ㅏ ㅏ ㅗ 🌻모음(중성) 단어 488개
-
아악보 (雅樂譜) : 아악의 곡을 적은 악보. 또는 그런 책.
🌏 雅: 아담할 아 樂: 풍류 악 譜: 계보 보 -
아마톨 (amatol) : 암모늄질산염과 티엔티(TNT)의 혼합물로 만든 고성능 폭탄.
-
다장조 (다長調) : ‘다’ 음을 으뜸음으로 한 장조.
🌏 長: 길 장 調: 고를 조 -
간삼봉 (間三峯) : 함경북도 무산군에 있는 산. 함경산맥 최북단에 있으며, 두만강을 비롯하여 그 지류인 서두수, 소홍단수(小紅湍水), 연면수 따위가 시작하는 곳이다. 높이는 1,434미터.
🌏 間: 사이 간 三: 석 삼 峯: 봉우리 봉 -
반하곡 (半夏麯) : 반하, 백반, 생강을 섞어 만든 누룩. 습병(濕病)을 없애는 데 쓴다.
🌏 半: 반 반 夏: 여름 하 麯: -
나한도 (羅漢圖) : 1 나한, 즉 덕이 높은 고승(高僧)을 그린 그림. 고려 시대에 불교의 융성과 나한에 대한 신앙이 성행하면서 많이 그리게 되었다. 2 조선 전기에 이상좌가 그린 그림. 15세기 무렵의 작품으로 다섯 명의 나한상을 묵선(墨線)으로 그렸다.
🌏 羅: 그물 나 漢: 한나라 한 圖: 그림 도 -
방갈로 (bungalow) : 1 처마가 깊숙하고 정면에 베란다가 있는 작은 단층 주택. 본디는 인도 벵골 지방의 독특한 주택 양식으로서 풀이나 기와로 지붕을 인 목조 건물을 이른다. 2 산기슭이나 호숫가 같은 곳에 지어 여름철에 훈련용, 피서용으로 쓰는 산막(山幕), 별장 따위의 작은 집.
-
하악골 (下顎骨) : 아래턱을 이루는 말발굽 모양의 뼈. 좌우의 턱관절에 의하여 광대뼈와 결합되어 있으며, 다른 뼈와 떨어져 있고 이 뼈 위에 아랫니가 있다.
🌏 下: 아래 하 顎: 얼굴 높을 악 骨: 뼈 골 -
창랑곡 (滄浪曲) : 조선 시대의 가사(歌辭). 세상의 부귀공명을 버리고 강호에 노닐면서 세상을 살겠다는 내용으로, 모두 122구로 된 작품이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滄: 찰 창 浪: 물결 랑 曲: 굽을 곡 -
마상총 (馬上銃) : 말을 타고 싸우는 기병(騎兵)이 쓰는 작고 간편한 총.
🌏 馬: 말 마 上: 위 상 銃: 총 총 -
산탁목 (山啄木) : 딱따구릿과의 새. 몸의 길이는 25cm 정도이며, 등 쪽은 누런 갈색, 허리는 붉은 황색, 머리의 앞쪽은 검고 배는 녹색을 띤 회백색인데 꽁지에 ‘V’ 자 모양의 무늬가 있다. 단독 생활을 하고 부리로 나무에 구멍을 뚫어 알을 낳으며, 발가락과 굳은 꽁지깃을 써서 나무에 수직으로 붙어 앉아 나무를 빙빙 돌면서 올라가는 습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한 텃새이며 중국 본토와 만주, 일본의 홋카이도 등지에 분포한다.
🌏 山: 뫼 산 啄: 쪼을 탁 木: 나무 목 -
바마코 (Bamako) : 아프리카 서부, 말리 서남부에 있는 도시. 나이저강의 상류에 있으며, 교통과 상업의 중심지이다. 주변에서 생산되는 목화, 땅콩의 집산지이며 농산물의 수출이 활발하다. 말리의 수도이다.
-
갈라록 (葛邏祿) : ‘카를루크’의 음역어. (카를루크: 고대 터키계의 한 민족. 주로 7세기부터 12세기까지 중앙아시아에서 활약하였다.)
🌏 葛: 칡 갈 邏: 돌 라 祿: 복 록 -
감각모 (感覺毛) : 1 주로 포유류의 주둥이에 붙어 외부의 자극을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작용을 하는 털. 감각을 관장하는 감각 세포가 털 밑에 있어 진동, 촉각 따위의 각종 감각을 수용한다. 2 절지동물의 촉각을 맡은 털.
