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박 나물에 힘쓴다 🌟의미 1
호박 나물에 힘쓴다 🌟의미 2
- 가난이 원수 : 가난하기 때문에 억울한 경우나 고통을 당하게 되니 가난이 원수같이 느껴진다는 말.
- 가는 방망이 오는 홍두깨 : 이쪽에서 방망이로 저쪽을 때리면 저쪽에서는 홍두깨로 이쪽을 때린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일보다 더 가혹한 갚음을 받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랑잎으로 눈 가리기 : 자기의 존재나 허물을 숨기려고 미련하게 애쓰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랑잎이 솔잎더러 바스락거린다고 한다 : 더 바스락거리는 가랑잎이 솔잎더러 바스락거린다고 나무란다는 뜻으로, 자기의 허물은 생각하지 않고 도리어 남의 허물만 나무라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마 타고 옷고름 단다 : 미리 준비를 해 놓지 않아서 임박해서야 허둥지둥하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게 기둥에 입춘[주련] : 추하고 보잘것없는 가겟집 기둥에 ‘입춘대길’이라 써 붙인다는 뜻으로, 제격에 맞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입춘대길: 입춘을 맞이하여 길운을 기원하며 벽이나 문짝 따위에 써 붙이는 글귀.)
- 가난이 질기다 : 가난하여 곧 굶어 죽을 것 같으나 잘 견디어 낸다는 뜻으로, 가난 속에서도 갖은 고생을 하며 그럭저럭 살아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난할수록 기와집 짓는다 : 당장 먹을 것이나 입을 것이 넉넉지 못한 가난한 살림일수록 기와집을 짓는다는 뜻으로, 실상은 가난한 사람이 남에게 업신여김을 당하기 싫어서 허세를 부리려는 심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랑잎으로 눈 가리기 : 자기의 존재나 허물을 숨기려고 미련하게 애쓰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마 타고 시집가기는 (다) 틀렸다 : 시집을 갈 때 으레 가마를 타고 가는 것이나 그 격식을 좇아서 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일이 제대로 되지 않아 격식과 채비를 갖추어서 하기는 틀렸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가게 기둥에 입춘[주련]](https://the2.sfo2.cdn.digitaloceanspaces.com/m_photo/524994.webp)
- 수파련에 밀동자 : 무당을 따라다니며 굿할 때 쓰는 종이꽃을 만드는 남자들이 대체로 밀로 만든 귀동자처럼 잘생겼다는 뜻으로, 기골이 약하고 얼굴이 곱게 생긴 남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박 나물에 힘쓴다 : 쓸데없는 일에 공연히 혼자 기를 쓰고 화를 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그 나물에 그 밥 : 서로 격이 어울리는 것끼리 짝이 되었을 경우를 두고 이르는 말.
- 늙은이 호박나물에 용쓴다 : 도저히 힘을 쓸 수 없는 처지에 있는 사람이 힘을 쓸 듯이 자신 있게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들 중은 소금을 먹고 산 중은 나물을 먹는다 : 자기와는 아무 상관 없는 일에 쓸데없이 간섭한다는 말.
- 미치광이 풋나물 캐듯 : 미친 사람이 널리 널려 있는 풋나물을 닥치는 대로 쥐어뜯거나 여기저기 마구 쑤시며 돌아다닌다는 뜻으로, 일하는 솜씨가 매우 거칠고 어지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람으로 콩나물을 길렀다[길렀나] : 콩나물시루에 콩나물이 촘촘히 들어선 것처럼 좁은 곳에 많은 사람이 빽빽이 들어찬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겉보리 술 막치 사람 속인다 : 겉보리 술지게미도 많이 먹으면 취하듯이, 겉보기와는 달리 맹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기도 먹어 본 사람이 많이 먹는다 : 무슨 일이든지 늘 하던 사람이 더 잘한다는 말.
