ㅏ ㅏ ㅏ 🌻모음(중성) 단어 1,151개
- 짤까당 : 작고 단단한 쇠붙이 따위가 조금 가볍게 맞부딪쳐 울리는 소리. 또는 그 모양. ‘잘가당’보다 아주 센 느낌을 준다. (잘가당: 작고 단단한 쇠붙이 따위가 조금 가볍게 맞부딪쳐 울리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탈가당 : 작고 단단한 물건이 부딪쳐 울리는 소리. ‘달가당’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달가당: 작고 단단한 물건이 맞부딪쳐 울리는 소리.)
-
아산만
(牙山灣)
:
경기도 서남쪽 끝과 충청남도 서북쪽 끝 사이에 있는 좁고 긴 만. 조석 간만의 차가 심하며, 굴ㆍ조개 따위의 양식업이 발달하였다.
🌏 牙: 어금니 아 山: 뫼 산 灣: 물굽이 만 -
사상자
(思想者)
:
→ 사상가. (사상가: 어떤 사상을 잘 알고 이를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사람.)
🌏 思: 생각 사 想: 생각 상 者: 놈 자 -
삼사사
(三司使)
:
고려 시대에, 삼사(三司)에 속한 정삼품 벼슬. 충렬왕 때 좌사(左使)와 우사(右使)로 나누고 공민왕 11년(1362)에 정이품으로 올렸다.
🌏 三: 석 삼 司: 맡을 사 使: 부릴 사 -
사반상
(沙飯床)
:
사기로 만든 반상기.
🌏 沙: 모래 사 飯: 밥 반 床: 평상 상 -
자사자
(子思子)
:
1
중국 송나라 왕탁(汪晫)이 편집한 유학서. ≪중용≫과 그 밖의 책에서 자사의 언행을 모아, 내외편(內外篇) 9편으로 정리하였다. 1권.
2
춘추 시대에 자사가 펴낸 유학서. 원래 23편으로 되어 있었는데, 현재는 없어지고 ‘사서’(四書) 가운데 ≪중용≫이 그 가운데 남은 것이라고 한다. (사서: 유교의 경전인 ≪논어≫, ≪맹자≫, ≪중용≫, ≪대학≫을 통틀어 이르는 말.)
🌏 子: 아들 자 思: 생각 사 子: 아들 자 - 찰바닥 : 얕은 물이나 진창을 거칠게 밟거나 치는 소리. 또는 그 모양. ‘잘바닥’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잘바닥: 얕은 물이나 진창을 거칠게 밟거나 치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발담마
(鉢曇摩)
:
팔한 지옥의 하나. 심한 추위로 몸이 얼어 터져 연꽃처럼 된다는 지옥이다.
🌏 鉢: 바리때 발 曇: 구름 낄 담 摩: 갈 마 -
산사람
(山사람)
:
산에서 사는 사람.
🌏 山: 뫼 산 - 딸가당 : 작고 단단한 물건이 부딪쳐 울리는 소리. ‘달가당’보다 센 느낌을 준다. (달가당: 작고 단단한 물건이 맞부딪쳐 울리는 소리.)
- 나가다 : 1 말이나 사실, 소문 따위가 널리 알려지다. 2 앞쪽으로 움직이다. 3 생산되거나 만들어져 사회에 퍼지다. ... (총 23개의 의미)
-
각사탕
(角沙糖)
:
직육면체 모양으로 만든 설탕.
🌏 角: 뿔 각 沙: 모래 사 糖: -
알파파
(alpha波)
:
1초에 8~13펄스의 빈도로 뇌 겉질의 뒤통수 부위에서 나오는 전류. 뇌파의 하나로, 정상적인 성인이 긴장을 풀고 쉬는 상태에서 볼 수 있다.
🌏 波: 물결 파 방죽 피 - 람바다 (lambada) : 브라질의 관능적인 춤과 노래.
-
살상자
(殺傷者)
:
죽임을 당하거나 상처를 입은 사람.
🌏 殺: 죽일 살 傷: 상처 상 者: 놈 자 -
단자낭
(單子囊)
:
한 개의 세포가 여러 개의 작은 방으로 나뉘지 않고 그대로 생식 기관이 된 것.
🌏 單: 홑 단 子: 아들 자 囊: 주머니 낭 -
사암각
(四暗刻)
:
마작에서, 암각 네 짝이 갖추어져 있는 것.
🌏 四: 넉 사 暗: 어두울 암 刻: 새길 각 명심할 각 각박할 각 깎을 각 줄일 각 해칠 각 정할 각 열심히 각 기물에새긴문자 각 판본 각 -
감압판
(減壓瓣)
:
관 속을 흐르는 가스나 증기의 압력이 너무 높을 때 저절로 열려서 압력을 조절하는 밸브.
🌏 減: 덜 감 壓: 누를 압 瓣: 외씨 판 -
판막상
(瓣膜狀)
:
판막의 모양.
🌏 瓣: 외씨 판 膜: 꺼풀 막 狀: 형상 상 -
사하다
(瀉하다)
:
설사 상태의 변을 보다.
🌏 瀉: 쏟을 사 - 작란감 : → 장난감. (장난감: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여러 가지 물건.)
-
방사사
(放射絲)
:
사방으로 퍼져 나간 그물 모양의 거미줄. 먼저 테두리 실을 치고 중심부와 테두리 사이를 오고 가며 친 다음 소용돌이 모양의 실을 친다.
🌏 放: 놓을 방 射: 쏠 사 絲: 실 사 -
감상안
(鑑賞眼)
:
예술 작품 따위의 아름다움을 이해하여 즐기고 평가하는 능력이나 안목.
