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걀로 바위[백운… 🌟의미
달걀로 바위[백운대/성] 치기
:
대항해도 도저히 이길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구
속담
•
동의어/반의어/비슷한말/준말:
-
동의어
계란으로 바위 치기: 대항해도 도저히 이길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의어
바위에 달걀 부딪치기: 대항해도 도저히 이길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동의어
바위에 머리 받기: 대항해도 도저히 이길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달걀로 바위[백운대/성] 치기 : 대항해도 도저히 이길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https://the2.sfo2.cdn.digitaloceanspaces.com/m_photo/526779.webp)
- 가난이 원수 : 가난하기 때문에 억울한 경우나 고통을 당하게 되니 가난이 원수같이 느껴진다는 말.
- 가는 방망이 오는 홍두깨 : 이쪽에서 방망이로 저쪽을 때리면 저쪽에서는 홍두깨로 이쪽을 때린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일보다 더 가혹한 갚음을 받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랑잎으로 눈 가리기 : 자기의 존재나 허물을 숨기려고 미련하게 애쓰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랑잎이 솔잎더러 바스락거린다고 한다 : 더 바스락거리는 가랑잎이 솔잎더러 바스락거린다고 나무란다는 뜻으로, 자기의 허물은 생각하지 않고 도리어 남의 허물만 나무라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마 타고 옷고름 단다 : 미리 준비를 해 놓지 않아서 임박해서야 허둥지둥하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게 기둥에 입춘[주련] : 추하고 보잘것없는 가겟집 기둥에 ‘입춘대길’이라 써 붙인다는 뜻으로, 제격에 맞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입춘대길: 입춘을 맞이하여 길운을 기원하며 벽이나 문짝 따위에 써 붙이는 글귀.)
- 가난이 질기다 : 가난하여 곧 굶어 죽을 것 같으나 잘 견디어 낸다는 뜻으로, 가난 속에서도 갖은 고생을 하며 그럭저럭 살아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난할수록 기와집 짓는다 : 당장 먹을 것이나 입을 것이 넉넉지 못한 가난한 살림일수록 기와집을 짓는다는 뜻으로, 실상은 가난한 사람이 남에게 업신여김을 당하기 싫어서 허세를 부리려는 심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랑잎으로 눈 가리기 : 자기의 존재나 허물을 숨기려고 미련하게 애쓰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마 타고 시집가기는 (다) 틀렸다 : 시집을 갈 때 으레 가마를 타고 가는 것이나 그 격식을 좇아서 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일이 제대로 되지 않아 격식과 채비를 갖추어서 하기는 틀렸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가게 기둥에 입춘[주련]](https://the2.sfo2.cdn.digitaloceanspaces.com/m_photo/524994.webp)
- 개밥에 달걀 : 분에 넘치고 격에 맞지 아니하는 기구나 격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양이 달걀 굴리듯 : 무슨 일을 재치 있게 잘하거나 또는 공 같은 것을 재간 있게 놀림을 이르는 말.
- 곤달걀 꼬끼오 울거든 : 도저히 불가능한 일이어서 기약할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곤달걀 지고 성 밑으로 못 가겠다 : 이미 다 썩은 달걀을 지고 성 밑으로 가면서도 성벽이 무너져 달걀이 깨질까 두려워 못 간다는 뜻으로, 무슨 일을 지나치게 두려워하며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눈먼 고양이[구렁이] 달걀 어르듯 : 제게 소중한 것인 줄 알고 애지중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난한 상주 방갓 대가리 같다 : 사람의 몰골이 허술하여 볼품없어 보임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가만한 바람이 대목을 꺾는다 : 약하게 가만가만 부는 바람이 큰 나무를 꺾는다는 뜻으로, 작고 약한 것이라고 얕잡아 보아서는 안 된다는 말.
- 가문 논에 물 대기 : 일이 매우 힘들거나 힘들여 해 놓아도 성과가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 가문 덕에 대접받는다 : 변변치 못한 사람이 좋은 가문에 태어난 덕분에 좋은 대우를 받는다는 말.
- 가을 중 싸대듯[쏘대듯/싸다니듯] : 수확이 많은 가을철에 조금이라도 더 시주를 얻기 위하여 중이 바쁘게 돌아다닌다는 뜻으로, 여기저기 분주히 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계란으로 바위 치기 : 대항해도 도저히 이길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달걀로 바위[백운대/성] 치기 : 대항해도 도저히 이길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바위에 달걀 부딪치기 : 대항해도 도저히 이길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바위에 머리 받기 : 대항해도 도저히 이길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반찬 먹은 개 : 반찬을 훔쳐 먹은 개가 꼼짝 못 하고 매를 맞듯이 아무리 구박을 받아도 아무 대항을 못하고 어쩔 줄 모르는 처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 바위 지나가는 격 : 개가 바위 위를 밟고 지나간들 자국이 남을 리가 없다는 뜻으로, 지나간 자국을 남기지 않아 찾을 길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계란으로 바위 치기 : 대항해도 도저히 이길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놀란 토끼 벼랑 바위 쳐다보듯 : 말도 못 하고 눈만 껌벅거리며 쳐다보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달걀로 바위[백운대/성] 치기 : 대항해도 도저히 이길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맨발로 바위 차기 : 되지도 아니할 것을 하여 도리어 자기에게 손해만 돌아오게 하는, 어리석고 소용없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달걀로 바위[백운대/성] 치기 : 대항해도 도저히 이길 수 없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곤달걀 지고 성 밑으로 못 가겠다 : 이미 다 썩은 달걀을 지고 성 밑으로 가면서도 성벽이 무너져 달걀이 깨질까 두려워 못 간다는 뜻으로, 무슨 일을 지나치게 두려워하며 걱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광부의 말도 성인이 가려 쓴다 : 사람은 누구나 남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글은 기성명이면 족하다 : 글이란 제 성과 이름이나 쓸 줄 알면 족하다는 뜻으로, 글공부를 많이 할 필요가 없다는 말.
