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머니 떡도 커… 🌟의미
아주머니 떡도 커야 사 먹는다
:
아무리 친근한 사이라도 이익이 있어야 관계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구
속담
•
동의어/반의어/비슷한말/준말:
-
동의어
아주머니 떡[술]도 싸야 사 먹지: 아무리 친근한 사이라도 이익이 있어야 관계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시나무에 연줄 걸리듯 : 인정에 걸리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 씹에 덧게비 : 관계없는 일에 덩달아 덤벼 나섬을 이르는 말.
- 거미 줄 따르듯 :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서로 떨어지지 않고 따라다닌다는 말.
- 걱정도 팔자(다) : 하지 않아도 될 걱정을 하거나 관계도 없는 남의 일에 참견하는 사람에게 놀림조로 이르는 말.
- 건넛산 돌 쳐다보듯 : 저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듯이 멍하니 쳐다본다는 말.

- 가는 떡이 커야 오는 떡이 크다 : 자기가 남에게 말이나 행동을 좋게 하여야 남도 자기에게 좋게 한다는 말.
- 가루 가지고 떡 못 만들랴 : 가루만 있으면 누구나 떡을 만들 수 있다는 뜻으로,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일을 자랑하며 뽐내는 것을 비웃는 말.
- 가을비는 떡비라 : 풍족한 가을에는 이것저것 먹을 것도 많으므로, 비가 와서 일하러 나가지 못하게 되는 날에는 집 안에서 넉넉한 곡식으로 떡이나 해 먹고 지내기가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값싼 비지떡 : 값이 싼 물건은 품질도 그만큼 나쁘게 마련이라는 말.
- 같은 떡도 맏며느리 주는 것이 더 크다 : 맏며느리가 집안의 중요한 사람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물 주워 먹을 사이 없다 : 매우 바빠서 조금도 여가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용마 갈기 사이에 뿔 나거든 : 아무리 바라도 소용이 없다는 말.
- 가까운 집 며느리일수록 흉이 많다 : 늘 가까이 있고 잘 아는 사이일수록 상대편의 결점이 눈에 더 많이 띈다는 말.
- 간이라도 빼어[뽑아] 먹이겠다 : 아주 친한 사이이므로 아무리 소중한 것이라도 아낌없이 내어 줄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감사가 행차하면 사또만 죽어난다 : 감사가 길을 떠나게 되니 사또는 그 준비를 갖추느라 눈코 뜰 사이 없이 바쁘다는 뜻으로, 윗사람이나 남의 일 때문에 고된 일을 하게 됨을 이르는 말.

- 동성아주머니 술도 싸야 사 먹지 : 아무리 친근한 사이라도 이익이 있어야 관계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아주머니 떡[술]도 싸야 사 먹지 : 아무리 친근한 사이라도 이익이 있어야 관계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아주머니 떡도 커야 사 먹는다 : 아무리 친근한 사이라도 이익이 있어야 관계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마 속의 콩도 삶아야 먹는다 : 가마 안에 들어간 콩도 끓여서 삶아야 먹을 수 있다는 뜻으로, 다 된 듯하고 쉬운 일이라도 손을 대어 힘을 들이지 않으면 이익이 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간에 가 붙고 쓸개[염통]에 가 붙는다 : 자기에게 조금이라도 이익이 되면 지조 없이 이편에 붙었다 저편에 붙었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간에 붙었다 쓸개[염통]에 붙었다 한다 : 자기에게 조금이라도 이익이 되면 지조 없이 이편에 붙었다 저편에 붙었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감나무 밑에 누워도 삿갓 미사리를 대어라 : 감나무 밑에 누워서 절로 떨어지는 감을 얻어먹으려 하여도 그것을 받기 위하여서는 삿갓 미사리를 입에 대고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의당 자기에게 올 기회나 이익이라도 그것을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이르는 말.
