改嫁) 문제를 통하여 당시의 사회 제도를 풍자한 작품이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傳: 전할 전 -
마이어 (Meyer, Conrad Ferdinand) : 스위스의 시인ㆍ소설가(1825~1898). 언어에 의한 조형미를 추구하였으며, 작품에 <후텐 최후의 나날>, <수도사의 혼례> 따위가 있다.
-
당신석 (唐信石) : 예전에, 중국에서 들여온 비상을 이르던 말.
🌏 唐: 당나라 당 信: 믿을 신 石: 돌 석 -
다비법 (茶毘法) : 불교식으로 시체를 화장하는 법.
🌏 茶: 차 다 毘: 도움 비 法: 법도 법 -
사직서 (社稷署) : 조선 시대에, 사직단(社稷壇)을 관리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태조 3년(1394)에 설치하였고, 융희 2년(1908)에 없앴다.
🌏 社: 모일 사 稷: 기장 직 署: 관청 서 -
자치적 (自治的) : 1 자기 일을 스스로 다스리는 것. 2 자기 일을 스스로 다스리는.
🌏 自: 스스로 자 治: 다스릴 치 的: 과녁 적 -
안깃선 (안깃線) : 안깃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선.
🌏 線: 선 선 -
자릿점 (자릿點) : 1 수판에서, 수의 자리를 표시하려고 찍어 놓은 점. 2 수를 나타낼 때 천 단위마다 찍는 점.
🌏 點: 점찍을 점 -
가십성 (gossip性) : 신문, 잡지 등의 기사에서 개인의 사생활에 대하여 소문이나 험담 따위를 흥미 본위로 다룬 성질.
🌏 性: 성품 성 -
다기성 (多岐性) : 가닥이나 줄기가 많은 특성.
🌏 多: 많을 다 岐: 갈림길 기 性: 성품 성 -
말밑천 : 1 말을 끊지 아니하고 계속 이어 갈 수 있는 재료. 2 말하는 데 들인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