ㅏ ㅏ ㅓ 🌻모음(중성) 단어 429개
-
가마터 : 질그릇이나 사기그릇, 기와 따위를 굽는 가마가 있던 옛터.
-
잠산성 (潛酸性) : 흙 따위가 산성 반응을 일으키기 전의 상태. 물과 결합하면 활산성으로 변한다.
🌏 潛: 자맥질할 잠 酸: 초 산 性: 성품 성 -
납함성 (吶喊聲) : 적진을 향하여 돌진할 때 군사가 일제히 고함을 지르는 소리.
🌏 吶: 떠들 납 喊: 소리칠 함 聲: 소리 성 -
삼팔선 (三八線) : 위도가 38도가 되는 선. 특히 한반도의 중앙부를 가로지르고 있는 북위 38도선을 이른다.
🌏 三: 석 삼 八: 여덟 팔 線: 선 선 -
가단성 (可鍛性) : 고체가 외부의 충격에 깨지지 않고 늘어나는 성질.
🌏 可: 옳을 가 鍛: 쇠불릴 단 性: 성품 성 -
닭산적 (닭散炙) : 닭고기와 하얀 파의 줄기를 길쭉길쭉하게 썰고 양념을 하여 꼬챙이에 꿰어서 구운 음식.
🌏 散: 흩을 산 炙: 구울 적 -
사상성 (思想性) : 어떤 사상의 경향이 있는 특성.
🌏 思: 생각 사 想: 생각 상 性: 성품 성 -
상하선 (上下船) : 1 사람이 배에 오르거나 배에서 내림. 2 배에 짐을 싣거나 배에서 짐을 내려 부림.
🌏 上: 위 상 下: 아래 하 船: 배 선 -
잠항정 (潛航艇) : 항해 속도가 빠른 소형의 잠수함.
🌏 潛: 자맥질할 잠 航: 배 항 艇: 거룻배 정 -
착발선 (着發線) : 열차의 도착과 출발에 쓰는 선로.
🌏 着: 붙을 착 發: 필 발 線: 선 선 -
남남서 (南南西) : 남쪽과 서남쪽 사이의 방위.
🌏 南: 남녘 남 南: 남녘 남 西: 서녘 서 -
방사성 (放射性) : 물질이 방사능을 가진 성질.
🌏 放: 놓을 방 射: 쏠 사 性: 성품 성 -
잔악성 (殘惡性) : 잔인하고 악독한 성질.
🌏 殘: 쇠잔할 잔 惡: 악할 악 性: 성품 성 -
합사건 (合事件) : 확률론에서, 두 사건 가운데 하나 또는 다른 하나가 일어날 사건. 기호 ‘∪’로 나타낸다.
🌏 合: 합할 합 事: 일 사 件: 사건 건 -
잡산적 (雜散炙) : 육류, 어류, 야채, 송이버섯 따위에 갖은양념을 하여 꼬챙이에 꿰어서 구운 산적.
🌏 雜: 섞일 잡 散: 흩을 산 炙: 구울 적 -
삼각건 (三角巾) : 부상자의 응급 치료에 붕대 대용으로 쓰는 삼각형의 헝겊. 정사각형의 헝겊을 대각선으로 잘라 보통 붕대로는 감기 어려운 머리, 가슴, 어깨, 엉덩이 부위를 쌀 때 사용한다.
🌏 三: 석 삼 角: 뿔 각 巾: 수건 건 -
삼방적 (삼紡績) : 삼섬유를 원료로 하여 방적실을 만드는 일.
🌏 紡: 자을 방 績: 길쌈할 적 -
장단점 (長短點) : 좋은 점과 나쁜 점.
🌏 長: 길 장 短: 짧을 단 點: 점찍을 점 -
사살선 (射殺線) : 군의 교도소나 포로수용소 따위에서 죄수나 포로들이 넘으면 사살되는 선.
🌏 射: 쏠 사 殺: 죽일 살 線: 선 선 -
마자정 (麻子疔) : 피부에 좁쌀이나 삼씨 알만 한 둥글고 굳은 구진이 돋는 병.
🌏 麻: 삼 마 子: 아들 자 疔: 헌데 정 -
삼가섭 (三迦葉) : 우루빈라가섭(優樓頻螺迦葉), 나제가섭(那提迦葉), 가야가섭(伽耶迦葉)의 삼 형제. 본래 외도(外道)의 무리였으나, 성도(成道)한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받고 그 제자가 되었다.
🌏 三: 석 삼 迦: 부처 이름 가 葉: 고을 이름 섭 -
자학서 (自學書) : 스스로 배워 익힐 수 있게 만든 책.
🌏 自: 스스로 자 學: 배울 학 書: 글 서 -
상단전 (上丹田) : 삼단전의 하나. 도가(道家)에서 ‘뇌’를 이르는 말이다. (뇌: 중추 신경 계통 가운데 머리뼈안에 있는 부분. 대뇌, 사이뇌, 소뇌, 중간뇌, 다리뇌, 숨뇌로 나뉜다. 근육의 운동을 조절하고 감각을 인식하며, 말하고 기억하며 생각하고 감정을 일으키는 중추가 있다.)
🌏 上: 위 상 丹: 붉을 단 田: 밭 전 -
장마철 : 장마가 지는 철. 우리나라에서는 대체로 6월 말부터 8월 초이다.