- 감나무 밑에서도 먹는 수업을 하여라 : 감나무 밑에 누워서 절로 떨어지는 감을 얻어먹으려 하여도 그것을 받기 위하여서는 삿갓 미사리를 입에 대고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의당 자기에게 올 기회나 이익이라도 그것을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이르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아주머니 떡도 커야 사 먹는다
:
다로 끝나는 단어: 총 76,978개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5,772개입니다.- 예: 째다, 톺다, 쓰다, 틔다, 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6,186개입니다.- 예: 선행하다, 임면하다, 게기하다, 화합하다, 해안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0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13개입니다.- 예: 망괴다, 배하다, 상다, 주다, 날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9 종류의 한자 중에서 898번 사용된 化이 최다입니다.- 예: 경화되다(硬化되다), 화육하다(化育하다), 궁화하다(躬化하다), 화하다(化하다), 둔화되다(鈍化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94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06개입니다.- 예: 가루다, 가렵다, 가말다, 가닿다, 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34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익다, 오다, 웃다, 엮다, 앓다
-
-
아주머니 떡도 커야 사 먹는다
:
는다로 끝나는 단어: 총 573개
-
는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71개입니다.- 예: 자루를 찢는다, 외주둥이 굶는다, 성인 벼락 맞는다, 밑구멍이 웃는다, 보릿고개에 죽는다
-
는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7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9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0개입니다.- 예: 상납 돈도 잘라먹는다, 마른날에 벼락 맞는다, 거지끼리 자루 찢는다, 머슴보고 속곳 묻는다, 자다가 벼락을 맞는다
-
는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57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개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개입니다.- 예: 개밥 갖다주고도 워리 해야 먹는다, 개 새끼는 나는 족족 짖는다, 개미는 작아도 탑을 쌓는다, 개는 나면서부터 짖는다, 개천 치다 금을 줍는다
-
는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82번 사용된 ㄱ이 최다입니다.- 예: 굿 본 거위 죽는다, 공을 원수로 갚는다, 거지끼리 자루 찢는다, 과부가 찬밥에 곯는다, 귓등으로도 안 듣는다
-
-
: 자음 ㅇㅈㅁㄴㄸㄷㅋㅇㅅㅁㄴㄷ 단어: 총 1개
-
자음 ㅇㅈㅁㄴㄸㄷㅋㅇㅅㅁㄴㄷ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ㅏㅜㅓㅣㅓㅗㅓㅑㅏㅓㅡㅏ 단어: 총 1개
-
모음 ㅏㅜㅓㅣㅓㅗㅓㅑㅏㅓㅡㅏ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아주머니 떡도 커야 사 먹는다
:
아로 시작하는 단어: 총 3,590개
-
아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5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152개입니다.- 예: 아조(我朝), 아, 아(阿), 아(我), 아(雅)
-
아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8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799개입니다.- 예: 아슬하다, 아짝대다, 아무아무, 아카바만, 아라한과
-
아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3개의 분야 중에서 화학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355개입니다.- 예: 아니솔, 아연, 아연록, 아세톤, 아족
-
아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45 종류의 한자 중에서 242번 사용된 亞이 최다입니다.- 예: 아강(亞綱), 아연(亞鉛), 아목(亞目), 아세(亞歲), 아준(亞樽)
-
아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47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00개입니다.- 예: 아뢰다, 아물다, 아일다, 아뤼다, 아리다
-
-
아주머니 떡도 커야 사 먹는다
:
아주로 시작하는 단어: 총 25개
-
아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7개입니다.- 예: 아주버님, 아주낮춤, 아주비, 아주(亞洲), 아주(牙籌)
-
아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0개입니다.- 예: 아주버니, 아주버님, 아주낮춤, 아주머니, 아주까리
-
아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5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예: 아주
-
아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7 종류의 한자로 분류됩니다.- 예: 아주(亞洲), 아주(阿洲)
-
아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7개의 끝 글자 중에서 주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예: 아주, 아주아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