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 갈아 이태 … 🌟의미
- 가을 더위와 노인의 건강 : 가을의 더위와 노인의 건강은 오래갈 수 없다는 뜻으로, 끝장이 가까워 그 기운이 쇠하고 오래가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 메는 부지깽이도 덤벙인다 : 가을에 메는 용도가 많아 부지깽이도 메로 쓰인다는 뜻으로, 어떤 물건이 자주 쓰이어 그와 비슷한 것까지 마구 대용됨을 이르는 말.
- 가을 물은 소 발자국에 고인 물도 먹는다 : 가을 물이 매우 맑고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 상추는 문 걸어 잠그고 먹는다 : 가을 상추는 특별히 맛이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 식은 밥이 봄 양식이다 : 먹을 것이 흔한 가을에는 먹지 않고 내놓은 식은 밥이 봄에 가서는 귀중한 양식이 된다는 뜻으로, 풍족할 때 함부로 낭비하지 않고 절약하면 뒷날의 궁함을 면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굳은 땅에 물이 괸다 : 헤프게 쓰지 않고 아끼는 사람이 재산을 모으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까마귀도 내 땅 까마귀라면 반갑다 : 자기가 오래 정들인 것은 무엇이나 다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내 땅 까마귀는 검어도 귀엽다 : 자기가 오래 정들인 것은 무엇이나 다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다 팔아도 내 땅 : 다 팔아서 합하여도 본래 자기 땅의 몫밖에 안 된다는 뜻으로, 큰 이익을 본 듯하나 따지고 보면 자기의 밑천밖에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단단한 땅에 물이 괸다 : 무슨 일이든 마음을 굳게 먹고 해야 좋은 결과를 얻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는 며느리가 보리방아 찧어 놓고 가랴 : 이미 일이 다 틀어져 그만두는 터에 뒷일을 생각하고 돌아다볼 리 만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 씹에 보리알 끼이듯 : 좁디좁은 곳에 무엇이 많이 끼여 있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겉보리 단 거꾸로 묶은 것 같다 : 겉보리를 베서 단을 만들 때 거꾸로 묶어 놓으면 단이 허술해질 뿐만 아니라 풀어지기 쉽다는 뜻으로, 안정감이 없거나 어설프게 된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겉보리 돈 사기가 수양딸로 며느리 삼기보다 쉽다 : 겉보리는 식량 사정이 어려운 초여름에 수확하기 때문에 팔아서 돈으로 만들기 쉽다는 뜻으로, 아주 하기 쉬운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겉보리 서 말만 있으면 처가살이하랴 : 여북하면 처가살이를 하겠느냐는 말.

- 거짓말하고 뺨 맞는 것보다 낫다 : 좀 무안하더라도 사실을 사실대로 말해야지 거짓말을 하면 안 된다는 말.
- 검은 것을 희다고 하고 흰 것을 검다고 한다 : 엄연한 사실을 뒤집어엎고 사람들을 속이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과부 집 수고양이 같다 : 조용한 밤중에 수고양이가 울면 옆집 사람들이 갓난아기 울음소리로 알고 과부가 어린애를 낳은 줄로 의심한다는 뜻으로, 아무 근거도 없는 일을 사실인 것처럼 꾸며서 말하여 말썽을 일으키는 사람을 가리켜 이르는 말.
- 뇌성벽력은 귀머거리라도 듣는다 : 아무리 장님일지라도 맑게 갠 하늘은 알 수 있다는 뜻으로, 누구나 분명히 알 수 있는 사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단 장을 달지 않다고 말을 한다 : 맛이 단 장을 놓고 달지 않다고 억지소리를 한다는 뜻으로, 뻔한 사실을 말하지 않고 딴소리로 우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보리 갈아 이태 만에 못 먹으랴 : 가을에 땅을 갈아 보리를 심어 그 이듬해에 가서 거두어 먹는 것은 정해진 이치라는 뜻으로, 으레 정해져 있는 사실을 가지고 구태여 말할 필요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 : 분명하지 아니하게 우물우물 말하는 소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냉수에 이 부러진다 : 하찮은 것 때문에 크게 당황스러운 일을 겪는다는 뜻으로, 도무지 이치에 닿지 않는 어이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늙은 말이 길을 안다 : 나이와 경험이 많으면 그만큼 일에 대한 이치를 잘 앎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말 아닌 말 : 이치나 경우에 닿지 아니하는 말을 이르는 말.
-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 : 법보다는 폭력이 더 우세하다는 말.
- 목잔 좀 불량해도 이태 존대 : 조선 시대에, 이씨 성을 가진 사람을 높여 대접하였다는 데서 나온 말.