🌏 鑑: 거울 감 賞: 상줄 상 眼: 눈 안 -
알사탕
(알沙糖)
:
알처럼 작고 둥글둥글하게 생긴 사탕.
🌏 沙: 모래 사 糖: -
사상자
(死傷者)
:
죽은 사람과 다친 사람.
🌏 死: 죽을 사 傷: 상처 상 者: 놈 자 -
탈감작
(脫感作)
:
‘민감소실’의 전 용어. (민감 소실: 어떤 항원(抗原)에 대하여 과민 상태에 있는 개체의 과민성을 없애는 처치.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물질인 알레르겐의 양을 조금씩 점차 늘리면서 정기적으로 주사하는데, 기관지 천식ㆍ두드러기ㆍ알레르기 코염 따위의 치료에 쓴다.)
🌏 脫: 벗을 탈 感: 느낄 감 作: 지을 작 -
차마라
(遮魔羅)
:
수미산 주위의 염부제에 속한 이중주(二中洲)의 하나.
🌏 遮: 막을 차 魔: 마귀 마 羅: 그물 라 -
강당사
(講堂寺)
:
화엄 십찰의 하나.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상왕산 북쪽에 있던 절. 통일 신라 말기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절터만 남아 있다. 보물 제104호인 오층 석탑, 제105호인 법인 국사 보승탑, 제106호인 법인 국사 보승탑비 따위가 있으며 절터 가까이에 국보 제84호인 서산 마애 삼존 불상 등 많은 불교 유적이 분포하고 있다.
🌏 講: 강론할 강 堂: 집 당 寺: 절 사 -
망단자
(望單子)
:
삼망(三望)의 내용을 기록한 종이.
🌏 望: 바랄 망 單: 홑 단 子: 아들 자 -
장창당
(長槍幢)
:
신라 문무왕 때의 군대. 효소왕 2년(693)에 비금서당으로 고쳤다.
🌏 長: 길 장 槍: 무기 창 幢: 기 당 -
방하다
(放하다)
:
1
죄인을 놓아주다.
2
물건을 내놓고 팔다.
🌏 放: 놓을 방 -
탁자장
(卓子欌)
:
찬장의 하나. 주로 위아래 층은 트고 가운데 층만 사면을 막아서 문짝을 단다.
🌏 卓: 높을 탁 子: 아들 자 欌: 장농 장 -
각자장
(刻字匠)
:
1
조선 시대에, 지방 관아에 속하여 연장으로 어떤 형상이나 글자를 새기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2
조선 시대에, 교서관에 속하여 글자를 새기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 刻: 새길 각 명심할 각 각박할 각 깎을 각 줄일 각 해칠 각 정할 각 열심히 각 기물에새긴문자 각 판본 각 字: 글자 자 匠: 장인 장 -
자라탕
(자라湯)
:
자라를 통째로 푹 삶아서 뜯고 여기에 갖은양념을 하여 다시 끓인 국.
🌏 湯: 끓일 탕 -
감각파
(感覺派)
:
1
사물이 감각 기관에 작용하여 의식에 반영됨을 중요시하는 유파.
2
감각이 뛰어난 사람을 이르는 말.
🌏 感: 느낄 감 覺: 깨달을 각 派: 물갈래 파 - 삯팔다 : 삯을 받고 남의 일을 하여 주다.
- 빠까닥 : 작고 단단한 물건이 맞닿아 문질리다가 그칠 때 나는 소리. ‘바가닥’보다 아주 센 느낌을 준다. (바가닥: 작고 단단한 물건이 맞닿아 문질리다가 그칠 때 나는 소리.)
- 막살다 : 아무렇게나 되는대로 살다.
-
사하다
(赦하다)
:
지은 죄나 허물을 용서하다.
🌏 赦: 용서할 사 - 앞차다 : 앞을 내다보는 태도가 믿음직하고 당차다.
-
참하다
(懺하다)
:
자기의 잘못에 대하여 깨닫고 깊이 뉘우치다.
🌏 懺: 뉘우칠 참 - 잠나라 : 잠이 든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빠가닥 : 작고 단단한 물건이 맞닿아 문질리다가 그칠 때 나는 소리. ‘바가닥’보다 센 느낌을 준다. (바가닥: 작고 단단한 물건이 맞닿아 문질리다가 그칠 때 나는 소리.)
-
탄산 납
(炭酸납)
:
1
이가(二價) 납의 탄산염. 납염의 차가운 수용액에 탄산 암모늄이나 탄산수소 나트륨을 가하여 가라앉혀서 얻는 무색 결정이다. 천연으로는 백연석으로 산출된다. 독성이 있다. 화학식은 PbCO3.
2
납에 아세트산 증기를 작용시켜 만든 무색, 무미, 무취의 가루. 도기, 건조제, 살포분, 연고, 경고(硬膏) 따위를 만드는 데에 쓰인다. 화학식은 2PbCO3ㆍPb(OH)2.
🌏 炭: 숯 탄 酸: 초 산 - 싸안다 : 1 싸서 안다. 2 두 손이나 팔로 감싸 안다.
- 깔딱낫 : 보잘것없는 헌 낫.
-
파간장
(파간醬)
:
양념으로 파를 썰어 넣은 간장.
🌏 醬: 장 장 -
간짜장
(乾zhajiang[炸醬])
:
중국요리의 하나. 자장면보다 물기가 적게 볶아서 만든다.
🌏 乾: 하늘 건 마를 건 마를 간 -
하차장
(下車場)
:
하차하는 장소.
🌏 下: 아래 하 車: 수레 차 場: 마당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