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경 제 호박 따기 🌟의미
소경 제 호박 따기
:
소경이 횡재라고 좋아한 것이 알고 보니 제 것이었다는 뜻으로, 이익을 보는 줄 알고 한 일이 결국은 자기 자신에게 손해가 되거나 아무런 이익이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구
속담
•
동의어/반의어/비슷한말/준말:
-
동의어
소경 제 닭 잡아먹기: 소경이 횡재라고 좋아한 것이 알고 보니 제 것이었다는 뜻으로, 이익을 보는 줄 알고 한 일이 결국은 자기 자신에게 손해가 되거나 아무런 이익이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난 구제는 지옥 늧이라 : 가난한 사람을 구제하는 것은 지옥에 떨어질 징조라는 뜻으로, 그 일이 결국에 가서는 자신에게 해롭게 되고 고생거리가 되니 아예 가난한 사람을 구제할 생각도 하지 말라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마가 많으면 모든 것이 헤프다 : 가마가 많으면 그만큼 여러 곳에 나누어 넣고 끓이게 되므로 모든 것이 헤프다는 뜻으로, 일이나 살림을 여기저기 벌여 놓으면 결국 낭비가 많아진다는 말.
- 갗에서 좀 난다 : 가죽을 쏠아 먹는 좀이 가죽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화근이 그 자체에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건더기 먹은 놈이나 국물 먹은 놈이나 : 잘산 사람이나 못산 사람이나 결국은 마찬가지라는 말.
- 고삐가 길면 밟힌다 : 나쁜 일을 아무리 남모르게 한다고 해도 오래 두고 여러 번 계속하면 결국에는 들키고 만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난이 원수 : 가난하기 때문에 억울한 경우나 고통을 당하게 되니 가난이 원수같이 느껴진다는 말.
- 가는 방망이 오는 홍두깨 : 이쪽에서 방망이로 저쪽을 때리면 저쪽에서는 홍두깨로 이쪽을 때린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일보다 더 가혹한 갚음을 받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랑잎으로 눈 가리기 : 자기의 존재나 허물을 숨기려고 미련하게 애쓰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랑잎이 솔잎더러 바스락거린다고 한다 : 더 바스락거리는 가랑잎이 솔잎더러 바스락거린다고 나무란다는 뜻으로, 자기의 허물은 생각하지 않고 도리어 남의 허물만 나무라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마 타고 옷고름 단다 : 미리 준비를 해 놓지 않아서 임박해서야 허둥지둥하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집 소경은 쓸어나 보는데 우리 집 소경은 쓸어도 못 본다 : 남들은 그렇지 아니한데 자기 집 사람은 도무지 집안 사정을 보살피거나 걱정조차도 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눈먼 소경더러 눈멀었다 하면 성낸다 : 누구나 자기의 단점을 남이 말하는 것을 싫어한다는 말.
- 두 소경 한 막대 짚고 걷는다 : 어리석은 두 사람이 같은 잘못을 저지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들녘 소경 머루 먹듯 : 좋고 나쁜 것을 분별하지 못하고 이것저것 아무것이나 취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무당이 제 굿 못하고 소경이 저 죽을 날 모른다 : 남의 일은 잘 처리하여도 자기 일은 자기가 처리하기 어렵다는 말.

- 가마 안의 팥이 풀어져도 그 안에 있다 : 손해를 본 것 같지만 따지고 보면 손해를 본 것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같잖은 투전에 돈만 잃었다 : 기를 쓰고 덤빈 투전도 아닌데 돈을 잃었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 손해만 보았음을 이르는 말.
- 개구멍에 망건 치기 : 남에게 빼앗길 것을 두려워하여 막고 있다가 막던 그 물건까지 잃는다는 뜻으로, 되지도 아니할 일을 공연히 욕심만 내어 어리석게 시작하였다가 도리어 손해나 망신을 당함을 이르는 말.
- 거지 옷[베 두루마기] 해 입힌 셈 친다 : 거지에게 자선을 베풀어 새 옷을 한 벌 입혀 준 셈 친다는 뜻으로, 대가나 보답을 바라지 않고 자비를 베풀어 줌을 이르는 말.