- 보리 갈아 이태 만에 못 먹으랴 : 가을에 땅을 갈아 보리를 심어 그 이듬해에 가서 거두어 먹는 것은 정해진 이치라는 뜻으로, 으레 정해져 있는 사실을 가지고 구태여 말할 필요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진 놈의 겹철릭 : 한 사람이 필요 이상으로 물건을 겹쳐서 가지고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감나무 밑에 누워도 삿갓 미사리를 대어라 : 감나무 밑에 누워서 절로 떨어지는 감을 얻어먹으려 하여도 그것을 받기 위하여서는 삿갓 미사리를 입에 대고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의당 자기에게 올 기회나 이익이라도 그것을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이르는 말.
- 감나무 밑에서도 먹는 수업을 하여라 : 감나무 밑에 누워서 절로 떨어지는 감을 얻어먹으려 하여도 그것을 받기 위하여서는 삿갓 미사리를 입에 대고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의당 자기에게 올 기회나 이익이라도 그것을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이르는 말.
- 갑갑한 놈이 송사한다 : 제일 급하고 일이 필요한 사람이 그 일을 서둘러 하게 되어 있다는 말.
- 갑갑한 놈이 우물 판다 : 제일 급하고 일이 필요한 사람이 그 일을 서둘러 하게 되어 있다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보리 갈아 이태 만에 못 먹으랴
:
랴로 끝나는 단어: 총 103개
-
랴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91개입니다.- 예: 내 배 다치랴, 어느 장단에 춤추랴, 고름이 살 되랴, 한술 밥에 배부르랴, 개하고 똥 다투랴
-
랴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0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예: 으랴, 이랴
-
랴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예: 스가랴, 디베랴
-
랴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5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물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예: 물 본 기러기 산 넘어가랴, 물 본 기러기 어옹을 두려워하랴, 물 묻은 치마에 땀 묻는 걸 꺼리랴, 물 좋고 정자 좋은 데가 있으랴
-
랴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6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2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외 심은 데 콩 나랴, 웃는 낯에 침 뱉으랴, 이랴, 어느 장단에 춤추랴, 언문풍월에 염이 있으랴
-
-
보리 갈아 이태 만에 못 먹으랴
:
으랴로 끝나는 단어: 총 21개
-
으랴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9개입니다.- 예: 새해 못할 제사 있으랴, 웃는 낯에 침 뱉으랴, 죽는 놈이 탈 없으랴, 까마귀 짖어 범 죽으랴, 언문풍월에 염이 있으랴
-
으랴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9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예: 굿한다고 마음 놓으랴, 새해 못할 제사 있으랴, 까마귀 짖어 범 죽으랴, 떼어 둔 당상 좀먹으랴
-
으랴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20 종류의 시작하는 글자로 분류됩니다.- 예: 으랴
-
으랴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6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안 주어서 못 받지 손 작아서 못 받으랴, 웃는 낯에 침 뱉으랴, 언문풍월에 염이 있으랴, 인왕산 차돌을 먹고 살기로 사돈의 밥을 먹으랴, 으랴
-
-
: 자음 ㅂㄹㄱㅇㅇㅌㅁㅇㅁㅁㅇㄹ 단어: 총 1개
-
자음 ㅂㄹㄱㅇㅇㅌㅁㅇㅁㅁㅇㄹ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ㅗㅣㅏㅏㅣㅐㅏㅔㅗㅓㅡㅑ 단어: 총 1개
-
모음 ㅗㅣㅏㅏㅣㅐㅏㅔㅗㅓㅡㅑ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보리 갈아 이태 만에 못 먹으랴
:
보로 시작하는 단어: 총 2,375개
-
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34개입니다.- 예: 보(褓), 보(寶), 보(報), 보, 보(洑)
-
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82개입니다.- 예: 보르네올, 보태하다, 보각하다, 보완하다, 보유스레
-
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2개의 분야 중에서 법률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2개입니다.- 예: 보세, 보감, 보, 보전, 보석
-
보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02 종류의 한자 중에서 498번 사용된 保이 최다입니다.- 예: 보건(保健), 보유(保有), 보세(保稅), 보고(保辜), 보체(保體)
-
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57개입니다.- 예: 보두다, 보내다, 보깨다, 보듬다, 보얗다
-
-
보리 갈아 이태 만에 못 먹으랴
:
보리로 시작하는 단어: 총 115개
-
보리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6개입니다.- 예: 보리수(菩提樹), 보리강(菩提講), 보리, 보리때, 보리풀
-
보리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5개입니다.- 예: 보리살타, 보리단술, 보리달마, 보리나방, 보리사초
-
보리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분야 중에서 농업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2개입니다.- 예: 보리풀, 보리밟기, 보리풀꺾다, 보리밟기하다, 보리논
-
보리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3 종류의 한자 중에서 18번 사용된 提이 최다입니다.- 예: 보리수(菩提樹), 보리강(菩提講), 보리달마(菩提達磨), 보리심(菩提心), 보리성(菩提聲)
-
보리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6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8개입니다.- 예: 보리누름까지 세배한다, 보리퉁하다, 보리타작하다, 보리풀꺾다, 보리마당질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