ㅏ ㅏ 🌻모음(중성) 단어 5,206개
-
사탄 (Satan) : 적대자라는 뜻으로, 하나님과 대립하여 존재하는 악(惡)을 인격화하여 이르는 말.
-
담장 (淡粧) : 수수하고 엷게 화장을 함. 또는 그 화장.
🌏 淡: 묽을 담 粧: 단장할 장 -
방상 (方箱) : 네모난 상자.
🌏 方: 모 방 箱: 상자 상 -
차상 (嗟傷) : 한탄하며 슬퍼함.
🌏 嗟: 탄식할 차 傷: 상처 상 -
산란 (散亂) : 파동이나 입자선이 물체와 충돌하여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는 현상. 충돌 전후에 운동 에너지의 변화가 없는 탄성 산란과 변화가 있는 비탄성 산란이 있다.
🌏 散: 흩을 산 亂: 어지러울 란 -
삼방 (三房) : 1 과거를 보일 때 세 시관(試官)이 묵던 곳. 2 조선 시대에, 중국에 보낸 서장관이 머물던 곳.
🌏 三: 석 삼 房: 방 방 -
다사 (茶肆) : 중국 사람들의 사교장. 서민들은 이곳에서 점심을 먹고 차를 마시기도 하며, 상인들은 서로 정보를 교환하기도 한다.
🌏 茶: 차 다 肆: 방자할 사 -
창간 (槍杆) : 창의 자루.
🌏 槍: 무기 창 杆: 쓰러진 나무 간 -
박학 (博學) : 배운 것이 많고 학식이 넓음. 또는 그 학식.
🌏 博: 넓을 박 學: 배울 학 -
망사 (望祀) : 섶을 태우며 멀리 산천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일.
🌏 望: 바랄 망 祀: 제사 사 -
안함 (安含) : 신라 진평왕 때의 승려(578~640). 속성은 김(金). 신라 십성의 한 사람으로, 왕명을 받고 중국 수나라에 가서 불법을 배워 왔다. 저서에 ≪동도성립기(東都成立記)≫가 있다.
🌏 安: 편안할 안 含: 머금을 함 -
안잠 : 여자가 남의 집에서 먹고 자며 그 집의 일을 도와주는 일. 또는 그런 여자.
-
한자 (韓子) : 중국 춘추 시대 말기의 한비가 지은 책. 형벌의 이름과 방법을 논한 것이다. 55편 20책.
🌏 韓: 나라 한 子: 아들 자 -
낭당 (郎幢) : 신라 때에, 중앙 군단에 속한 군영. 진평왕 47년(625)에 설치하고 문무왕 17년(677)에 자금서당(紫衿誓幢)으로 고쳤다.
🌏 郎: 사내 낭 幢: 기 당 -
반짝 : 1 물건을 아주 가볍게 들어 올리는 모양. 2 물건의 끝이 갑자기 높이 들리는 모양. 3 몸의 한 부분을 갑자기 위로 들어 올리는 모양. ... (총 4개의 의미)
-
탄산 (炭山) : 석탄을 캐내는 광산.
🌏 炭: 숯 탄 山: 뫼 산 -
삼사 (三赦) : 죄를 용서받을 수 있는 세 가지 조건에 해당하던 사람. 7세 이하의 어린이, 80세 이상의 노인, 정신 장애인을 이른다.
🌏 三: 석 삼 赦: 용서할 사 -
상사 (上舍) : 1 조선 시대에, 소과(小科)인 생원과에 합격한 사람. 2 조선 시대에, 과거의 예비 시험인 소과(小科)의 복시에 합격한 사람에게 준 칭호. 또는 그런 사람.
🌏 上: 위 상 舍: 집 사 -
당당 (瞠瞠) : 눈을 휘둥그렇게 뜨고 똑바로 보는 모양.
🌏 瞠: 볼 당 瞠: 볼 당 -
탈간 (脫簡) : 책 속에 편(編)이나 장(章)이 빠지거나 낙장(落張) 따위가 있는 일. 고서(古書)를 죽간(竹簡)에 새겨 철한 데서 나온 말이다.
🌏 脫: 벗을 탈 簡: 대쪽 간 -
상락 (上洛) : 지방에서 서울로 감.
🌏 上: 위 상 洛: 물 이름 락 -
발참 (發站) : 조선 시대에, 나라의 급한 통신 연락이나 문서 전달을 담당하던 기발ㆍ보발이 대기하던 곳. 대개 삼십 리마다 두었다.
🌏 發: 필 발 站: 우두커니 설 참 -
가악 (嘉樂) : 경사 때에 쓰는 음악.
🌏 嘉: 아름다울 가 樂: 풍류 악 -
장만 : 필요한 것을 사거나 만들거나 하여 갖춤.
-
타당 (他黨) : 다른 당. 또는 남이 속한 당.
🌏 他: 다를 타 黨: 무리 당 -
악가 (樂歌) : 악곡(樂曲) 또는 악장(樂章)에 따라 부르는 노래.