🌏 感: 느낄 감 覺: 깨달을 각 毛: 털 모 -
악박골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 일대의 옛 이름.
-
바깥목 (바깥目) : 기둥의 바깥쪽.
🌏 目: 눈 목 -
하남도 (河南道) : 고려 시대에 둔 십도(十道)의 하나. 공주(公州)ㆍ운주(運州) 등의 11주(州) 34현(縣)을 관할하였다.
🌏 河: 강물 하 南: 남녘 남 道: 길 도 -
자아혼 (自我魂) : 자기 자신의 넋.
🌏 自: 스스로 자 我: 나 아 魂: 넋 혼 -
각판본 (刻版本) : 목판으로 인쇄한 책.
🌏 刻: 새길 각 명심할 각 각박할 각 깎을 각 줄일 각 해칠 각 정할 각 열심히 각 기물에새긴문자 각 판본 각 版: 널조각 판 本: 근본 본 -
장난조 (장난調) : 장난삼아 하는 듯한 투.
🌏 調: 고를 조 -
망상도 (網狀圖) : 원, 곡선, 화살표 따위로 그린 그물 모양의 도표.
🌏 網: 그물 망 狀: 형상 상 圖: 그림 도 -
당방초 (唐防草) : 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넓적하게 만든 중국식 벽돌.
🌏 唐: 당나라 당 防: 막을 방 草: 풀 초 -
다산모 (多産母) : 아이를 많이 낳은 어머니.
🌏 多: 많을 다 産: 낳을 산 母: 어머니 모 -
사바고 (娑婆苦) : 현세를 살아가면서 겪어야 할 많은 고통.
🌏 娑: 춤출 사 婆: 苦: 괴로울 고 -
파랑돔 : 자리돔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30cm 정도이며 몸빛은 하늘색에 꼬리와 배 쪽은 노랗고 가슴지느러미 밑에 검은 띠가 있다. 한국의 제주, 일본 중부 해안 등지에 분포한다.
-
다발총 (多發銃) : 탄창이 똬리 모양으로 둥글납작한 소련제 기관 단총을 속되게 이르는 말.
🌏 多: 많을 다 發: 필 발 銃: 총 총 -
산산호 (山珊瑚) :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50~100cm이며, 잎은 없으나 비늘잎은 어긋난다. 6~7월에 황갈색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붉은색으로 종자에 날개가 있으며 약용한다. 썩은 균사에 기생하는 식물로 엽록소가 없다. 한국의 제주,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山: 뫼 산 珊: 산호 산 瑚: 산호 호 -
삼산도 (三酸圖) : 중국 송나라의 불인 선사(佛人禪師), 소식, 황정견이 도화산(桃花酸)이라는 초(醮)를 맛보고는 눈살을 찌푸렸다는 고사(故事)를 그린 그림. 조송설(趙松雪)이 그렸으며, 삼교(三敎)의 일치를 풍자한 것이다.
🌏 三: 석 삼 酸: 초 산 圖: 그림 도 -
파랑도 (波浪島) : ‘이어도’의 다른 이름. (이어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마라도로부터 남서쪽으로 149km 떨어진 지점에 있는 수중 암초. 2003년 6월에 이어도 종합 해양 과학 기지가 설치되었다. ‘파랑도’라고도 한다. 면적은 수심 50m를 기준으로 약 2㎢.)
🌏 波: 물결 파 浪: 물결 랑 島: 섬 도 -
하마온 (蝦蟆瘟) : 얼굴이 붉어지고 부어오르며 목구멍이 아프고 붓는 병. 심해지면 이를 다물고 벌리지 못하며 헛소리를 하기도 한다.
🌏 蝦: 두꺼비 하 새우 하 만주어 하 蟆: 두꺼비 마 瘟: 염병 온 -
바다소 : 바다솟과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의 길이는 3미터 정도이며 회색이고 주둥이에 털이 나 있다. 앞다리는 가슴지느러미발이 되어 앞쪽으로 나와 있고 뒷다리는 퇴화하였으며 꼬리지느러미가 있다. 겁이 많고 동작이 둔하다. 초식성 수생 동물로 카리브해바다소, 아프리카바다소, 아마존바다소가 있다.
