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생연분에 보리 … 🌟의미
- 개떡 먹기 : 하기에 쉽고도 즐거운 일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과거를 아니 볼 바에야 시관이 개떡 : 자기가 과거를 치르지 않으면 시험관이 시시한 개떡으로밖에 여겨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자기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경우에는 아무리 기세등등하고 권한이 있는 대상이라 할지라도 조금도 두려울 것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먹다가 보니 개떡[수제비] : 멋도 모르고 그저 좋아하다가, 알고 보니 의외로 하찮은 것이어서 실망함을 이르는 말.
- 음식 같잖은 개떡수제비에 입천장(만) 덴다 : 변변치 아니하여 우습게 알고 대한 일에 뜻밖에 큰 손해를 입는 경우를 이르는 말.
- 쥐었다 놓은 개떡 같다 : 얼굴이 매우 못생겼다는 말.

- 가는 며느리가 보리방아 찧어 놓고 가랴 : 이미 일이 다 틀어져 그만두는 터에 뒷일을 생각하고 돌아다볼 리 만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 씹에 보리알 끼이듯 : 좁디좁은 곳에 무엇이 많이 끼여 있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겉보리 단 거꾸로 묶은 것 같다 : 겉보리를 베서 단을 만들 때 거꾸로 묶어 놓으면 단이 허술해질 뿐만 아니라 풀어지기 쉽다는 뜻으로, 안정감이 없거나 어설프게 된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겉보리 돈 사기가 수양딸로 며느리 삼기보다 쉽다 : 겉보리는 식량 사정이 어려운 초여름에 수확하기 때문에 팔아서 돈으로 만들기 쉽다는 뜻으로, 아주 하기 쉬운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겉보리 서 말만 있으면 처가살이하랴 : 여북하면 처가살이를 하겠느냐는 말.

- 겉보리 술 막치 사람 속인다 : 겉보리 술지게미도 많이 먹으면 취하듯이, 겉보기와는 달리 맹랑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기도 먹어 본 사람이 많이 먹는다 : 무슨 일이든지 늘 하던 사람이 더 잘한다는 말.
- 고운 사람 미운 데 없고 미운 사람 고운 데 없다 : 한번 좋게 보면 그 사람이 하는 일이 다 좋게만 보이고, 한번 밉게 보면 그 사람이 하는 일이 다 밉게만 보인다는 말.
- 고운 사람은 멱 씌워도 곱다 : 보기 흉하게 멱서리를 씌워도 고운 사람은 곱다는 뜻으로, 본색(本色)은 어떻게 하여도 나타난다는 말.
- 곡식과 사람은 가꾸기에 달렸다 : 곡식은 사람의 손이 많이 가고 부지런히 가꾸어야 잘되고 사람은 어려서부터 잘 가르치고 이끌어야 훌륭하게 된다는 말.

- 길에 돌도 연분이 있어야 찬다 : 아무리 하찮은 일이라도 인연이 있어야 이루어질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천생연분에 보리 개떡 : 아무리 천한 사람도 다 제 짝이 있어 보리 개떡을 먹을망정 의좋게 산다는 말.
- 가을 판에는 대부인 마님이 나막신짝 들고 나선다 : 가을걷이 때에는 일이 많아서 누구나 바삐 나서서 거들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에는 대부인 마누라도 나무 신짝 가지고 나온다 : 가을걷이 때에는 일이 많아서 누구나 바삐 나서서 거들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 발에 (놋)대갈[버선/토시짝] : 옷차림이나 지닌 물건 따위가 제격에 맞지 아니하여 어울리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구리 낯짝에 물 붓기 : 물에 사는 개구리의 낯에 물을 끼얹어 보았자 개구리가 놀랄 일이 아니라는 뜻으로, 어떤 자극을 주어도 그 자극이 조금도 먹혀들지 아니하거나 어떤 처사를 당하여도 태연함을 이르는 말.
- 계집 바뀐 건 모르고 젓가락 짝 바뀐 건 안다 : 큰 변화는 모르고 지내면서, 소소하게 달라진 것에 대해서는 떠듦을 핀잔하는 말.
- 천생 버릇은 임을 봐도 못 고친다 : 타고난 버릇은 고치기가 어렵다는 말.
- 천생 팔자가 눌은밥이라 : 고작 좋아하는 것이 눌은밥이니 가난한 신세를 면하지 못할 것이라고 비꼬아 이르는 말.
- 천생연분에 보리 개떡 : 아무리 천한 사람도 다 제 짝이 있어 보리 개떡을 먹을망정 의좋게 산다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천생연분에 보리 개떡
:
떡으로 끝나는 단어: 총 231개
-
떡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57개입니다.- 예: 날떡, 총떡, 풀떡, 죽떡(粥떡), 찰떡
-
떡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5개입니다.- 예: 고사떡, 조침떡, 골무떡, 빈자떡, 메찰떡
-
떡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개의 분야 중에서 민속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8개입니다.- 예: 계면떡, 나떡, 부스럼떡, 마마떡, 용떡
-
떡으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3 종류의 한자 중에서 5번 사용된 色이 최다입니다.- 예: 갖은색떡(갖은色떡), 방물색떡(方物色떡), 색떡(色떡), 민색떡(민色떡), 흰색떡(흰色떡)
-
떡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33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떡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7개입니다.- 예: 떡떡, 떡
-
떡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36번 사용된 ㄱ이 최다입니다.- 예: 고사떡, 기름떡, 감떡, 개떡, 골무떡
-
-
천생연분에 보리 개떡
:
개떡으로 끝나는 단어: 총 8개
-
개떡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
개떡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3개입니다.
-
개떡으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2 종류의 한자로 분류됩니다.
-
개떡으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8 종류의 시작하는 글자로 분류됩니다.
-
개떡으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3번 사용된 ㅁ이 최다입니다.
-
-
: 자음 ㅊㅅㅇㅂㅇㅂㄹㄱㄸ 단어: 총 1개
-
자음 ㅊㅅㅇㅂㅇㅂㄹㄱㄸ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ㅓㅐㅕㅜㅔㅗㅣㅐㅓ 단어: 총 1개
-
모음 ㅓㅐㅕㅜㅔㅗㅣㅐㅓ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천생연분에 보리 개떡
:
천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1,955개
-
천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48개입니다.- 예: 천(遷), 천, 천금(千金), 천(釧), 천수(天數)
-
천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0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59개입니다.- 예: 천수관음, 천제사상, 천행만복, 천하일품, 천문단위
-
천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1개의 분야 중에서 불교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23개입니다.- 예: 천, 천존, 천행, 천도, 천이
-
천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58 종류의 한자 중에서 1,018번 사용된 天이 최다입니다.- 예: 천상(天上), 천과(天瓜), 천황(天潢), 천상(天常), 천수(天數)
-
천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56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58개입니다.- 예: 천역하다, 천와하다, 천루하다, 천트다, 천명하다
-
-
천생연분에 보리 개떡
:
천생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13개
-
천생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개입니다.
-
천생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개입니다.
-
천생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 종류의 한자 중에서 10번 사용된 生이 최다입니다.
-
천생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11 종류의 끝나는 글자로 분류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