- 남을 위해 주는 일엔 북두칠성도 굽어본다 : 마음을 바르게 쓰면 신명(神明)도 알아 보살핀다는 말.
- 남의 처녀 나이도 모르고 숙성하다고 한다 : 일의 속사정은 잘 알지도 못하면서 경솔하게 이러니저러니 말함을 이르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달걀로 바위[백운대/성] 치기
:
기로 끝나는 단어: 총 9,455개
-
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691개입니다.- 예: 기(杞), 기, 기(期), 기(起), 기(岐)
-
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8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938개입니다.- 예: 재치기, 위성기, 탄수기, 장보기, 제지기
-
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4개의 분야 중에서 체육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458개입니다.- 예: 체기, 채기, 보기, 혁기, 역기
-
기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077 종류의 한자 중에서 1,698번 사용된 器이 최다입니다.- 예: 예기(禮器), 동기(銅器), 응기(應器), 찬기(饌器), 누기(漏器)
-
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88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전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86개입니다.- 예: 전기
-
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406번 사용된 ㄱ이 최다입니다.- 예: 기
-
-
달걀로 바위[백운대/성] 치기
:
치기로 끝나는 단어: 총 233개
-
치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84개입니다.- 예: 돈치기, 재치기, 장치기, 자치기, 들치기
-
치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12개입니다.- 예: 휘갑치기, 빗모치기, 단동치기, 달어치기, 누에치기
-
치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개의 분야 중에서 민속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39개입니다.- 예: 동치기, 장치기, 발치기, 밀치기, 배치기
-
치기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3 종류의 한자 중에서 3번 사용된 單이 최다입니다.- 예: 단방치기(單放치기), 단벌치기(單벌치기), 단동치기(單동치기)
-
치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1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두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9개입니다.- 예: 두무릎꿇기풍치기, 두모치기, 두무릎풍치기, 두루치기, 두무릎곱치기
-
치기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47번 사용된 ㄷ이 최다입니다.- 예: 달치기, 동치기, 돌치기, 도치기, 들치기
-
-
:
자음 ㄷㄱㄹㅂㅇ[ㅂㅇㄷ/ㅅ]ㅊㄱ 단어: 총 1개
-
자음 ㄷㄱㄹㅂㅇ[ㅂㅇㄷ/ㅅ]ㅊㄱ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ㅏㅑㅗㅏㅟ[ㅐㅜㅐ/ㅓ]ㅣㅣ 단어: 총 1개
-
모음 ㅏㅑㅗㅏㅟ[ㅐㅜㅐ/ㅓ]ㅣㅣ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달걀로 바위[백운대/성] 치기
:
달로 시작하는 단어: 총 607개
-
달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85개입니다.- 예: 달(㿹), 달집, 달단(韃靼), 달식(達識), 달기(妲己)
-
달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6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66개입니다.- 예: 달곰하다, 달권하다, 달베르트, 달어치기, 달캉하다
-
달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8개의 분야 중에서 동물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15개입니다.- 예: 달고깃과, 달팽잇과, 달랑게, 달고기, 달랑겟과
-
달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3 종류의 한자 중에서 92번 사용된 達이 최다입니다.- 예: 달도(達道), 달(達), 달견(達見), 달선(達善), 달식(達識)
-
달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01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02개입니다.- 예: 달라다, 달하다, 달뜨다, 달갑다, 달치다
-
-
달걀로 바위[백운대/성] 치기
:
달걀로 시작하는 단어: 총 38개
-
달걀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9개입니다.- 예: 달걀빛, 달걀밥, 달걀, 달걀찜, 달걀형(달걀形)
-
달걀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개입니다.- 예: 달걀빛, 달걀밥, 달걀찜, 달걀판, 달걀색
-
달걀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5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예: 달걀면, 달걀꼴 곡선
-
달걀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11 종류의 한자로 분류됩니다.- 예: 달걀형(달걀形)
-
달걀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0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예: 달걀도 굴러가다 서는 모가 있다, 달걀 지고 성 밑으로 못 가겠다, 달걀로 치면 노른자다, 달걀에도 뼈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