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감님 주머니 돈… 🌟의미
- 남편 덕을 못 보면 자식 덕을 못 본다 : 시집을 잘못 가서 평생 고생만 하는 신세를 한탄하여 이르는 말.
- 남편 복 없는 여자는[년은] 자식 복도 없다 : 시집을 잘못 가서 평생 고생만 하는 신세를 한탄하여 이르는 말.
- 남편 죽었다고 섧게 울던 년이 시집은 먼저 간다 : 남편이 죽자 서럽게 울며 정절을 지킬 듯이 굴던 아내가 남보다 먼저 재가한다는 뜻으로, 남들 앞에서는 끝까지 지조를 지킬 듯이 하다가 먼저 변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편은 두레박 아내는 항아리 : 두레박으로 물을 길어다 항아리를 채운 데서, 남편이 밖에서 돈을 벌어 집에 가지고 오면 아내는 그것을 잘 모으고 간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편을 잘못 만나면 당대 원수 아내를 잘못 만나도 당대 원수 : 결혼을 잘못하면 일생 동안 불행하다는 말.

- 가시아비 돈 떼어먹은 놈처럼 : 남에게 폐를 끼치고도 미안해하지 않는 태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진 돈이 없으면 망건 꼴이 나쁘다 : 몸에 지닌 돈이 없으면 비록 망건을 썼어도 그 꼴이 하찮게 보인다는 뜻으로, 돈이 없으면 그만큼 겉모양도 허술해 보이고 마음도 떳떳하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같잖은 투전에 돈만 잃었다 : 기를 쓰고 덤빈 투전도 아닌데 돈을 잃었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 손해만 보았음을 이르는 말.
- 겉보리 돈 사기가 수양딸로 며느리 삼기보다 쉽다 : 겉보리는 식량 사정이 어려운 초여름에 수확하기 때문에 팔아서 돈으로 만들기 쉽다는 뜻으로, 아주 하기 쉬운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과부의 대 돈 오 푼 빚을 내서라도[낸다] : 과부한테 한 냥에 대 돈 오 푼의 높은 이자를 무는 빚을 내서라도 해야겠다는 뜻으로, 돈을 비싼 이자로라도 갖다 쓸 정도로 궁색함이 극도에 이른 사람의 처지를 이르는 말.

- 가까운 집 며느리일수록 흉이 많다 : 늘 가까이 있고 잘 아는 사이일수록 상대편의 결점이 눈에 더 많이 띈다는 말.
- 가는 며느리가 보리방아 찧어 놓고 가랴 : 이미 일이 다 틀어져 그만두는 터에 뒷일을 생각하고 돌아다볼 리 만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볕에는 딸을 쬐이고 봄볕에는 며느리를 쬐인다 : 선선한 가을볕에는 딸을 쬐이고 살갗이 잘 타고 거칠어지는 봄볕에는 며느리를 쬐인다는 뜻으로, 시어머니는 며느리보다 제 딸을 더 아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같은 떡도 맏며느리 주는 것이 더 크다 : 맏며느리가 집안의 중요한 사람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겉보리 돈 사기가 수양딸로 며느리 삼기보다 쉽다 : 겉보리는 식량 사정이 어려운 초여름에 수확하기 때문에 팔아서 돈으로 만들기 쉽다는 뜻으로, 아주 하기 쉬운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나 부를 노래를 사돈집에서 부른다 : 자기가 하려고 하는 말이나 마땅히 할 말을 도리어 남이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사돈이야 가거나 말거나 : 자기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내 노래를 사돈이 부른다 : 꾸짖음이나 나무람을 들어야 할 사람이 도리어 큰소리를 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내 할 말을 사돈이 한다 : 자기가 하려고 하는 말이나 마땅히 할 말을 도리어 남이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뒷간과 사돈집은 멀어야 한다 : 사돈집 사이에는 말이 나돌기 쉽고 뒷간은 고약한 냄새가 나므로 둘 다 멀리 있을수록 좋음을 이르는 말.
- 가난이 소 아들이라 : 소처럼 죽도록 일해도 가난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그 아버지에 그 아들 : 아들이 여러 면에서 아버지를 닮았을 경우를 이르는 말.
- 그 어머니에 그 아들[딸] : 아들딸의 재능이나 행실이 자기 어머니를 닮았을 경우를 이르는 말.
- 기른 개가 아들 불알 잘라 먹는다 : 은혜를 베푼 사람으로부터 큰 화를 입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열 아들 부럽지 않다 : 자기 자식이 남이 아들을 많이 둔 것에 못지않거나 그보다 낫다는 말.
- 곯아도 젓국이 좋고, 늙어도 영감이 좋다 : 아무리 늙었어도 오래 정붙이고 산 자기 배우자가 좋다는 말.
- 늙은 영감 덜미 잡기 : 빚을 물지 못하는 값으로 빚진 사람의 아내를 빼앗아 간다는 뜻으로, 인정 없고 심술궂으며 무도한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돈 영감 제상 바라보듯 :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사돈 영감의 제상을 덤덤히 바라보고 있듯 한다는 뜻으로, 별 관심 없이 멍청히 바라봄을 이르는 말.
- 세물전 영감이다 : 아는 것이 매우 많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손자 잃은 영감 : 중요한 것을 잃고 멍하니 있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그 장단 춤추기 어렵다 : 장단이 까다롭고 대중이 없어 그에 맞추어 춤추기가 매우 어렵다는 뜻으로, 일을 시키는 것이 명확하지 아니하고 자주 변하여 가늠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속은 동네 존위도 모른다 : 남의 마음속은 동네 일을 다 맡아 주관하는 동네 존위도 알 수 없다는 뜻으로, 사람의 속마음은 누구도 알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올라간다] : 여러 사람이 저마다 제 주장대로 배를 몰려고 하면 결국에는 배가 물로 못 가고 산으로 올라간다는 뜻으로, 주관하는 사람 없이 여러 사람이 자기주장만 내세우면 일이 제대로 되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정이 많으면 한 동리에 시아비가 아홉 : 사사로운 정이 많아 정절을 지키지 못하다가는 망칙스럽게도 한동네에 아홉 남편과 아홉 시아버지를 두게 된다는 뜻으로, 정조 관념이 희박한 여자를 비웃는 말.