- 고운 사람 미운 데 없고 미운 사람 고운 데 없다 : 한번 좋게 보면 그 사람이 하는 일이 다 좋게만 보이고, 한번 밉게 보면 그 사람이 하는 일이 다 밉게만 보인다는 말.
- 고운 사람은 멱 씌워도 곱다 : 보기 흉하게 멱서리를 씌워도 고운 사람은 곱다는 뜻으로, 본색(本色)은 어떻게 하여도 나타난다는 말.
- 곡식과 사람은 가꾸기에 달렸다 : 곡식은 사람의 손이 많이 가고 부지런히 가꾸어야 잘되고 사람은 어려서부터 잘 가르치고 이끌어야 훌륭하게 된다는 말.
- 가까운 남이 먼 일가보다 낫다 : 이웃끼리 서로 친하게 지내다 보면 먼 곳에 있는 일가보다 더 친하게 되어 서로 도우며 살게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 가까운 집 며느리일수록 흉이 많다 : 늘 가까이 있고 잘 아는 사이일수록 상대편의 결점이 눈에 더 많이 띈다는 말.
- 가는 날이 생일 : 일을 보러 가니 공교롭게 생일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하려고 하는데 뜻하지 않은 일을 공교롭게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일은 미련한 놈이 잘한다 : 가을 농촌 일은 매우 바쁘고 힘들기 때문에 미련한 사람처럼 꾀를 부리지 않고 묵묵히 해야 성과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갖바치 내일 모레 : 갖바치들이 흔히 맡은 물건을 제날짜에 만들어 주지 않고 약속한 날에 찾으러 가면 내일 오라 모레 오라 한다는 데서, 약속한 기일을 이날 저 날 자꾸 미루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자리 먹고 자란 호박 꼴 : 주글주글하고 뒤틀려 있는 모양을 이르는 말.
- 굴러온 호박 : 뜻밖에 좋은 물건을 얻거나 행운을 만났다는 말.
- 꽃은 꽃이라도 호박꽃이라 : 못생긴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호박에 말뚝 박기 : 남의 일이 잘되어 가는 것을 시기하여 일부러 방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늙은이 호박나물에 용쓴다 : 도저히 힘을 쓸 수 없는 처지에 있는 사람이 힘을 쓸 듯이 자신 있게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같이 우물 파고 혼자 먹는다 : 여럿이 함께 노력하여 이룬 일의 성과를 혼자서 차지하는 것을 이르는 말.
- 도둑질도 혼자 해 먹어라 : 무슨 일이나 여럿이 하면 말이 많아지고 손이 맞지 않아 실수하기 쉬우니, 혼자 하는 것이 가장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냥은 혼자 간다 : 남에게 무엇을 받으려 할 때 여럿이 같이 가면 아무래도 제게 돌아오는 분량은 적어진다는 말.
- 먹기는 혼자 먹어도 일은 혼자 못 한다 : 일은 힘을 합쳐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말.
- 저 혼자 원님을 내고 좌수를 낸다 : 일을 혼자 도맡아서 이 일 저 일을 모두 처리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거적문에 (국화) 돌쩌귀 : 제격에 맞지 아니하게 지나친 치장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겨울 화롯불은 어머니보다 낫다 : 추운 겨울에는 따뜻한 것이 제일 좋음을 이르는 말.
- 관찰사 닿는 곳에 선화당 : 관찰사가 가는 곳마다 극진한 대접을 받으며 호화롭게 지내는 것이 마치 자신의 집무실인 선화당에 있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가는 곳마다 호사를 누리는 복된 처지를 이르는 말.
