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앗공이는 제 산… 🌟의미
- 강태공이 세월 낚듯 한다 : 무슨 일을 매우 더디고 느리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공은 공이고, 사는 사다 : 공적인 일과 사적인 일은 엄격히 구별하여야 한다는 말.
- 나무 공이 등 맞춘 것 같다 : 나무로 만든 공이의 등을 맞춘 것처럼 서로 잘 맞지 아니하고 대립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마디에 공이 닿아 : 아끼는 곳에 더욱 상하기 쉬운 흠이 있음을 이르는 말.
- 바늘 끝만 한 일을 보면 쇠공이만큼 늘어놓는다 : 작은 일을 크게 과장하여 떠듦을 이르는 말.

- 가마 밑이 노구솥 밑을 검다 한다 : 더 시꺼먼 가마솥 밑이 덜 시꺼먼 노구솥 밑을 보고 도리어 검다고 흉본다는 뜻으로, 남 못지않은 잘못이나 결함이 있는 사람이 제 흉은 모르고 남의 잘못이나 결함만을 흉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마솥 밑이 노구솥 밑을 검다 한다 : 더 시꺼먼 가마솥 밑이 덜 시꺼먼 노구솥 밑을 보고 도리어 검다고 흉본다는 뜻으로, 남 못지않은 잘못이나 결함이 있는 사람이 제 흉은 모르고 남의 잘못이나 결함만을 흉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마당에 빗자루 몽당이를 들고 춤을 추어도 농사 밑이 어둑하다 : 가을에 타작을 하여 줄 것은 주고 갚을 것은 갚고 빈손에 빗자루만 남게 되더라도 그래도 남은 것이 있다는 뜻으로, 농사일은 든든한 것임을 이르는 말.
- 가을비는 장인[시아버지/시아비]의 나룻[수염/턱] 밑에서도 긋는다 : 가을비는 아주 잠깐 오다가 곧 그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비는 턱 밑에서도 긋는다 : 그때그때의 잔걱정은 순간적이어서 곧 지나가 버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난한 상주 방갓 대가리 같다 : 사람의 몰골이 허술하여 볼품없어 보임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가는 며느리가 보리방아 찧어 놓고 가랴 : 이미 일이 다 틀어져 그만두는 터에 뒷일을 생각하고 돌아다볼 리 만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는 방망이 오는 홍두깨 : 이쪽에서 방망이로 저쪽을 때리면 저쪽에서는 홍두깨로 이쪽을 때린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일보다 더 가혹한 갚음을 받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문 날에 빗방울 안 떨어지는 날이 없다 : 가뭄이 계속되면서 비는 시원히 오지 않고 몇 방울 떨어지기만 한다는 말.
- 갓방 인두 달듯 : 갓 만드는 작업장의 인두가 언제나 뜨겁게 달아 있는 것처럼 자기 혼자 애태우며 어쩔 줄 몰라 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방앗공이는 제 산 밑에서 팔아먹으랬다 : 무엇이나 산출되는 그 본바닥에서 팔아야 실수가 없지 더 이익을 남기려고 멀리 가지고 가거나 하면 도리어 손해를 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자니 태산이요, 돌아서자니 숭산이라 : 앞에도 높은 산이고 뒤에도 높은 산이라는 뜻으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할 난처한 지경에 이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갈수록 태산[수미산/심산](이라) : 갈수록 더욱 어려운 지경에 처하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갓 사러 갔다가 망건 산다 : 사려고 하던 물건이 없어 그와 비슷하거나 전혀 쓰임이 다른 것을 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 꼬락서니 미워서 낙지 산다 : 개가 즐겨 먹는 뼈다귀가 들어 있지 아니한 낙지를 산다는 뜻으로, 자기가 미워하는 사람에게 이롭거나 좋을 일은 하지 않겠다는 것을 이르는 말.
- 개 복에도 먹고산다 : 개 같은 하잘것없는 것도 복을 받을 수가 있음을 이르는 말.
