ㅏ ㅗ 🌻모음(중성) 단어 3,138개
-
간소 (簡素) : ‘간소하다’의 어근. (간소하다: 간략하고 소박하다.)
🌏 簡: 대쪽 간 素: 흴 소 -
상옥 (上屋) : 수송 화물을 보관ㆍ선별하거나, 작업 또는 대기하는 데 쓰려고 부두나 역 가까이에 지은 건물.
🌏 上: 위 상 屋: 집 옥 -
항목 (項目) : 법률이나 규정 따위의 낱낱의 조나 항.
🌏 項: 목덜미 항 目: 눈 목 -
강목 (講目) : 강독하는 경전의 명목(名目).
🌏 講: 강론할 강 目: 눈 목 -
산통 (疝痛) : ‘급경련통’의 전 용어. (급경련통: 배가 팍팍 쑤시는 듯이 심하게 아픈 것이 간격을 두고 되풀이하여 일어나는 증상. 배 부위 내장의 여러 질환에 따르는 증후로 대개 콩팥돌증, 창자막힘증 따위의 경우에 나타난다.)
🌏 疝: 산증 산 痛: 아플 통 -
만포 (滿浦) : 만포선의 북쪽 종점에 있는 도시. 만주의 지안(集安)과 가까운 국경 도시로 부근에서 생산되는 물품의 집산과 만주 여러 도시와의 무역이 활발하다. 수풍 댐을 세우고 나서부터 번성하였다.
🌏 滿: 찰 만 浦: 개 포 -
만보 (瞞報) : 속여서 거짓으로 보고함. 또는 그런 보고.
🌏 瞞: 속일 만 報: 갚을 보 -
상소 (上訴) : 하급 법원의 판결에 따르지 않고 상급 법원에 재심을 요구하는 일. 종국 판결에 대하여 항소ㆍ상고가 인정되고, 결정 및 명령에 대하여 항고ㆍ재항고ㆍ특별 항고가 인정된다.
🌏 上: 위 상 訴: 하소연할 소 -
사노 (私奴) : 권문세가에서 사적(私的)으로 부리던 노비. 특히 조선 시대에는 주인에 의하여 재물처럼 취급되어 매매ㆍ상속ㆍ증여되기도 하였다.
🌏 私: 사사로울 사 奴: 종 노 -
마포 (麻布) : 삼실로 짠 천.
🌏 麻: 삼 마 布: 베 포 -
살소 : 쇠살쭈들의 은어로, ‘육용우’를 이르는 말. (육용우: 특별히 고기를 얻기 위하여 기르는 소. 한우, 쇼트혼, 헤리퍼드, 애버딘앵거스 따위가 있다.)
-
사조 (思潮) : 한 시대의 일반적인 사상의 흐름.
🌏 思: 생각 사 潮: 조수 조 -
강조 (強調) : 어떤 부분을 특별히 강하게 주장하거나 두드러지게 함.
🌏 強: 강할 강 調: 고를 조 -
창공 (蒼空) : 맑고 푸른 하늘.
🌏 蒼: 푸를 창 空: 빌 공 -
강도 (講道) : 1 교리를 알기 쉽게 설명하는 일. 2 도를 강의하거나 설명함.
🌏 講: 강론할 강 道: 길 도 -
달론 (達論) : 사리에 맞는 의논.
🌏 達: 통할 달 論: 논의할 론 -
난속 (亂俗) : 풍속을 어지럽힘. 또는 어지러운 풍속.
🌏 亂: 어지러울 난 俗: 풍속 속 -
함호 (含糊) : 1 죽을 머금었다는 뜻으로, 말을 입 속에서 중얼거리며 분명하지 아니하게 함을 이르는 말. 2 우물우물하며 결단을 못 내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含: 머금을 함 糊: 풀 호 -
잔존 (殘存) : 없어지지 아니하고 남아 있음.
🌏 殘: 쇠잔할 잔 存: 있을 존 -
단통 (單통) : 1 그 자리에서 대번에 곧장 하는 것. 2 그 자리에서 대번에 곧장.
🌏 單: 홑 단 -
잡곡 (雜穀) : 쌀 이외의 모든 곡식. 보리, 밀, 콩, 팥, 옥수수, 기장, 조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 雜: 섞일 잡 穀: 곡식 곡 -
말로 (末路) : 1 사람의 일생 가운데에서 마지막 무렵. 2 망하여 가는 마지막 무렵의 모습.
🌏 末: 끝 말 路: 길 로 -
탁고 (託孤) : 고아의 장래를 믿을 만한 사람에게 부탁함.
🌏 託: 부탁할 탁 孤: 외로울 고 -
바소 : 곪은 데를 째는 침. 길이 네 치, 너비 두 푼 반가량이고 양쪽 끝에 날이 있다.
