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실을 배우라 하… 🌟의미
행실을 배우라 하니까 포도청 문고리를 뺀다
:
좋은 버릇을 길러 품행을 단정히 하라고 이르니까 오히려 못된 짓만 하고 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구
속담
•
동의어/반의어/비슷한말/준말:
-
동의어
버릇 배우라니까 과부 집 문고리 빼어 들고 엿장수 부른다: 좋은 버릇을 길러 품행을 단정히 하라고 이르니까 오히려 못된 짓만 하고 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버릇 배우라니까 과부 집 문고리 빼어 들고 엿장수 부른다 : 좋은 버릇을 길러 품행을 단정히 하라고 이르니까 오히려 못된 짓만 하고 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봉사 문고리 잡기 : 가까이 두고도 찾지 못하고 헤맴을 이르는 말.
- 소경 문고리 잡듯[잡은 격] : 가까이 두고도 찾지 못하고 헤맴을 이르는 말.
- 장님 문고리 잡기 : 눈먼 봉사가 요행히 문고리를 잡은 것과 같다는 뜻으로, 그럴 능력이 없는 사람이 어쩌다가 요행수로 어떤 일을 이룬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장님(이) 문고리 바로 잡았다 : 재주나 지식이 없는 사람이 어떤 일을 우연히 성취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거적문(에) 드나들던 버릇 : 문을 드나들 때 문을 닫지 않고 다니는 나쁜 버릇을 이르는 말.
- 고양이 버릇이 괘씸하다 : 평소에 하는 짓이 못마땅하다는 말.
- 멸치 한 마리는 어쭙잖아도 개 버릇이 사납다 : 개에게 멸치 한 마리를 주는 것은 아깝지 않지만 그로 인해 개의 버릇이 사나워질까 걱정이라는 뜻으로, 물건이 아까워서가 아니라 버릇을 고치라고 나무라는 말.
- 버릇 배우라니까 과부 집 문고리 빼어 들고 엿장수 부른다 : 좋은 버릇을 길러 품행을 단정히 하라고 이르니까 오히려 못된 짓만 하고 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람마다 한 가지 버릇은 있다 : 사람은 누구나 한두 가지의 좋지 못한 버릇이 있음을 이르는 말.

- 가난할수록 기와집 짓는다 : 당장 먹을 것이나 입을 것이 넉넉지 못한 가난한 살림일수록 기와집을 짓는다는 뜻으로, 실상은 가난한 사람이 남에게 업신여김을 당하기 싫어서 허세를 부리려는 심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거짓말도 잘만 하면 논 닷 마지기보다 낫다 : 거짓말도 경우에 따라서는 처세에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사람은 아무쪼록 말을 잘해야 한다는 말.
- 거짓말도 잘하면 오려논 닷 마지기보다 낫다 : 거짓말도 경우에 따라서는 처세에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사람은 아무쪼록 말을 잘해야 한다는 말.
- 거짓말은 도둑놈 될 장본 : 거짓말하는 버릇이 도둑질의 시초라는 말.
- 거짓말이 외삼촌보다 낫다 : 거짓말이 경우에 따라서는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말.

- 경쳐 포도청이라 : 단단히 욕을 보고도 또 포도청에 잡혀가서 벌을 받는다는 뜻으로, 몹시 심한 욕을 당하거나 혹독한 형벌을 받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치고 포도청 간다 : 단단히 욕을 보고도 또 포도청에 잡혀가서 벌을 받는다는 뜻으로, 몹시 심한 욕을 당하거나 혹독한 형벌을 받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이 포도청 간다 : 지은 죄를 숨기려고 한 짓이 도리어 죄를 드러내고 맒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목구멍이 포도청 : 먹고살기 위하여, 해서는 안 될 짓까지 하지 않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몽둥이 들고 포도청 담에 오른다 : 제가 지은 죄를 숨기려고 남보다 먼저 나서서 떠드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의 때는 벗어도 화냥의 때는 못 벗는다 : 부정한 품행을 삼가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버릇 배우라니까 과부 집 문고리 빼어 들고 엿장수 부른다 : 좋은 버릇을 길러 품행을 단정히 하라고 이르니까 오히려 못된 짓만 하고 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성 바꿀 놈 : 성질이나 품행 따위가 좋지 아니한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
- 행실을 배우라 하니까 포도청 문고리를 뺀다 : 좋은 버릇을 길러 품행을 단정히 하라고 이르니까 오히려 못된 짓만 하고 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아내 행실은 다홍치마 적부터 그루를 앉힌다 : 아내나 새 며느리를 길들이고 법도를 세우려면 다홍치마를 입는 새색시 때부터 똑바로 가르쳐야 한다는 말.