- 국화는 서리를 맞아도 꺾이지 않는다 : 절개나 의지가 매우 강한 사람은 어떤 시련에도 굴하지 아니하고 꿋꿋이 이겨 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꽃은 목화가 제일이다 : 겉모양은 보잘것없어도 쓸모가 큰 목화가 꽃 중에서 가장 좋다는 뜻으로, 겉치레보다는 실속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호박 나물에 힘쓴다
:
다로 끝나는 단어: 총 76,978개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5,772개입니다.- 예: 째다, 톺다, 쓰다, 틔다, 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6,186개입니다.- 예: 선행하다, 임면하다, 게기하다, 화합하다, 해안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0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13개입니다.- 예: 망괴다, 배하다, 상다, 주다, 날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9 종류의 한자 중에서 898번 사용된 化이 최다입니다.- 예: 경화되다(硬化되다), 화육하다(化育하다), 궁화하다(躬化하다), 화하다(化하다), 둔화되다(鈍化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94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06개입니다.- 예: 가루다, 가렵다, 가말다, 가닿다, 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34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익다, 오다, 웃다, 엮다, 앓다
-
-
호박 나물에 힘쓴다
:
쓴다로 끝나는 단어: 총 28개
-
쓴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8개입니다.- 예: 칼도 날이 서야 쓴다, 남의 떡으로 선심 쓴다, 나라님 망건값도 쓴다, 수염을 내리쓴다, 앉은뱅이 용쓴다
-
쓴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9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예: 남의 떡으로 선심 쓴다, 나라님 망건값도 쓴다, 공자 앞에서 문자 쓴다, 악바리 악돌이 악쓴다, 김칫국 먹고 수염 쓴다
-
쓴다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26 종류의 시작하는 글자로 분류됩니다.- 예: 공것이라면 사족을 못 쓴다, 공자 앞에서 문자 쓴다
-
쓴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6번 사용된 ㄱ이 최다입니다.- 예: 광부의 말도 성인이 가려 쓴다, 개똥도 약에 쓴다, 공자 앞에서 문자 쓴다, 김칫국 먹고 수염 쓴다, 급하면 임금 망건 사러 가는 돈이라도 쓴다
-
-
: 자음 ㅎㅂㄴㅁㅇㅎㅆㄷ 단어: 총 1개
-
자음 ㅎㅂㄴㅁㅇㅎㅆㄷ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ㅗㅏㅏㅜㅔㅣㅡㅏ 단어: 총 1개
-
모음 ㅗㅏㅏㅜㅔㅣㅡㅏ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호박 나물에 힘쓴다
:
호로 시작하는 단어: 총 1,767개
-
호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182개입니다.- 예: 호(壕), 호(號), 호(戶), 호풍(胡風), 호(弧)
-
호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2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47개입니다.- 예: 호풍, 호부, 호안, 호이, 호머
-
호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4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5개입니다.- 예: 호좌, 호전, 호부, 호종, 호방
-
호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64 종류의 한자 중에서 215번 사용된 好이 최다입니다.- 예: 호투(好鬪), 호저(好著), 호동(好童), 호조(好調), 호기(好氣)
-
호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59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09개입니다.- 예: 호리다, 호적하다, 호록하다, 호다, 호배하다
-
-
호박 나물에 힘쓴다
:
호박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64개
-
호박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5개입니다.- 예: 호박유(琥珀油), 호박전(호박煎), 호박광(琥珀光), 호박, 호박(琥珀)
-
호박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6개입니다.- 예: 호박엿, 호박유, 호박순, 호박광, 호박옥
-
호박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분야 중에서 화학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5개입니다.- 예: 호박산 디에틸, 호박유, 호박산 다이에틸, 호박산, 호박산 소다
-
호박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1 종류의 한자 중에서 17번 사용된 琥이 최다입니다.- 예: 호박유(琥珀油), 호박설(琥珀屑), 호박광(琥珀光), 호박(琥珀), 호박색(琥珀色)
-
호박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5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개입니다.- 예: 호박 나물에 힘쓴다, 호박씨(를) 까다, 호박산 소다, 호박 넝쿨 뻗을 적 같아서는 강계 위연 초산을 뒤엎을 것 같다, 호박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