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호 기둥에 호박… 🌟의미
- 가게 기둥에 입춘[주련] : 추하고 보잘것없는 가겟집 기둥에 ‘입춘대길’이라 써 붙인다는 뜻으로, 제격에 맞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입춘대길: 입춘을 맞이하여 길운을 기원하며 벽이나 문짝 따위에 써 붙이는 글귀.)
- 강한 말은 매 놓은 기둥에 상한다 : 힘이 매우 센 말은 그것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단단히 매 놓은 기둥에 상처를 입게 된다는 뜻으로, 사람을 너무 구속하면 오히려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기둥보다 서까래가 더 굵다 : 주(主)가 되는 것과 그에 따르는 것이 뒤바뀌어 사리에 어긋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기둥을 치면 대들보가[들보가/봇장이] 운다[울린다] : 직접 맞대고 탓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넌지시 말을 하여도 알아들을 수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뒷간 기둥이 물방앗간 기둥을 더럽다 한다 : 자기는 더 큰 흉이 있으면서 도리어 남의 작은 흉을 본다는 말.
![가게 기둥에 입춘[주련]](https://the2.sfo2.cdn.digitaloceanspaces.com/m_photo/524994.webp)
- 장사치의 손님 : 장사하는 사람은 찾아오는 손님 누구에게나 잘 대하는 법이라는 뜻으로, 비록 마음에는 없어도 겉으로는 누구에게나 잘 대접한다는 말.
- 각전 시정 통비단 감듯 : 장사치가 솜씨 있게 통비단을 감듯 한다는 뜻으로, 무엇을 줄줄 익숙하게 잘 감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봇짐 내어 주며 앉아라 한다 : 속으로는 가기를 원하면서 겉으로는 만류하는 체한다는 뜻으로, 속생각은 전혀 다르면서도 말로만 그럴듯하게 인사치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봇짐을 내어 주면서 하룻밤 더 묵으라 한다 : 속으로는 가기를 원하면서 겉으로는 만류하는 체한다는 뜻으로, 속생각은 전혀 다르면서도 말로만 그럴듯하게 인사치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호 기둥에 호박 주추다 : 귀한 산호로 기둥을 세우고 귀한 호박으로 주춧돌을 놓았다는 뜻으로, 매우 사치스럽고 호화롭게 꾸미고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호 기둥에 호박 주추다 : 귀한 산호로 기둥을 세우고 귀한 호박으로 주춧돌을 놓았다는 뜻으로, 매우 사치스럽고 호화롭게 꾸미고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호 서 말 진주 서 말 싹이 나거든 : 싹이 틀 수 없는 산호나 진주에, 그것도 서 말씩이나 되는 것이 다 싹이 나는 경우를 가정하여, 도저히 그 실현을 기약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호 기둥에 호박 주추다 : 귀한 산호로 기둥을 세우고 귀한 호박으로 주춧돌을 놓았다는 뜻으로, 매우 사치스럽고 호화롭게 꾸미고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산호 서 말 진주 서 말 싹이 나거든 : 싹이 틀 수 없는 산호나 진주에, 그것도 서 말씩이나 되는 것이 다 싹이 나는 경우를 가정하여, 도저히 그 실현을 기약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삶은 팥이 싹 나거든 : 싹이 틀 수 없는 산호나 진주에, 그것도 서 말씩이나 되는 것이 다 싹이 나는 경우를 가정하여, 도저히 그 실현을 기약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마 속의 콩도 삶아야 먹는다 : 가마 안에 들어간 콩도 끓여서 삶아야 먹을 수 있다는 뜻으로, 다 된 듯하고 쉬운 일이라도 손을 대어 힘을 들이지 않으면 이익이 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대가리를 삶으면 귀까지 익는다 : 가장 중요한 것만 처리하고 나면 나머지 일은 따라서 해결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끼 삶은 물 : 아무 맛도 없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떡 삶은 물에 중의(中衣) 데치기 : 한 가지 일을 하면서 또 다른 일을 겸하여 해치움을 이르는 말.
- 떡 삶은 물에 풀한다 : 버린 물건을 이용하여 소득을 봄을 이르는 말.
- 산호 기둥에 호박 주추다 : 귀한 산호로 기둥을 세우고 귀한 호박으로 주춧돌을 놓았다는 뜻으로, 매우 사치스럽고 호화롭게 꾸미고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 상추는 문 걸어 잠그고 먹는다 : 가을 상추는 특별히 맛이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마당에 빗자루 몽당이를 들고 춤을 추어도 농사 밑이 어둑하다 : 가을에 타작을 하여 줄 것은 주고 갚을 것은 갚고 빈손에 빗자루만 남게 되더라도 그래도 남은 것이 있다는 뜻으로, 농사일은 든든한 것임을 이르는 말.
- 거문고 인 놈이 춤을 추면 칼 쓴 놈도 춤을 춘다 : 자기는 도저히 할 만한 처지가 아닌데도 남이 하는 짓을 덩달아 흉내 내다가 웃음거리가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추 나무에 그네를 뛰고 잣 껍질로 배를 만들어 타겠다 : 고추 나무에 그네를 뛸 수 있고 잣 껍질을 배 삼아 타고 다닐 수 있을 만큼 사람이 작아진다는 뜻으로, 세상이 말세(末世)가 되면 있을 괴상망측한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추가 커야만 맵나[매우랴] : 덩치가 크다고 하여 제구실을 다하는 것은 아님을 이르는 말.
