팥을 심으면 팥이… 🌟의미
팥을 심으면 팥이 나오고 콩을 심으면 콩이 나온다
:
모든 일은 근본에 따라 거기에 걸맞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구
속담
•
동의어/반의어/비슷한말/준말:
-
동의어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모든 일은 근본에 따라 거기에 걸맞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시나무에 가시가 난다 : 모든 일은 근본에 따라 거기에 걸맞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각설이 떼에게서는 장타령밖에 나올 것이 없다 : 장타령을 부르며 동냥하여 얻어먹고 다니는 각설이 떼에게서 나올 것이란 장타령밖에 없다는 뜻으로, 본바탕이 하찮은 것에서는 크게 기대할 만한 결과가 나올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각설이의 장타령 : 장타령을 부르며 동냥하여 얻어먹고 다니는 각설이 떼에게서 나올 것이란 장타령밖에 없다는 뜻으로, 본바탕이 하찮은 것에서는 크게 기대할 만한 결과가 나올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감나무 밑에 누워서 홍시[연시] (입 안에) 떨어지기를 기다린다[바란다] : 아무런 노력도 아니 하면서 좋은 결과가 이루어지기만 바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강한 말은 매 놓은 기둥에 상한다 : 힘이 매우 센 말은 그것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단단히 매 놓은 기둥에 상처를 입게 된다는 뜻으로, 사람을 너무 구속하면 오히려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낙락장송도 근본은 종자 : 아무리 훌륭한 사람이라도 처음에는 보통 사람과 다름이 없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돈을 하려면 근본을 봐라 : 사돈을 정하려거든 우선 상대편의 가문이 어떤가를 보고서 하라는 말.
- 가시나무에 가시가 난다 : 모든 일은 근본에 따라 거기에 걸맞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대 끝에서 대가 나고 싸리 끝에서 싸리가 난다 : 모든 일은 근본에 따라 거기에 걸맞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대 뿌리에서 대가 난다 : 모든 일은 근본에 따라 거기에 걸맞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까운 남이 먼 일가보다 낫다 : 이웃끼리 서로 친하게 지내다 보면 먼 곳에 있는 일가보다 더 친하게 되어 서로 도우며 살게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 가까운 집 며느리일수록 흉이 많다 : 늘 가까이 있고 잘 아는 사이일수록 상대편의 결점이 눈에 더 많이 띈다는 말.
- 가는 날이 생일 : 일을 보러 가니 공교롭게 생일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하려고 하는데 뜻하지 않은 일을 공교롭게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일은 미련한 놈이 잘한다 : 가을 농촌 일은 매우 바쁘고 힘들기 때문에 미련한 사람처럼 꾀를 부리지 않고 묵묵히 해야 성과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갖바치 내일 모레 : 갖바치들이 흔히 맡은 물건을 제날짜에 만들어 주지 않고 약속한 날에 찾으러 가면 내일 오라 모레 오라 한다는 데서, 약속한 기일을 이날 저 날 자꾸 미루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마 속의 콩도 삶아야 먹는다 : 가마 안에 들어간 콩도 끓여서 삶아야 먹을 수 있다는 뜻으로, 다 된 듯하고 쉬운 일이라도 손을 대어 힘을 들이지 않으면 이익이 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물에 콩(씨) 나듯 : 가뭄에는 심은 콩이 제대로 싹이 트지 못하여 드문드문 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나 물건이 어쩌다 하나씩 드문드문 있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가 콩엿 사 먹고 버드나무에 올라간다 : 어리석고 못난 사람이 감히 할 수 없는 일을 하겠다고 큰소리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급하면 콩마당에서 간수 치랴 : 일에는 일정한 순서가 있고 때가 있는 것이므로, 아무리 급해도 순서를 밟아서 일해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 많은 말이 콩 마다할까 : 어떤 것을 거절하지 않고 오히려 더 좋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마 안의 팥이 풀어져도 그 안에 있다 : 손해를 본 것 같지만 따지고 보면 손해를 본 것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경을 팥 다발같이 치다 : 호되게 고통을 겪음을 두고 이르는 말.