-
박탁성 (剝啄聲) : 1 문을 열라고 두드리는 소리. 2 딱따구리 따위의 새가 나무를 딱딱 쪼는 소리.
🌏 剝: 벗길 박 啄: 쪼을 탁 聲: 소리 성 -
난사젓 : 양미리 새끼로 담근 젓갈.
-
자망선 (刺網船) : 주로 걸그물을 이용하여 고기를 잡는 배. 명태, 임연수어, 삼치 따위를 잡는다.
🌏 刺: 찌를 자 網: 그물 망 船: 배 선 -
남상덕 (南相悳) : 대한 제국 때의 의병(1881~1907). 시위대 참위(侍衛隊參尉)로 있다가 1907년 한일 신협약으로 군대가 해산되자 1,000여 명의 군사를 이끌고 일본군과 교전하여 지휘관 가지하라(梶原)를 비롯한 300여 명을 사살하고 전사하였다.
🌏 南: 남녘 남 相: 서로 상 悳: 덕 덕 -
알파성 (alpha星) : 별자리 가운데 가장 밝은 항성. 거문고자리의 직녀성, 작은곰자리의 북극성 따위이다.
🌏 星: 별 성 -
발아법 (發芽法) : 세포의 일부분이 떨어져 나가 하나의 세포가 되는 번식 방법. 효모균, 원생동물, 해면동물 따위에서 볼 수 있다.
🌏 發: 필 발 芽: 싹 아 法: 법도 법 -
가상적 (假想敵) : 전투나 경기 따위의 연습에서 적으로 간주한 모형이나 사람.
🌏 假: 거짓 가 想: 생각 상 敵: 원수 적 -
사각건 (四角巾) : 위를 막지 아니하고 네모나게 만든 건. 어버이의 상을 당한 사람이 소렴 때부터 성복 때까지 썼는데, 지금은 두건으로 대신한다.
🌏 四: 넉 사 角: 뿔 각 巾: 수건 건 -
타각적 (他覺的) : 1 다른 사람이 알아볼 수 있는 것. 2 다른 사람이 알아볼 수 있는.
🌏 他: 다를 타 覺: 깨달을 각 的: 과녁 적 -
가자법 (加資法) : 고려ㆍ조선 시대에, 관직의 등급을 올리는 일에 대하여 규정한 법제.
🌏 加: 더할 가 資: 재물 자 法: 법도 법 -
안남어 (安南語) : 몬ㆍ크메르 어족에 속한 언어. 이웃 언어들과 유사성이 있기 때문에 기원 발생적 분류에 문제가 있는데, 인도차이나반도의 동쪽 해안 지역에 사는 베트남인이 쓴다.
🌏 安: 편안할 안 南: 남녘 남 語: 말씀 어 -
자작얼 (自作孼) : 자기가 저지른 일 때문에 생긴 재앙.
🌏 自: 스스로 자 作: 지을 작 孼: 서자 얼 -
할아범 : 1 예전에, 늙은 남자 하인을 이르던 말. 2 지체가 낮은 늙은 남자를 대접하여 이르는 말.
-
한나절 : 1 하룻낮 전체. 2 하룻낮의 반(半).
-
항자성 (抗磁性) : 자성체가 아닌 물질과 자기 차폐에 따라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게 된 성질.
🌏 抗: 막을 항 磁: 자석 자 性: 성품 성 -
장산적 (醬散炙) : 쇠고기를 짓이겨서 갖은양념을 하여 얇게 반대기를 지어서 구운 뒤에 다시 네모반듯하게 썰어 진간장에 조린 반찬.
🌏 醬: 장 장 散: 흩을 산 炙: 구울 적 -
사각정 (四角亭) : 네모반듯한 정자.
🌏 四: 넉 사 角: 뿔 각 亭: 정자 정 -
창난젓 : 명태의 창자에 소금, 고춧가루 따위의 양념을 쳐서 담근 젓.
-
산발적 (散發的) : 1 때때로 여기저기 흩어져 발생하는 것. 2 때때로 여기저기 흩어져 발생하는.
🌏 散: 흩을 산 發: 필 발 的: 과녁 적 -
낙하선 (落下線) : 수준점(水準點)에서 탄도(彈道)의 접선.
🌏 落: 떨어질 낙 下: 아래 하 線: 선 선 -
반당적 (反黨的) : 1 자기 당의 규약을 어기거나 결정에 반대하는 것. 2 자기 당의 규약을 어기거나 결정에 반대하는.
🌏 反: 돌이킬 반 黨: 무리 당 的: 과녁 적 -
상사법 (相似法) : 구하고자 하는 도형 F와 닮은 도형 F′를 적당한 위치에 만들고, F′를 이용하여 F를 구하는 방법.
🌏 相: 서로 상 似: 같을 사 法: 법도 법 -
반자널 : 반자로 대는 널빤지.
-
암달러 (暗dollar) : 법을 어기고 몰래 사고파는 달러 화폐.
🌏 暗: 어두울 암 -
자각성 (自覺性) : 현실을 판단하여 자기의 입장이나 능력 따위를 스스로 깨닫는 품성.
🌏 自: 스스로 자 覺: 깨달을 각 性: 성품 성 -
다발성 (多發性) : 1 여러 가지 일이 함께 일어나는 성질. 2 두 군데 이상의 신체 부분에서 병이 동시에 발생하는 성질.
🌏 多: 많을 다 發: 필 발 性: 성품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