- 고자리 먹고 자란 호박 꼴 : 주글주글하고 뒤틀려 있는 모양을 이르는 말.
- 굴러온 호박 : 뜻밖에 좋은 물건을 얻거나 행운을 만났다는 말.
- 꽃은 꽃이라도 호박꽃이라 : 못생긴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남의 호박에 말뚝 박기 : 남의 일이 잘되어 가는 것을 시기하여 일부러 방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늙은이 호박나물에 용쓴다 : 도저히 힘을 쓸 수 없는 처지에 있는 사람이 힘을 쓸 듯이 자신 있게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늘게 먹고 가늘게 살아라 : 검소하게 먹으면서 소박하게 살라는 뜻으로, 분수에 맞지 않게 호화로운 생활을 추구하거나 분에 넘치는 행동을 하지 말라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관찰사 닿는 곳에 선화당 : 관찰사가 가는 곳마다 극진한 대접을 받으며 호화롭게 지내는 것이 마치 자신의 집무실인 선화당에 있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가는 곳마다 호사를 누리는 복된 처지를 이르는 말.
- 굶으면 아낄 것 없어 통 비단도 한 끼라 : 호화롭게 살다가도 구차하게 되면 아무리 귀중한 것도 밥 한 끼와 바꾸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비단이 한 끼라 : 한번 몰락하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또 덕분에 나팔 분다 : 사또와 동행한 덕분에 나팔 불고 요란히 맞아 주는 호화로운 대접을 받는다는 뜻으로, 남의 덕으로 당치도 아니한 행세를 하게 되거나 그런 대접을 받고 우쭐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산호 기둥에 호박 주추다
:
다로 끝나는 단어: 총 76,978개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5,772개입니다.- 예: 째다, 톺다, 쓰다, 틔다, 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6,186개입니다.- 예: 선행하다, 임면하다, 게기하다, 화합하다, 해안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0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13개입니다.- 예: 망괴다, 배하다, 상다, 주다, 날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9 종류의 한자 중에서 898번 사용된 化이 최다입니다.- 예: 경화되다(硬化되다), 화육하다(化育하다), 궁화하다(躬化하다), 화하다(化하다), 둔화되다(鈍化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94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06개입니다.- 예: 가루다, 가렵다, 가말다, 가닿다, 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34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익다, 오다, 웃다, 엮다, 앓다
-
-
산호 기둥에 호박 주추다
:
추다로 끝나는 단어: 총 70개
-
추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9개입니다.- 예: 비추다, 잦추다, 들추다, 갖추다, 자추다
-
추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개입니다.- 예: 비추다, 늦추다, 잦추다, 들추다, 갖추다
-
추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3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들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5개입니다.- 예: 들맞추다, 들이맞추다, 들추다, 들이비추다
-
추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0번 사용된 ㄱ이 최다입니다.- 예: 그림자를 감추다, 금(을) 맞추다, 갖추다, 겉맞추다, 고동을 멈추다
-
-
: 자음 ㅅㅎㄱㄷㅇㅎㅂㅈㅊㄷ 단어: 총 1개
-
자음 ㅅㅎㄱㄷㅇㅎㅂㅈㅊㄷ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ㅏㅗㅣㅜㅔㅗㅏㅜㅜㅏ 단어: 총 1개
-
모음 ㅏㅗㅣㅜㅔㅗㅏㅜㅜㅏ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산호 기둥에 호박 주추다
:
산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2,118개
-
산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23개입니다.- 예: 산다(山茶), 산(算), 산(酸), 산(疝), 산서(山墅)
-
산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1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71개입니다.- 예: 산간벽지, 산나차로, 산비둘기, 산양자리, 산산하다
-
산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6개의 분야 중에서 식물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97개입니다.- 예: 산외, 산사, 산과, 산다, 산뽕
-
산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67 종류의 한자 중에서 897번 사용된 山이 최다입니다.- 예: 산다(山茶), 산합(山蛤), 산두(山두), 산서(山墅), 산마(山魔)
-
산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09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07개입니다.- 예: 산거하다, 산들다, 산다, 산산하다, 산견하다
-
-
산호 기둥에 호박 주추다
:
산호로 시작하는 단어: 총 45개
-
산호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9개입니다.- 예: 산호색(珊瑚色), 산호(珊瑚), 산호영(珊瑚纓), 산호충(珊瑚蟲), 산호(山戶)
-
산호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3개입니다.- 예: 산호세, 산호영, 산호섬, 산호초, 산호잠
-
산호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분야 중에서 해양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예: 산호섬, 산호 석회암, 산호초, 산호도, 산호니
-
산호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6 종류의 한자 중에서 34번 사용된 瑚이 최다입니다.- 예: 산호색(珊瑚色), 산호(珊瑚), 산호영(珊瑚纓), 산호해(珊瑚海), 산호니(珊瑚泥)
-
산호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6개의 끝 글자 중에서 호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개입니다.- 예: 산호호, 산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