- 산이 우니 돌이[산돼지가] 운다 : 산이 우니 그 속에 있는 돌[산돼지]도 덩달아 운다는 뜻으로, 주관 없이 남이 하는 대로만 따라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성아주머니 술도 싸야 사 먹지 : 아무리 친근한 사이라도 이익이 있어야 관계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떨어진 주머니에 어패 들었다 : 보기에는 허름한 베주머니에 기밀한 서류가 들었다는 뜻으로, 사람이나 물건이 외모를 보아서는 허름하고 못난 듯하나 실상은 비범한 가치와 훌륭한 재질을 지녔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물에 빠져도 주머니밖에 뜰 것이 없다 : 가진 돈이 한 푼도 없다는 말.
- 베주머니로 바람 잡기 : 베주머니로 바람을 잡더라도 베올이 굵어 바람이 새어 나간다는 뜻으로, 헛수고만 한다는 말.
- 베주머니에 의송 들었다 : 보기에는 허름한 베주머니에 기밀한 서류가 들었다는 뜻으로, 사람이나 물건이 외모를 보아서는 허름하고 못난 듯하나 실상은 비범한 가치와 훌륭한 재질을 지녔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영감님 주머니 돈은 내 돈이요 아들 주머니 돈은 사돈네 돈이다
:
다로 끝나는 단어: 총 76,978개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5,772개입니다.- 예: 째다, 톺다, 쓰다, 틔다, 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6,186개입니다.- 예: 선행하다, 임면하다, 게기하다, 화합하다, 해안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0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13개입니다.- 예: 망괴다, 배하다, 상다, 주다, 날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9 종류의 한자 중에서 898번 사용된 化이 최다입니다.- 예: 경화되다(硬化되다), 화육하다(化育하다), 궁화하다(躬化하다), 화하다(化하다), 둔화되다(鈍化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94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06개입니다.- 예: 가루다, 가렵다, 가말다, 가닿다, 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34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익다, 오다, 웃다, 엮다, 앓다
-
-
영감님 주머니 돈은 내 돈이요 아들 주머니 돈은 사돈네 돈이다
:
이다로 끝나는 단어: 총 1,157개
-
이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900개입니다.- 예: 메이다, 깨이다, 꺾이다, 눅이다, 이다
-
이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1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21개입니다.- 예: 들썩이다, 할딱이다, 덜컥이다, 빼쭉이다, 간질이다
-
이다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11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예: 라이다, 기상 레이다
-
이다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14 종류의 한자로 분류됩니다.- 예: 정붙이다(情붙이다), 정들이다(情들이다)
-
이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9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잘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6개입니다.- 예: 잘깍이다, 잘각이다, 잘방이다, 잘싹이다, 잘록이다
-
이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6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어이다, 애이다, 이다, 에이다, 옥이다
-
-
: 자음 ㅇㄱㄴㅈㅁㄴㄷㅇㄴㄷㅇㅇㅇㄷㅈㅁㄴㄷㅇㅅㄷㄴㄷㅇㄷ 단어: 총 1개
-
자음 ㅇㄱㄴㅈㅁㄴㄷㅇㄴㄷㅇㅇㅇㄷㅈㅁㄴㄷㅇㅅㄷㄴㄷㅇㄷ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ㅕㅏㅣㅜㅓㅣㅗㅡㅐㅗㅣㅛㅏㅡㅜㅓㅣㅗㅡㅏㅗㅔㅗㅣㅏ 단어: 총 1개
-
모음 ㅕㅏㅣㅜㅓㅣㅗㅡㅐㅗㅣㅛㅏㅡㅜㅓㅣㅗㅡㅏㅗㅔㅗㅣㅏ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영감님 주머니 돈은 내 돈이요 아들 주머니 돈은 사돈네 돈이다
:
영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1,968개
-
영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236개입니다.- 예: 영(齡), 영(Young, Arthur), 영(Young, Lester Willis), 영(Young, Victor), 영(令)
-
영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43개입니다.- 예: 영어, 영령, 영릉, 영당, 영특
-
영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7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86개입니다.- 예: 영공, 영찰, 영릉, 영리, 영직
-
영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19 종류의 한자 중에서 254번 사용된 營이 최다입니다.- 예: 영(營), 영(營/榮), 영단(營團), 영부(營部), 영작(營作)
-
영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50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18개입니다.- 예: 영하다, 영피다, 영친하다, 영악하다, 영글다
-
-
영감님 주머니 돈은 내 돈이요 아들 주머니 돈은 사돈네 돈이다
:
영감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23개
-
영감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7개입니다.- 예: 영감하(永感下), 영감무(靈感巫), 영감자(令監자), 영감(令監), 영감님(令監님)
-
영감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예: 영감탈, 영감신, 영감하, 영감님, 영감무
-
영감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분야 중에서 민속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예: 영감탈, 영감신, 영감무, 영감놀이, 영감놀이굿
-
영감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 종류의 한자 중에서 12번 사용된 令이 최다입니다.- 예: 영감탱이(令監탱이), 영감놀이(令監놀이), 영감자(令監자), 영감(令監), 영감탈(令監탈)
-
영감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6개의 끝 글자 중에서 감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예: 영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