- 행실을 배우라 하니까 포도청 문고리를 뺀다 : 좋은 버릇을 길러 품행을 단정히 하라고 이르니까 오히려 못된 짓만 하고 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그 어머니에 그 아들[딸] : 아들딸의 재능이나 행실이 자기 어머니를 닮았을 경우를 이르는 말.
- 사나운 말에는 특별한 길마 지운다 : 사나운 말은 여느 말과 다른 길마를 지워서 단단히 다룬다는 뜻으로, 사람도 성격이 거칠고 행실이 사나우면 그에 맞는 특별한 제재를 받게 됨을 이르는 말.
- 삼정승 부러워 말고 내 한 몸 튼튼히 가지라 : 권세나 권세 있는 사람들의 도움에 헛된 욕심을 두지 말고 제 몸의 건강이나 바른 행실을 위해 힘쓰라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행실을 배우라 하니까 포도청 문고리를 뺀다
:
다로 끝나는 단어: 총 76,978개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5,772개입니다.- 예: 째다, 톺다, 쓰다, 틔다, 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6,186개입니다.- 예: 선행하다, 임면하다, 게기하다, 화합하다, 해안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0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13개입니다.- 예: 망괴다, 배하다, 상다, 주다, 날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9 종류의 한자 중에서 898번 사용된 化이 최다입니다.- 예: 경화되다(硬化되다), 화육하다(化育하다), 궁화하다(躬化하다), 화하다(化하다), 둔화되다(鈍化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94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06개입니다.- 예: 가루다, 가렵다, 가말다, 가닿다, 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34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익다, 오다, 웃다, 엮다, 앓다
-
-
행실을 배우라 하니까 포도청 문고리를 뺀다
:
뺀다로 끝나는 단어: 총 5개
-
뺀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개입니다.
-
뺀다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5 종류의 글자수로 분류됩니다.
-
뺀다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5 종류의 시작하는 글자로 분류됩니다.
-
뺀다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5 종류의 첫 자음으로 분류됩니다.
-
-
: 자음 ㅎㅅㅇㅂㅇㄹㅎㄴㄲㅍㄷㅊㅁㄱㄹㄹㅃㄷ 단어: 총 1개
-
자음 ㅎㅅㅇㅂㅇㄹㅎㄴㄲㅍㄷㅊㅁㄱㄹㄹㅃㄷ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ㅐㅣㅡㅐㅜㅏㅏㅣㅏㅗㅗㅓㅜㅗㅣㅡㅐㅏ 단어: 총 1개
-
모음 ㅐㅣㅡㅐㅜㅏㅏㅣㅏㅗㅗㅓㅜㅗㅣㅡㅐㅏ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행실을 배우라 하니까 포도청 문고리를 뺀다
:
행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662개
-
행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93개입니다.- 예: 행(幸), 행(行), 행과(行果), 행연(行硯), 행운(行雲)
-
행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42개입니다.- 예: 행차모지, 행회하다, 행유여력, 행재요화, 행기하다
-
행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6개의 분야 중에서 행정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65개입니다.- 예: 행안부, 행정사, 행정리, 행정관, 행정직
-
행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59 종류의 한자 중에서 559번 사용된 行이 최다입니다.- 예: 행걸(行乞), 행(行), 행수(行守), 행과(行果), 행연(行硯)
-
행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07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16개입니다.- 예: 행의하다, 행회하다, 행하다, 행진하다, 행기하다
-
-
행실을 배우라 하니까 포도청 문고리를 뺀다
:
행실로 시작하는 단어: 총 3개
-
행실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2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