- 방앗공이는 제 산 밑에서 팔아먹으랬다 : 무엇이나 산출되는 그 본바닥에서 팔아야 실수가 없지 더 이익을 남기려고 멀리 가지고 가거나 하면 도리어 손해를 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마 안의 팥이 풀어져도 그 안에 있다 : 손해를 본 것 같지만 따지고 보면 손해를 본 것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같잖은 투전에 돈만 잃었다 : 기를 쓰고 덤빈 투전도 아닌데 돈을 잃었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 손해만 보았음을 이르는 말.
- 개구멍에 망건 치기 : 남에게 빼앗길 것을 두려워하여 막고 있다가 막던 그 물건까지 잃는다는 뜻으로, 되지도 아니할 일을 공연히 욕심만 내어 어리석게 시작하였다가 도리어 손해나 망신을 당함을 이르는 말.
- 거지 옷[베 두루마기] 해 입힌 셈 친다 : 거지에게 자선을 베풀어 새 옷을 한 벌 입혀 준 셈 친다는 뜻으로, 대가나 보답을 바라지 않고 자비를 베풀어 줌을 이르는 말.
- 거지 제 쪽박 깨기 : 도리어 자기 손해만 자초하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열 번 잘하고 한 번 실수를 하지 말아야 한다 : 한 번 잘못하면 열 번 잘한 것도 아무 소용이 없으니 언제나 조심하라는 말.
- 한 번 실수는 병가(兵家)의 상사(常事) : 전쟁을 하다 보면 한 번의 실수는 늘 있는 일이라는 뜻으로, 일에는 실수나 실패가 있을 수 있다는 말.
- 개미구멍으로 공든 탑 무너진다 : 조그마한 실수나 방심으로 큰일을 망쳐 버린다는 말.
- 공든 탑도 개미구멍으로 무너진다 : 조그마한 실수나 방심으로 큰일을 망쳐 버린다는 말.
- 광주리에 담은 밥도 엎어질 수가 있다 : 틀림없을 듯한 것도 실수하여 그르칠 수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겉보리를 껍질째 먹은들 시앗이야 한집에 살랴 : 아무리 고생을 하고 살망정 남편의 첩과 한집에서 살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눈치가 참새 방앗간 찾기 : 눈치가 매우 빠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뒷간 기둥이 물방앗간 기둥을 더럽다 한다 : 자기는 더 큰 흉이 있으면서 도리어 남의 작은 흉을 본다는 말.
- 딸의 시앗은 바늘방석에 앉히고 며느리 시앗은 꽃방석에 앉힌다 : 딸은 귀하게 여겨 어떻게 하든지 그 시앗을 없애려 하나, 며느리에 대해서는 미워하는 마음으로 며느리가 시앗을 보고 괴로워하는 것을 도리어 통쾌하게 여긴다는 말.
- 며느리 시앗은 열도 귀엽고 자기 시앗은 하나도 밉다 : 흔히 아들이 첩을 얻는 것은 좋아하면서도 제 남편이 첩을 얻어 시앗을 보게 되면 못 견디어 한다는 말.
- 가마 속의 콩도 삶아야 먹는다 : 가마 안에 들어간 콩도 끓여서 삶아야 먹을 수 있다는 뜻으로, 다 된 듯하고 쉬운 일이라도 손을 대어 힘을 들이지 않으면 이익이 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간에 가 붙고 쓸개[염통]에 가 붙는다 : 자기에게 조금이라도 이익이 되면 지조 없이 이편에 붙었다 저편에 붙었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간에 붙었다 쓸개[염통]에 붙었다 한다 : 자기에게 조금이라도 이익이 되면 지조 없이 이편에 붙었다 저편에 붙었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감나무 밑에 누워도 삿갓 미사리를 대어라 : 감나무 밑에 누워서 절로 떨어지는 감을 얻어먹으려 하여도 그것을 받기 위하여서는 삿갓 미사리를 입에 대고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의당 자기에게 올 기회나 이익이라도 그것을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이르는 말.