- 거지 제 쪽박 깨기 : 도리어 자기 손해만 자초하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마 속의 콩도 삶아야 먹는다 : 가마 안에 들어간 콩도 끓여서 삶아야 먹을 수 있다는 뜻으로, 다 된 듯하고 쉬운 일이라도 손을 대어 힘을 들이지 않으면 이익이 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간에 가 붙고 쓸개[염통]에 가 붙는다 : 자기에게 조금이라도 이익이 되면 지조 없이 이편에 붙었다 저편에 붙었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간에 붙었다 쓸개[염통]에 붙었다 한다 : 자기에게 조금이라도 이익이 되면 지조 없이 이편에 붙었다 저편에 붙었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감나무 밑에 누워도 삿갓 미사리를 대어라 : 감나무 밑에 누워서 절로 떨어지는 감을 얻어먹으려 하여도 그것을 받기 위하여서는 삿갓 미사리를 입에 대고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의당 자기에게 올 기회나 이익이라도 그것을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이르는 말.
- 감나무 밑에서도 먹는 수업을 하여라 : 감나무 밑에 누워서 절로 떨어지는 감을 얻어먹으려 하여도 그것을 받기 위하여서는 삿갓 미사리를 입에 대고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의당 자기에게 올 기회나 이익이라도 그것을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이르는 말.
- 가까운 남이 먼 일가보다 낫다 : 이웃끼리 서로 친하게 지내다 보면 먼 곳에 있는 일가보다 더 친하게 되어 서로 도우며 살게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 가까운 집 며느리일수록 흉이 많다 : 늘 가까이 있고 잘 아는 사이일수록 상대편의 결점이 눈에 더 많이 띈다는 말.
- 가는 날이 생일 : 일을 보러 가니 공교롭게 생일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하려고 하는데 뜻하지 않은 일을 공교롭게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일은 미련한 놈이 잘한다 : 가을 농촌 일은 매우 바쁘고 힘들기 때문에 미련한 사람처럼 꾀를 부리지 않고 묵묵히 해야 성과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갖바치 내일 모레 : 갖바치들이 흔히 맡은 물건을 제날짜에 만들어 주지 않고 약속한 날에 찾으러 가면 내일 오라 모레 오라 한다는 데서, 약속한 기일을 이날 저 날 자꾸 미루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적을 잘 알고 자신을 잘 아는 자는 백 번 싸워 백 번 이긴다 : 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고 자신의 능력과 힘을 잘 알면 싸움에서 언제나 이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가까운 무당보다 먼 데 무당이 영하다 : 흔히 사람은 자신이 잘 알고 가까이 있는 것보다는 잘 모르고 멀리 있는 것을 더 좋은 것인 줄로 생각한다는 말.
- 가난 구제는 지옥 늧이라 : 가난한 사람을 구제하는 것은 지옥에 떨어질 징조라는 뜻으로, 그 일이 결국에 가서는 자신에게 해롭게 되고 고생거리가 되니 아예 가난한 사람을 구제할 생각도 하지 말라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감투가 커도 귀가 짐작이라 : 귀를 가늠하여 감투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는 뜻으로, 어떤 사물의 내용을 어느 정도 자신 있게 짐작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 : 평소에 자신이 좋아하거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만이 눈에 띈다는 것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고자리 먹고 자란 호박 꼴 : 주글주글하고 뒤틀려 있는 모양을 이르는 말.
- 굴러온 호박 : 뜻밖에 좋은 물건을 얻거나 행운을 만났다는 말.
- 꽃은 꽃이라도 호박꽃이라 : 못생긴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호박에 말뚝 박기 : 남의 일이 잘되어 가는 것을 시기하여 일부러 방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늙은이 호박나물에 용쓴다 : 도저히 힘을 쓸 수 없는 처지에 있는 사람이 힘을 쓸 듯이 자신 있게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천 치다 금을 줍는다 :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우연히 횡재를 하거나 큰 성과를 거두게 된 경우를 이르는 말.