-
카나로 (Canaro, Francisco) : 아르헨티나의 작곡가ㆍ지휘자ㆍ바이올린 연주자(1888~1964). 탱고의 규범적 연주법을 확립하여 ‘탱고의 왕’으로 불리었다. 작품에 <센티미엔토 가우초> 따위가 있다.
-
마안도 (馬鞍島) : 평안북도 용천군 서쪽에 있는 섬. 말안장처럼 생겼다는 데서 비롯된 지명이다. 한반도의 최서단이다. 면적은 0.29㎢.
🌏 馬: 말 마 鞍: 안장 안 島: 섬 도 -
다 카포 (da capo) : 악보에서, 악곡을 처음부터 되풀이하여 연주하라는 말.
-
안단골 : ‘무녀’를 달리 이르는 말. (무녀: 여자 무당.)
-
반달홈 (半달홈) : 반달 모양으로 파인 홈.
🌏 半: 반 반 -
강사포 (絳紗袍) : 임금이 신하들로부터 하례를 받을 때 입던 예복. 빛이 붉고 모양은 관복과 같았다.
🌏 絳: 진홍 강 紗: 깁 사 袍: 두루마기 포 -
반달꼴 (半달꼴) : 반달같이 생긴 모양.
🌏 半: 반 반 -
바단조 (바短調) : ‘바’ 음을 으뜸음으로 한 단조.
🌏 短: 짧을 단 調: 고를 조 -
나사골 (螺絲골) : 나사의 고랑이 진 부분.
🌏 螺: 소라 나 絲: 실 사 -
난간포 (欄干包) : 난간에 꾸민 공포(栱包).
🌏 欄: 난간 난 干: 방패 간 막을 간 물가 간 범할 간 구할 간 간섭할 간 관섭할 간 약간 간 包: 쌀 포 -
자단목 (紫檀木) : 콩과의 상록 활엽 교목. 높이는 10미터 이상이며 잎은 어긋나고 겹잎으로 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다. 나무껍질이 자줏빛이고 여름철에 누런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핀다. 재목은 건축, 가구 따위의 재료로 쓴다. 인도 남부에서 스리랑카에 걸쳐 분포한다.
🌏 紫: 자주 빛 자 檀: 박달나무 단 木: 나무 목 -
갈사초 (褐莎草) :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40~70cm이며, 삼각기둥 모양이다. 잎은 어긋나고 좁고 긴 칼 모양이며 6월에 5~7개의 작은 수상화가 총상(總狀) 화서로 핀다. 따뜻한 곳의 산이나 들에 자라는데 우리나라의 전남, 경남 등지에 분포한다.
🌏 褐: 베옷 갈 莎: 사초 사 草: 풀 초 -
상악동 (上顎洞) : 코곁굴의 하나로 위턱뼈 가운데 있는 한 쌍의 공동(空洞). 안쪽은 코안의 점막으로 덮여 있으며 그 속에는 공기가 들어 있다. 코곁굴염이 잘 걸리는 곳이며 이뿌리에 가까워 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 上: 위 상 顎: 얼굴 높을 악 洞: 고을 동 -
남산봉 (南山峯) : 함경남도 풍산군과 북청군 사이에 있는 산. 높이는 1,684미터.
🌏 南: 남녘 남 山: 뫼 산 峯: 봉우리 봉 -
판자봉 (板子峯) : 평안북도 자성군 이평면에 있는 산. 높이는 1,069미터.
🌏 板: 널빤지 판 子: 아들 자 峯: 봉우리 봉 -
단간종 (短幹種) : 줄기가 짧은 식물의 종류.
🌏 短: 짧을 단 幹: 줄기 간 種: 씨 종 -
납작코 : 콧날이 서지 않고 납작하게 가로퍼진 코. 또는 그런 코를 가진 사람.
-
삭망조 (朔望潮) : 음력 보름과 그믐 무렵에 밀물이 가장 높은 때.
🌏 朔: 초하루 삭 望: 바랄 망 潮: 조수 조 -
나가족 (Naga族) : 인도 동북부 아삼주 나가 구릉 및 미얀마의 친드윈강 상류 지역에 사는 부족. 농업에 종사하고, 신체적으로 황색 인종의 특징을 지니며, 티베트ㆍ버마어를 사용한다.
🌏 族: 겨레 족 풍류 가락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