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놈은 밥그릇 높… 🌟의미
촌놈은 밥그릇 높은 것만 친다
:
질보다 양만 많으면 만족해함을 비꼬는 말.
구
속담
•
동의어/반의어/비슷한말/준말:
-
동의어
촌놈은 똥배 부른 것만 친다: 질보다 양만 많으면 만족해함을 비꼬는 말.

- 가갸 뒷다리[뒤 자]도 모른다 : 반절본문의 첫 글자인 ‘가’와 ‘갸’의 세로획조차도 쓸 줄 모른다는 뜻으로, 글자를 전혀 깨치지 못하여 무식하거나, 사리에 몹시 어두운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가까운 남이 먼 일가보다 낫다 : 이웃끼리 서로 친하게 지내다 보면 먼 곳에 있는 일가보다 더 친하게 되어 서로 도우며 살게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 가까운 데 집은 깎이고 먼 데 절[집]은 비친다 : 가까운 데 있는 절이나 집은 자잘한 흠도 잘 드러나서 좋지 않아 보이고 먼 곳에 윤곽만 보이는 절이나 집은 좋아 보인다는 뜻으로, 늘 가까이에 있는 것은 그 뛰어남이 보이지 않는 반면 멀리 있는 것은 실제보다 더 돋보이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까운 무당보다 먼 데 무당이 영하다 : 흔히 사람은 자신이 잘 알고 가까이 있는 것보다는 잘 모르고 멀리 있는 것을 더 좋은 것인 줄로 생각한다는 말.
- 가까운 집 며느리일수록 흉이 많다 : 늘 가까이 있고 잘 아는 사이일수록 상대편의 결점이 눈에 더 많이 띈다는 말.
![가갸 뒷다리[뒤 자]도 모른다](https://the2.sfo2.cdn.digitaloceanspaces.com/m_photo/519115.webp)
- 내 배 부르면 종의 밥 짓지 말라 한다 : 자기만 만족하면 남의 곤란함을 모르고 돌보아 주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내 배가 부르니 종의 배고픔을 모른다 : 자기만 만족하면 남의 곤란함을 모르고 돌보아 주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배부르니까 평안 감사도 부럽지 않다 : 굶주렸던 사람이 배가 부르도록 먹으면 만족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입이 함박만 하다 : 입이 함지박만큼 커질 정도로 매우 기뻐하고 만족해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첫술에 배부르랴 : 어떤 일이든지 단번에 만족할 수는 없다는 말.

- 밥그릇이 높으니까 생일만큼 여긴다 : 밥을 제대로 얻어먹지 못하다가 어쩌다 수북이 담은 밥그릇이 차려지니까 생일상이나 받은 것처럼 여긴다는 뜻으로, 조금 나은 대접을 받고 우쭐해 하는 사람을 비꼬는 말.
- 시어미 역정에 개 옆구리[배때기/밥그릇] 찬다 : 엉뚱한 데 가서 노여움이나 분을 푸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시장하면 밥그릇을 통째로 삼키나 : 아무리 시장하더라도 밥그릇을 통째로 삼킬 수 없다는 뜻으로, 아무리 사정이 급하여도 지켜야 할 도리는 지켜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촌놈은 밥그릇 높은 것만 친다 : 질보다 양만 많으면 만족해함을 비꼬는 말.
- 한 밥그릇에 두 술이 없다 : 한 남편에게는 한 아내만 있어야 한다는 말.

