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방을 밝히면 못… 🌟의미
- 가시나무에 연줄 걸리듯 : 인정에 걸리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 씹에 덧게비 : 관계없는 일에 덩달아 덤벼 나섬을 이르는 말.
- 거미 줄 따르듯 :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서로 떨어지지 않고 따라다닌다는 말.
- 걱정도 팔자(다) : 하지 않아도 될 걱정을 하거나 관계도 없는 남의 일에 참견하는 사람에게 놀림조로 이르는 말.
- 건넛산 돌 쳐다보듯 : 저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듯이 멍하니 쳐다본다는 말.

- 꽃 본 나비 (물 본 기러기) : 남녀 간에 정이 깊어 떨어지지 못하는 즐거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꽃 본 나비 불을 헤아리랴 : 남녀 간의 정이 깊으면 죽음을 무릅쓰고서라도 찾아가서 함께 사랑을 나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말도 사촌까지 상피한다 : 가까운 친척 사이의 남녀가 관계하였을 때 욕하는 말.
- 안방을 밝히면 못쓴다 : 남녀 관계에서 절제하는 생활을 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어항에 금붕어 놀듯 : 남녀 간에 서로 잘 어울려 노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객지 생활 삼 년에 골이 빈다 : 객지에서 남이 아무리 잘해 준다 해도 고생이 되므로 여위어서 허울만 남게 된다는 말.
- 가늘게 먹고 가늘게 살아라 : 검소하게 먹으면서 소박하게 살라는 뜻으로, 분수에 맞지 않게 호화로운 생활을 추구하거나 분에 넘치는 행동을 하지 말라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거지 자루 기울 새 없다 : 가난한 살림이라도 생활하여 나가려면 바쁘고 짬이 없다는 말.
- 과부는 은이 서 말 : 과부는 살림살이가 알뜰하여 규모 있게 생활하므로 경제적으로 걱정이 없지만, 홀아비는 생활이 곤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과부는 은이 서 말이고 홀아비는 이가 서 말이다 : 과부는 살림살이가 알뜰하여 규모 있게 생활하므로 경제적으로 걱정이 없지만, 홀아비는 생활이 곤궁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만만찮기는 사돈집 안방 : 사돈네 안방처럼 감히 넘겨다보지 못할 만큼 어렵고 조심스러운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봉당을 빌려주니 안방까지 달란다 : 매우 염치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돈네 안방 같다 : 사돈네 안방처럼 감히 넘겨다보지 못할 만큼 어렵고 조심스러운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시어미가 죽으면 안방은 내 차지 : 시어머니가 죽으면 며느리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는 뜻으로, 권력을 잡았던 사람이 없어지면 그다음 자리에 있던 사람이 권력을 잡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안방에 가면 시어머니 말이 옳고 부엌에 가면 며느리 말이 옳다 : 양편의 말이 모두 일리가 있어서 시비를 가리기가 어려운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안방을 밝히면 못쓴다 : 남녀 관계에서 절제하는 생활을 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안방을 밝히면 못쓴다
:
다로 끝나는 단어: 총 76,978개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5,772개입니다.- 예: 째다, 톺다, 쓰다, 틔다, 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6,186개입니다.- 예: 선행하다, 임면하다, 게기하다, 화합하다, 해안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0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13개입니다.- 예: 망괴다, 배하다, 상다, 주다, 날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9 종류의 한자 중에서 898번 사용된 化이 최다입니다.- 예: 경화되다(硬化되다), 화육하다(化育하다), 궁화하다(躬化하다), 화하다(化하다), 둔화되다(鈍化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94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06개입니다.- 예: 가루다, 가렵다, 가말다, 가닿다, 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34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익다, 오다, 웃다, 엮다, 앓다
-
-
안방을 밝히면 못쓴다
:
쓴다로 끝나는 단어: 총 28개
-
쓴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8개입니다.- 예: 칼도 날이 서야 쓴다, 남의 떡으로 선심 쓴다, 나라님 망건값도 쓴다, 수염을 내리쓴다, 앉은뱅이 용쓴다
-
쓴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9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예: 남의 떡으로 선심 쓴다, 나라님 망건값도 쓴다, 공자 앞에서 문자 쓴다, 악바리 악돌이 악쓴다, 김칫국 먹고 수염 쓴다
-
쓴다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26 종류의 시작하는 글자로 분류됩니다.- 예: 공것이라면 사족을 못 쓴다, 공자 앞에서 문자 쓴다
-
쓴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6번 사용된 ㄱ이 최다입니다.- 예: 광부의 말도 성인이 가려 쓴다, 개똥도 약에 쓴다, 공자 앞에서 문자 쓴다, 김칫국 먹고 수염 쓴다, 급하면 임금 망건 사러 가는 돈이라도 쓴다
-
-
: 자음 ㅇㅂㅇㅂㅎㅁㅁㅆㄷ 단어: 총 1개
-
자음 ㅇㅂㅇㅂㅎㅁㅁㅆㄷ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ㅏㅏㅡㅏㅣㅕㅗㅡㅏ 단어: 총 1개
-
모음 ㅏㅏㅡㅏㅣㅕㅗㅡㅏ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안방을 밝히면 못쓴다
:
안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1,610개
-
안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115개입니다.- 예: 안구(眼球), 안(案), 안왕(雁王), 안, 안부(雁夫)
-
안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3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82개입니다.- 예: 안마하다, 안물방아, 안위존망, 안전거리, 안팎먹기
-
안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7개의 분야 중에서 인명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1개입니다.- 예: 안구, 안확, 안, 안축, 안영
-
안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79 종류의 한자 중에서 594번 사용된 安이 최다입니다.- 예: 안락(安樂), 안온(安穩), 안확(安廓), 안산(安山), 안(安)
-
안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67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41개입니다.- 예: 안돌다, 안치다, 안바다, 안다, 안차다
-
-
안방을 밝히면 못쓴다
:
안방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12개
-
안방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9개입니다.
-
안방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개입니다.
-
안방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3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
안방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 종류의 한자 중에서 9번 사용된 房이 최다입니다.
-
안방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10 종류의 끝나는 글자로 분류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