- 부엉이 집을 얻었다 : 부엉이는 닥치는 대로 제집에 갖다 두어서 거기에는 없는 것이 없다는 데서 나온 말로, 횡재를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빈집에 소 매였다 : 없는 살림에 큰 횡재를 하였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살강 밑에서 숟가락 얻었다[주웠다] : 남이 빠뜨린 물건을 얻어서 횡재했다고 좋아하다 임자가 나타나 헛되이 좋아한 것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소경 제 닭 잡아먹기 : 소경이 횡재라고 좋아한 것이 알고 보니 제 것이었다는 뜻으로, 이익을 보는 줄 알고 한 일이 결국은 자기 자신에게 손해가 되거나 아무런 이익이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소경 제 호박 따기
:
기로 끝나는 단어: 총 9,455개
-
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691개입니다.- 예: 기(杞), 기, 기(期), 기(起), 기(岐)
-
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8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938개입니다.- 예: 재치기, 위성기, 탄수기, 장보기, 제지기
-
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4개의 분야 중에서 체육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458개입니다.- 예: 체기, 채기, 보기, 혁기, 역기
-
기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077 종류의 한자 중에서 1,698번 사용된 器이 최다입니다.- 예: 예기(禮器), 동기(銅器), 응기(應器), 찬기(饌器), 누기(漏器)
-
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88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전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86개입니다.- 예: 전기
-
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406번 사용된 ㄱ이 최다입니다.- 예: 기
-
-
소경 제 호박 따기
:
따기로 끝나는 단어: 총 29개
-
따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4개입니다.- 예: 땅따기, 엄따기, 꽃따기, 귀따기, 움따기
-
따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5개입니다.- 예: 땅따기, 엄따기, 꽃따기, 귀따기, 움따기
-
따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분야 중에서 농업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개입니다.- 예: 순뽕따기, 엄따기, 꽃따기, 앞턱따기, 햇순 따기
-
따기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3 종류의 한자로 분류됩니다.- 예: 햇순 따기(햇筍따기), 순뽕따기(筍뽕따기)
-
따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6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딱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3개입니다.- 예: 딱따기
-
따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3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6번 사용된 ㄸ이 최다입니다.- 예: 딱따기, 땅따기, 똑따기
-
-
: 자음 ㅅㄱㅈㅎㅂㄸㄱ 단어: 총 1개
-
자음 ㅅㄱㅈㅎㅂㄸㄱ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ㅗㅕㅔㅗㅏㅏㅣ 단어: 총 1개
-
모음 ㅗㅕㅔㅗㅏㅏㅣ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소경 제 호박 따기
:
소로 시작하는 단어: 총 3,672개
-
소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403개입니다.- 예: 소(巢), 소(沼), 소(騷), 소(邵), 소
-
소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1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130개입니다.- 예: 소면, 소진, 소학, 소두, 소권
-
소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1개의 분야 중에서 법률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87개입니다.- 예: 소진, 소장, 소액, 소환, 소
-
소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47 종류의 한자 중에서 978번 사용된 小이 최다입니다.- 예: 소부(小富), 소립(小粒), 소편(小片), 소두(小豆), 소가(小駕)
-
소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84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45개입니다.- 예: 소이다, 소살하다, 소다, 소대하다, 소담하다
-
-
소경 제 호박 따기
:
소경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62개
-
소경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3개입니다.- 예: 소경이 장 먹듯, 소경 장 떠먹기, 소경 기름값 내기, 소경 단청 구경, 소경 팔양경 외듯
-
소경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3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2개입니다.- 예: 소경
-
소경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예: 소경, 소경여갑당주, 소경여갑당
-
소경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6 종류의 한자 중에서 9번 사용된 小이 최다입니다.- 예: 소경(小經), 소경무(小京舞), 소경(小逕/小徑), 소경(小景), 소경여갑당(小京餘甲幢)
-
소경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6개의 끝 글자 중에서 경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개입니다.- 예: 소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