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떡을 떡이라 … 🌟의미
- 가는 떡이 커야 오는 떡이 크다 : 자기가 남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남도 자기에게 좋게 한다는 말.
- 가루 가지고 떡 못 만들랴 : 가루만 있으면 누구나 떡을 만들 수 있다는 뜻으로,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일을 자랑하며 뽐내는 것을 비웃는 말.
- 가을비는 떡비라 : 풍족한 가을에는 이것저것 먹을 것도 많으므로, 비가 와서 일하러 나가지 못하게 되는 날에는 집 안에서 넉넉한 곡식으로 떡이나 해 먹고 지내기가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값싼 비지떡 : 값이 싼 물건은 품질도 그만큼 나쁘게 마련이라는 말.
- 같은 떡도 맏며느리 주는 것이 더 크다 : 맏며느리가 집안의 중요한 사람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보리떡을 떡이라 하며 의붓아비를 아비라 하랴 : 보리떡과 의붓아비는 좋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보리떡을 떡이라 하며 의붓아비를 아비라 하랴 : 보리떡과 의붓아비는 좋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시아비 돈 떼어먹은 놈처럼 : 남에게 폐를 끼치고도 미안해하지 않는 태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비는 장인[시아버지/시아비]의 나룻[수염/턱] 밑에서도 긋는다 : 가을비는 아주 잠깐 오다가 곧 그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에 내 아비 제도 못 지내거든 봄에 의붓아비 제 지낼까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아버지 제사도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의붓아버지의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에 친아비 제사도 못 지냈는데 봄에 의붓아비 제사 지낼까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아버지 제사도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의붓아버지의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거적문이 문이러냐 의붓아비 아비러냐 : 의붓아버지는 아버지로 여길 것이 못 된다는 말.

- 가을에 내 아비 제도 못 지내거든 봄에 의붓아비 제 지낼까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아버지 제사도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의붓아버지의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에 친아비 제사도 못 지냈는데 봄에 의붓아비 제사 지낼까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아버지 제사도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의붓아버지의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거적문이 문이러냐 의붓아비 아비러냐 : 의붓아버지는 아버지로 여길 것이 못 된다는 말.
- 골난 날 의붓아비 온다 : 한창 곤란한 일을 겪고 있을 때 반갑지 아니한 일이 겹쳐 찾아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보리떡을 떡이라 하며 의붓아비를 아비라 하랴 : 보리떡과 의붓아비는 좋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보리떡을 떡이라 하며 의붓아비를 아비라 하랴
:
랴로 끝나는 단어: 총 103개
-
랴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91개입니다.- 예: 내 배 다치랴, 어느 장단에 춤추랴, 고름이 살 되랴, 한술 밥에 배부르랴, 개하고 똥 다투랴
-
랴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0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2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예: 으랴, 이랴
-
랴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예: 스가랴, 디베랴
-
랴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5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물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예: 물 본 기러기 산 넘어가랴, 물 본 기러기 어옹을 두려워하랴, 물 묻은 치마에 땀 묻는 걸 꺼리랴, 물 좋고 정자 좋은 데가 있으랴
-
랴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6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2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외 심은 데 콩 나랴, 웃는 낯에 침 뱉으랴, 이랴, 어느 장단에 춤추랴, 언문풍월에 염이 있으랴
-
-
보리떡을 떡이라 하며 의붓아비를 아비라 하랴
:
하랴로 끝나는 단어: 총 11개
-
하랴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1개입니다.
-
하랴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8 종류의 글자수로 분류됩니다.
-
하랴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11 종류의 시작하는 글자로 분류됩니다.
-
하랴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3번 사용된 ㅂ이 최다입니다.
-
-
: 자음 ㅂㄹㄸㅇㄸㅇㄹㅎㅁㅇㅂㅇㅂㄹㅇㅂㄹㅎㄹ 단어: 총 1개
-
자음 ㅂㄹㄸㅇㄸㅇㄹㅎㅁㅇㅂㅇㅂㄹㅇㅂㄹㅎㄹ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ㅗㅣㅓㅡㅓㅣㅏㅏㅕㅢㅜㅏㅣㅡㅏㅣㅏㅏㅑ 단어: 총 1개
-
모음 ㅗㅣㅓㅡㅓㅣㅏㅏㅕㅢㅜㅏㅣㅡㅏㅣㅏㅏㅑ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보리떡을 떡이라 하며 의붓아비를 아비라 하랴
:
보로 시작하는 단어: 총 2,375개
-
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34개입니다.- 예: 보(褓), 보(寶), 보(報), 보, 보(洑)
-
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82개입니다.- 예: 보르네올, 보태하다, 보각하다, 보완하다, 보유스레
-
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2개의 분야 중에서 법률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2개입니다.- 예: 보세, 보감, 보, 보전, 보석
-
보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02 종류의 한자 중에서 498번 사용된 保이 최다입니다.- 예: 보건(保健), 보유(保有), 보세(保稅), 보고(保辜), 보체(保體)
-
보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57개입니다.- 예: 보두다, 보내다, 보깨다, 보듬다, 보얗다
-
-
보리떡을 떡이라 하며 의붓아비를 아비라 하랴
:
보리로 시작하는 단어: 총 115개
-
보리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6개입니다.- 예: 보리수(菩提樹), 보리강(菩提講), 보리, 보리때, 보리풀
-
보리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5개입니다.- 예: 보리살타, 보리단술, 보리달마, 보리나방, 보리사초
-
보리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분야 중에서 농업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2개입니다.- 예: 보리풀, 보리밟기, 보리풀꺾다, 보리밟기하다, 보리논
-
보리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3 종류의 한자 중에서 18번 사용된 提이 최다입니다.- 예: 보리수(菩提樹), 보리강(菩提講), 보리달마(菩提達磨), 보리심(菩提心), 보리성(菩提聲)
-
보리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6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8개입니다.- 예: 보리누름까지 세배한다, 보리퉁하다, 보리타작하다, 보리풀꺾다, 보리마당질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