- 가난한 양반 씻나락 주무르듯 : 가난한 양반이 털어먹자니 앞날이 걱정스럽고 그냥 두자니 당장 굶는 일이 걱정되어서 볍씨만 한없이 주무르고 있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닥쳐 우물쭈물하기만 하면서 선뜻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모양을 이르는 말.
- 가난한 양반 향청에 들어가듯 : 가난한 양반이 주눅이 들어 향청에 들어갈 때처럼, 행색이 떳떳하지 못하고 머뭇거리면서 쩔쩔매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보 쪽 같은 양반 : 노름에서 아홉 끗을 차지한 것과 같이 세상살이에서도 끗수를 가장 많이 차지한다는 뜻으로, 세도가 대단한 양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 식은 밥이 봄 양식이다 : 먹을 것이 흔한 가을에는 먹지 않고 내놓은 식은 밥이 봄에 가서는 귀중한 양식이 된다는 뜻으로, 풍족할 때 함부로 낭비하지 않고 절약하면 뒷날의 궁함을 면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 고양이 보듯 : 사이가 매우 나빠서 서로 으르렁거리며 해칠 기회만 찾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난이 질기다 : 가난하여 곧 굶어 죽을 것 같으나 잘 견디어 낸다는 뜻으로, 가난 속에서도 갖은 고생을 하며 그럭저럭 살아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는 말에 채찍질 : 열심히 하고 있는데도 더 빨리하라고 독촉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강태공의 곧은 낚시질 : 강태공이 웨이수이강에서 곧은 낚시질을 하며 때가 오기를 기다렸다는 데서, 큰 뜻을 품고 때가 오기를 기다리며 한가한 나날을 보내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겉보리를 껍질째 먹은들 시앗이야 한집에 살랴 : 아무리 고생을 하고 살망정 남편의 첩과 한집에서 살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추 나무에 그네를 뛰고 잣 껍질로 배를 만들어 타겠다 : 고추 나무에 그네를 뛸 수 있고 잣 껍질을 배 삼아 타고 다닐 수 있을 만큼 사람이 작아진다는 뜻으로, 세상이 말세(末世)가 되면 있을 괴상망측한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명태하고 팥은 두들겨서 껍질을 벗기고 촌놈하고 계집은 두들겨서 길들인다 : 계집은 무섭게 다루어 길을 들여야 한다는 말.
- 촌놈 관청에 끌려온 것 같다 : 번화한 곳에 가거나 경험이 없는 일을 당하여 당황하고 어리둥절해서 어쩔 줄 몰라 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촌놈 성이 김가 아니면 이가라 : 김씨와 이씨가 아주 흔하다는 말.
- 촌놈 엿가락 빼듯 : 어떤 일을 빨리 승낙하지 아니하고 미루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촌놈에 관장(官長) 들었다 : 촌사람 가운데서 훌륭한 사람이 나왔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촌놈은 밥그릇 높은 것만 친다
:
다로 끝나는 단어: 총 76,978개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5,772개입니다.- 예: 째다, 톺다, 쓰다, 틔다, 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6,186개입니다.- 예: 선행하다, 임면하다, 게기하다, 화합하다, 해안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0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13개입니다.- 예: 망괴다, 배하다, 상다, 주다, 날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9 종류의 한자 중에서 898번 사용된 化이 최다입니다.- 예: 경화되다(硬化되다), 화육하다(化育하다), 궁화하다(躬化하다), 화하다(化하다), 둔화되다(鈍化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94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06개입니다.- 예: 가루다, 가렵다, 가말다, 가닿다, 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34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익다, 오다, 웃다, 엮다, 앓다
-
-
촌놈은 밥그릇 높은 것만 친다
:
친다로 끝나는 단어: 총 68개
-
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8개입니다.- 예: 시다는데 초를 친다, 담쌓고 벽 친다, 장님이 사람 친다, 반풍수 집안 망친다, 여드레 병풍 친다
-
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9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개입니다.- 예: 웃고 사람[뺨] 친다, 닫는 말에도 채를 친다, 독을 보아 쥐를 못 친다, 남의 다리에 행전 친다, 제 손으로 제 뺨을 친다
-
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5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개입니다.- 예: 가까운 데 집은 깎이고 먼 데 절[집]은 비친다, 가물에 돌 친다, 가는 토끼 잡으려다 잡은 토끼 놓친다
-
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2번 사용된 ㄱ이 최다입니다.- 예: 개 새끼도 주인을 보면 꼬리를 친다, 가는 토끼 잡으려다 잡은 토끼 놓친다, 굴러온 돌한테 발등 다친다, 계집의 곡한[독한] 마음 오뉴월에 서리 친다, 개도 제 주인을 보면 꼬리 친다
-
-
: 자음 ㅊㄴㅇㅂㄱㄹㄴㅇㄱㅁㅊㄷ 단어: 총 1개
-
자음 ㅊㄴㅇㅂㄱㄹㄴㅇㄱㅁㅊㄷ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ㅗㅗㅡㅏㅡㅡㅗㅡㅓㅏㅣㅏ 단어: 총 1개
-
모음 ㅗㅗㅡㅏㅡㅡㅗㅡㅓㅏㅣㅏ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촌놈은 밥그릇 높은 것만 친다
:
촌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205개
-
촌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68개입니다.- 예: 촌충(寸蟲), 촌역(村驛), 촌장(寸腸), 촌중(村衆), 촌려(村廬)
-
촌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24개입니다.- 예: 촌려, 촌내, 촌주, 촌록, 촌중
-
촌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개의 분야 중에서 한의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예: 촌부, 촌, 촌구, 촌맥, 촌관척
-
촌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7 종류의 한자 중에서 101번 사용된 村이 최다입니다.- 예: 촌역(村驛), 촌주(村酒), 촌중(村衆), 촌옹(村翁), 촌려(村廬)
-
촌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7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6개입니다.- 예: 촌열하다, 촌열되다, 촌평하다, 촌스럽다, 촌진척퇴하다
-
-
촌놈은 밥그릇 높은 것만 친다
:
촌놈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7개
-
촌놈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
촌놈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1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개입니다.
-
촌놈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한자로 분류됩니다.
-
촌놈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