- 남 떡 먹는데 팥고물 떨어지는 걱정 한다 : 남의 일에 쓸데없이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누워서 떡을 먹으면 팥고물이 눈에 들어간다 : 자기 몸 편할 도리만 차려서 일을 하면 도리어 제게 해로움이 생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명태하고 팥은 두들겨서 껍질을 벗기고 촌놈하고 계집은 두들겨서 길들인다 : 계집은 무섭게 다루어 길을 들여야 한다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팥을 심으면 팥이 나오고 콩을 심으면 콩이 나온다
:
다로 끝나는 단어: 총 76,978개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5,772개입니다.- 예: 째다, 톺다, 쓰다, 틔다, 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6,186개입니다.- 예: 선행하다, 임면하다, 게기하다, 화합하다, 해안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0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13개입니다.- 예: 망괴다, 배하다, 상다, 주다, 날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9 종류의 한자 중에서 898번 사용된 化이 최다입니다.- 예: 경화되다(硬化되다), 화육하다(化育하다), 궁화하다(躬化하다), 화하다(化하다), 둔화되다(鈍化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94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06개입니다.- 예: 가루다, 가렵다, 가말다, 가닿다, 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34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익다, 오다, 웃다, 엮다, 앓다
-
-
팥을 심으면 팥이 나오고 콩을 심으면 콩이 나온다
:
온다로 끝나는 단어: 총 60개
-
온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0개입니다.- 예: 칠년대한 단비 온다, 골난 날 의붓아비 온다, 달밤에 삿갓 쓰고 나온다, 꽃 피자 님 온다, 거적 쓴 놈 내려온다
-
온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9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예: 골난 날 의붓아비 온다, 시골 놈 제 말 하면 온다, 찬밥 두고 잠 아니 온다, 취중에 진담이 나온다, 계집 때린 날 장모 온다
-
온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3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꽃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3개입니다.- 예: 꽃이 시들면 오던 나비도 안 온다, 꽃이라도 십일홍(十日紅)이 되면 오던 봉접도 아니 온다, 꽃 피자 님 온다
-
온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8번 사용된 ㄱ이 최다입니다.- 예: 골난 날 의붓아비 온다, 깊던 물이라도 얕아지면 오던 고기도 아니 온다, 계집 때린 날 장모 온다, 객주가 망하려니 짚단만 들어온다, 거적 쓴 놈 내려온다
-
-
: 자음 ㅍㅇㅅㅇㅁㅍㅇㄴㅇㄱㅋㅇㅅㅇㅁㅋㅇㄴㅇㄷ 단어: 총 1개
-
자음 ㅍㅇㅅㅇㅁㅍㅇㄴㅇㄱㅋㅇㅅㅇㅁㅋㅇㄴㅇㄷ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ㅏㅡㅣㅡㅕㅏㅣㅏㅗㅗㅗㅡㅣㅡㅕㅗㅣㅏㅗㅏ 단어: 총 1개
-
모음 ㅏㅡㅣㅡㅕㅏㅣㅏㅗㅗㅗㅡㅣㅡㅕㅗㅣㅏㅗㅏ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팥을 심으면 팥이 나오고 콩을 심으면 콩이 나온다
:
팥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57개
-
팥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0개입니다.- 예: 팥, 팥장(팥醬), 팥눈, 팥편, 팥빵
-
팥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8개입니다.- 예: 팥눈, 팥장, 팥편, 팥빵, 팥배
-
팥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분야 중에서 동물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예: 팥알락명나방, 팥바구미, 팥중이, 팥망아지, 팥뚜기
-
팥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 종류의 한자 중에서 8번 사용된 粥이 최다입니다.- 예: 팥죽색(팥粥色), 팥죽동옷(팥粥동옷), 팥죽빛(팥粥빛), 팥죽땀(팥粥땀), 팥잎죽(팥잎粥)
-
팥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3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예: 팥노굿 일다, 팥을 콩이라 해도 곧이듣는다, 팥대우(를) 파다, 팥을 심으면 팥이 나오고 콩을 심으면 콩이 나온다, 팥이 풀어져도 솥 안에 있다
-
-
팥을 심으면 팥이 나오고 콩을 심으면 콩이 나온다
:
팥을로 시작하는 단어: 총 2개
-
팥을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