-
하소 (煆燒) : 어떤 물질을 공기 중에서 태워 휘발 성분을 없애고 재로 만드는 일.
🌏 煆: 데울 하 燒: 사를 소 -
삼조 (三朝) : 1 그달의 세 번째 날. 또는 그날의 아침. 2 삼대의 조정(朝廷). 3 갓난아이가 태어난 지 3일째 되는 날. ... (총 4개의 의미)
🌏 三: 석 삼 朝: 아침 조 -
파초 (芭椒) : 초피나무의 과피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심복통(心腹痛)ㆍ구토ㆍ설사 따위에 쓰인다.
🌏 芭: 파초 파 椒: 산초나무 초 -
앙독 (仰毒) : 독약을 먹음.
🌏 仰: 우러를 앙 毒: 독 독 -
하송 (賀頌) : 축하하며 칭송함.
🌏 賀: 하례할 하 頌: 기릴 송 -
감동 (感動) : 크게 느끼어 마음이 움직임.
🌏 感: 느낄 감 動: 움직일 동 -
말몫 : 1 말잡이의 몫으로 주는 곡식. 2 지주와 소작인이 타작한 곡식을 나눌 때, 마당에 처져서 소작인의 차지가 되는 곡식.
-
파속 (把束) : 삼국 시대에, 논밭에 매기던 결세 단위인 줌과 단. 1파(把)는 1줌이며, 10파는 1속(束)이 되는데 이를 1단이라고도 한다.
🌏 把: 잡을 파 束: 묶을 속 -
망조 (罔措) : 너무 당황하거나 급하여 어찌할 줄을 모르고 갈팡질팡함.
🌏 罔: 그물 망 措: 둘 조 -
삼롱 (三弄) : 거문고를 연주할 때에, 줄을 힘 있게 누르고 계속 올려 치는 기법.
🌏 三: 석 삼 弄: 희롱할 롱 -
장콩 (醬콩) : 장을 담그는 콩.
🌏 醬: 장 장 -
가옥 (假玉) : 사람이 만든 가짜 옥.
🌏 假: 거짓 가 玉: 구슬 옥 -
살초 (殺草) : 약을 써서 풀이나 잡초 따위를 죽여 없앰.
🌏 殺: 죽일 살 草: 풀 초 -
탄종 (誕縱) : ‘탄종하다’의 어근. (탄종하다: 지나치게 방종하다.)
🌏 誕: 탄생할 탄 縱: 늘어질 종 -
자고 (瓷鼓) : 도자기로 된 장구.
🌏 瓷: 오지그릇 자 鼓: 북 고 -
납공 (納貢) : 백성이 그 지방에서 나는 특산물을 조정에 바치던 일. 또는 그 세제(稅制).
🌏 納: 들일 납 貢: 바칠 공 -
밧모 (Patmos) : 지중해에 있는 작은 섬. 사도 요한이 그곳에 정배(定配) 가서 계시를 받아 묵시록을 썼다고 전해진다.
-
낭독 (朗讀) : 글을 소리 내어 읽음.
🌏 朗: 밝을 낭 讀: 읽을 독 -
상초 (上草) : 품질이 아주 좋은 담배.
🌏 上: 위 상 草: 풀 초 -
파골 (破骨) : 뼈를 으스러뜨리거나 부러뜨림. 또는 그렇게 된 뼈.
🌏 破: 깨뜨릴 파 骨: 뼈 골 -
장조 (匠竈) : 조선 시대에, 염전에서 소금을 만들던 사람. 신량역천으로 신분은 양인이나 역(役)은 천하였다.
🌏 匠: 장인 장 竈: 부엌 조 -
가보 (家譜) : 한집안의 친족 관계나 내력을 계통적으로 적은 책.
🌏 家: 집 가 譜: 계보 보 -
간봉 (間烽) : 조선 시대에, 전국 봉수망(烽燧網) 가운데 지방에서 서울에 이르는 주요 간선 다섯 개 길의 직봉(直烽)에 들지 않는 작은 봉수 조직. 직봉과 직봉을 연결하여 주거나 변경의 초소로부터 본진(本鎭), 본읍(本邑)에 연결하여 주었다.
🌏 間: 사이 간 烽: 봉화 봉 -
사로 (絲路) : 작은 길.
🌏 絲: 실 사 路: 길 로 -
찬고 (饌庫) : 반찬이나 반찬거리를 넣어 두는 광.
🌏 饌: 반찬 찬 庫: 곳집 고 -
앙꼬 (anko) : 1 떡이나 빵의 안에 든 팥. 2 다이너마이트를 남폿구멍에 넣고 난 다음 그 둘레에 다져 넣는 진흙 따위의 물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