🌏 樂: 풍류 악 歌: 노래 가 -
가사 (歌辭) : 조선 초기에 나타난, 시가와 산문 중간 형태의 문학. 형식은 주로 4음보의 율문(律文)으로, 3ㆍ4조 또는 4ㆍ4조를 기조로 하며, 행수(行數)에는 제한이 없다. 마지막 행이 시조의 종장과 같은 형식인 것을 정격(正格), 그렇지 않은 것을 변격(變格)이라고 한다.
🌏 歌: 노래 가 辭: 말씀 사 -
사사 (四史) : ≪사기≫, ≪전한서≫, ≪후한서≫, ≪삼국지≫의 네 가지 중국 역사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四: 넉 사 史: 역사 사 -
한단 (邯鄲) : 중국 허베이성(河北省) 남부에 있는 도시. 전국 시대 조(趙)나라의 도읍이었으며, 화베이(華北) 평원과 산시(山西) 구릉 지대를 이어 주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 邯: 조나라 도읍 한 鄲: 조나라 도읍 단 -
산란 (産卵) : 알을 낳음.
🌏 産: 낳을 산 卵: 알 란 -
참바 : 삼이나 칡 따위로 세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드린 줄.
-
강간 (強姦) : 폭행 또는 협박 따위의 불법적인 수단으로 사람을 간음함.
🌏 強: 강할 강 姦: 간사할 간 -
반쌍 (半雙) : 한 쌍의 반. 또는 쌍으로 된 것의 어느 한쪽.
🌏 半: 반 반 雙: 쌍 쌍 -
단작 (單作) : 1 같은 땅에서 1년에 농작물을 한 번 심어 거둠. 또는 그런 방식. 2 한 농경지에 한 종류의 농작물만을 심어 가꾸는 일.
🌏 單: 홑 단 作: 지을 작 -
산하 (傘下) : 어떤 조직체나 세력의 관할 아래.
🌏 傘: 우산 산 下: 아래 하 -
갉작 : ‘갉작거리다’의 어근. (갉작거리다: 날카롭고 뾰족한 끝으로 바닥이나 거죽을 자꾸 문지르다., 되는대로 글이나 그림 따위를 자꾸 쓰거나 그리다.)
-
암살 : 아픔이나 괴로움 따위를 거짓으로 꾸미거나 실제보다 조금 보태어서 나타냄. 또는 그런 태도나 말.
-
단간 (段間) : 단을 나누어 짜는 조판(組版)에서의 단과 단 사이.
🌏 段: 구분 단 間: 사이 간 -
안당 (安瑭) : 조선 전기의 문신(1461~1521). 자는 언보(彦寶). 호는 영모당(永慕堂). 대사간, 이조 판서, 우의정, 좌의정을 지냈으나, 중종 16년(1521) 신사무옥 때에 처형되었다.
🌏 安: 편안할 안 瑭: 당무옥 당 -
자하 (疵瑕) : 어떤 사물의 모자라거나 잘못된 부분.
🌏 疵: 흠 자 瑕: 티 하 -
안반 (安般) : 숨을 다듬으면서 마음을 가라앉히는 관법(觀法).
🌏 安: 편안할 안 般: 옮길 반 -
낙각 (落角) : 탄환 따위가 떨어지는 각. 탄도 접선과 포구(砲口)를 통하는 수평면이 이루는 각을 이른다.
🌏 落: 떨어질 낙 角: 뿔 각 -
담담 (潭潭) : ‘담담하다’의 어근. (담담하다: 물이 깊고 넓다.)
🌏 潭: 깊을 담 潭: 깊을 담 -
단잔 (單盞) : 1 술 한 잔. 2 제사 때 단헌(單獻)으로 드리는 잔.
🌏 單: 홑 단 盞: 술잔 잔 -
만방 (萬放) : 바둑에서, 계가 시 서로의 집 수 차이가 91집 이상일 때를 이르는 말.
🌏 萬: 일만 만 放: 놓을 방 -
단한 (單寒) : ‘단한하다’의 어근. (단한하다: 친족이 없이 고독하고 가난하다., 의지할 곳이 없고 춥다., 옷이 얇아 춥다.)
🌏 單: 홑 단 寒: 찰 한 -
발막 : 예전에, 흔히 잘사는 집의 노인이 신었던 마른신. 뒤축과 코에 꿰맨 솔기가 없으며, 코끝을 넓적하게 하여 거기에 가죽 조각을 대고 흰 분칠을 하였다.
-
사장 (師匠) : 학문이나 기예에 능하여 남의 스승이 될 만한 사람. 또는 학문이나 기예를 가르치는 사람.
🌏 師: 스승 사 匠: 장인 장 -
사탐 (査探) : 알려지지 않은 사물이나 사실 따위를 샅샅이 더듬어 조사함.
🌏 査: 사실할 사 探: 찾을 탐 -
잠학 (蠶學) : 누에고치 생산에 관한 모든 이론과 실제적 문제를 연구하는 학문.
🌏 蠶: 누에 잠 學: 배울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