- 감나무 밑에서도 먹는 수업을 하여라 : 감나무 밑에 누워서 절로 떨어지는 감을 얻어먹으려 하여도 그것을 받기 위하여서는 삿갓 미사리를 입에 대고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의당 자기에게 올 기회나 이익이라도 그것을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이르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방앗공이는 제 산 밑에서 팔아먹으랬다
:
다로 끝나는 단어: 총 76,978개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5,772개입니다.- 예: 째다, 톺다, 쓰다, 틔다, 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6,186개입니다.- 예: 선행하다, 임면하다, 게기하다, 화합하다, 해안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0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13개입니다.- 예: 망괴다, 배하다, 상다, 주다, 날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9 종류의 한자 중에서 898번 사용된 化이 최다입니다.- 예: 경화되다(硬化되다), 화육하다(化育하다), 궁화하다(躬化하다), 화하다(化하다), 둔화되다(鈍化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94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06개입니다.- 예: 가루다, 가렵다, 가말다, 가닿다, 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34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익다, 오다, 웃다, 엮다, 앓다
-
-
방앗공이는 제 산 밑에서 팔아먹으랬다
:
랬다로 끝나는 단어: 총 34개
-
랬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0개입니다.- 예: 혼인치레 말고 팔자치레 하랬다, 제 발등의 불을 먼저 끄랬다, 싸움은 말리고 불은 끄랬다, 가는 말에도 채찍을 치랬다, 식은 국도 맛보고 먹으랬다
-
랬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11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개입니다.- 예: 제 발등의 불을 먼저 끄랬다, 싸움은 말리고 불은 끄랬다, 가는 말에도 채찍을 치랬다, 식은 국도 맛보고 먹으랬다, 아이 말도 귀여겨들으랬다
-
랬다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30 종류의 시작하는 글자로 분류됩니다.- 예: 고수머리 옥니박이하고는 말도 말랬다, 고랬다조랬다
-
랬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8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외삼촌 사는 골에 가지도 말랬다, 아는 길도 물어 가랬다, 오뉴월 품앗이도 먼저[진작] 갚으랬다, 요랬다조랬다, 업은 아기 말도 귀담아들으랬다
-
-
: 자음 ㅂㅇㄱㅇㄴㅈㅅㅁㅇㅅㅍㅇㅁㅇㄹㄷ 단어: 총 1개
-
자음 ㅂㅇㄱㅇㄴㅈㅅㅁㅇㅅㅍㅇㅁㅇㄹㄷ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ㅏㅏㅗㅣㅡㅔㅏㅣㅔㅓㅏㅏㅓㅡㅐㅏ 단어: 총 1개
-
모음 ㅏㅏㅗㅣㅡㅔㅏㅣㅔㅓㅏㅏㅓㅡㅐㅏ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방앗공이는 제 산 밑에서 팔아먹으랬다
:
방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2,031개
-
방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268개입니다.- 예: 방(Bang, Hermann Joachim), 방(梆), 방(龐), 방(榜), 방
-
방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99개입니다.- 예: 방주하다, 방각하다, 방사성원, 방끗방끗, 방조하다
-
방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7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9개입니다.- 예: 방좌, 방, 방목, 방성, 방역
-
방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37 종류의 한자 중에서 499번 사용된 放이 최다입니다.- 예: 방척(放擲), 방사(放赦), 방자(放資), 방곡(放穀), 방담(放膽)
-
방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74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19개입니다.- 예: 방다, 방각하다, 방내다, 방이다, 방나다
-
-
방앗공이는 제 산 밑에서 팔아먹으랬다
:
방앗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9개
-
방앗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
방앗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
방앗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
방앗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한자로 분류됩니다.
-
방앗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9 종류의 끝나는 글자로 분류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