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 년 묵은 말가… 🌟의미
- 인간은 만물의 척도 : 인간이 모든 것을 판단하는 기준이 됨을 이르는 말.
- 삼 년 묵은 말가죽도 오롱조롱 소리 난다 : 봄이 되어 만물이 다시 활동하기 시작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삼 년 묵은 말가죽도 오롱조롱 소리 난다 : 봄이 되어 만물이 다시 활동하기 시작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똥구멍 찔린 소 모양 : 참지 못하여 어쩔 줄 몰라 하며 쩔쩔매는 모양을 이르는 말.
- 모양내다 얼어 죽겠다 : 실속은 없이 겉보기나 형식만 신경 쓰다가는 낭패할 수 있음을 핀잔하는 말.
- 모양이 개잘량이라 : 체면과 명예를 완전히 잃었음을 이르는 말.
- 선불 맞은 노루[날짐승] 모양 : 선불을 맞아 혼이 난 노루나 날짐승처럼 당황하여 마구 날뛰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소대성이 모양으로 잠만 자나 : 잠이 많은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가을 식은 밥이 봄 양식이다 : 먹을 것이 흔한 가을에는 먹지 않고 내놓은 식은 밥이 봄에 가서는 귀중한 양식이 된다는 뜻으로, 풍족할 때 함부로 낭비하지 않고 절약하면 뒷날의 궁함을 면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바람은 총각 바람 봄바람은 처녀 바람 : 가을에는 남자가 바람이 나기 쉽고, 봄에는 여자가 바람이 나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볕에는 딸을 쬐이고 봄볕에는 며느리를 쬐인다 : 선선한 가을볕에는 딸을 쬐이고 살갗이 잘 타고 거칠어지는 봄볕에는 며느리를 쬐인다는 뜻으로, 시어머니는 며느리보다 제 딸을 더 아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에 내 아비 제도 못 지내거든 봄에 의붓아비 제 지낼까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아버지 제사도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의붓아버지의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가을에 못 지낸 제사를 봄에는 지낼까 : 양식이 풍족한 가을에 아버지 제사도 못 지냈는데 하물며 양식이 떨어진 봄에 의붓아버지의 제사를 지내겠냐는 뜻으로, 형편이 넉넉할 때 꼭 치러야 할 일도 못하는 처지인데 어려운 때에 체면을 차리기 위해서 억지로 힘든 일을 할 수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 꼬리 잡고 선소리하겠군 : 가죽을 벗겨 소고를 메울 동안을 못 참고 개 꼬리를 들고 선소리를 한다는 뜻으로, 참을성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구리 소리도 들을 탓 : 시끄럽게 우는 개구리 소리도 듣기에 따라 좋게도 들리고 나쁘게도 들린다는 뜻으로, 같은 현상도 어떤 기분 상태에서 대하느냐에 따라 좋게도 보이고 나쁘게도 보임을 이르는 말.
- 고려 적 잠꼬대 (같은 소리) : 현실과 전혀 동떨어진, 말 같지 아니한 소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자 힘줄 같은 소리 : 빳빳이 힘을 들여 목을 누르며 내는 소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괴 불알 앓는 소리 : 쉴 새 없이 듣기 싫게 중얼거리는 소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늦게 시작한 도둑이 새벽 다 가는 줄 모른다 : 어떤 일에 남보다 늦게 재미를 붙인 사람이 그 일에 더 열중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만 리 길도 한 걸음으로 시작된다 : 훌륭하게 된 인물도 그 근본을 캐어 보면 범인(凡人)과 별 다름 없으나 노력한 결과로 그리되었다는 말.
- 시작이 반이다 : 무슨 일이든지 시작하기가 어렵지 일단 시작하면 일을 끝마치기는 그리 어렵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시작한 일은 끝을 보라 : 한번 시작한 일은 끝까지 하여야 한다는 말.
- 갈바람에 곡식이 혀를 빼물고 자란다 : 가을이 오려고 서풍이 불기 시작하면 곡식들이 놀랄 만큼 빨리 자라고 익어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기린은 잠자고 스라소니가 춤춘다 : 성인은 깊숙이 들어앉아 활동을 하지 아니하고 간악하고 무능한 소인들이 날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는 개는 배 채우고 누운 개는 옆 챈다 : 활동하면 얻는 바가 있지만 누워서 게으름이나 피우면 옆구리나 차이기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메뚜기도 유월이 한철이다 : 제때를 만난 듯이 한창 날뜀을 이르는 말.
- 물고기는 물을 떠나 살 수 없다 : 활동하는 데에 자신에게 걸맞은 터전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뻐꾸기도 유월이 한철이라 : 뻐꾸기도 음력 유월이 한창 활동할 시기라는 뜻으로, 누구나 한창 활동할 수 있는 시기는 얼마 되지 아니하니 그때를 놓치지 말라는 말.
▹ 어휘력 향상을 위한 통계
-
삼 년 묵은 말가죽도 오롱조롱 소리 난다
:
다로 끝나는 단어: 총 76,978개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개의 품사 중에서 동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55,772개입니다.- 예: 째다, 톺다, 쓰다, 틔다, 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9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6,186개입니다.- 예: 선행하다, 임면하다, 게기하다, 화합하다, 해안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60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413개입니다.- 예: 망괴다, 배하다, 상다, 주다, 날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4,289 종류의 한자 중에서 898번 사용된 化이 최다입니다.- 예: 경화되다(硬化되다), 화육하다(化育하다), 궁화하다(躬化하다), 화하다(化하다), 둔화되다(鈍化되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294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가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806개입니다.- 예: 가루다, 가렵다, 가말다, 가닿다, 가다
-
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9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11,340번 사용된 ㅇ이 최다입니다.- 예: 익다, 오다, 웃다, 엮다, 앓다
-
-
삼 년 묵은 말가죽도 오롱조롱 소리 난다
:
난다로 끝나는 단어: 총 141개
-
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9개입니다.- 예: 푸석돌에 불 난다, 갗에서 좀 난다, 시궁에서 용 난다, 눈물이 골짝 난다, 개천에서 용 난다
-
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1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8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9개입니다.- 예: 왕대밭에 왕대 난다, 쌀광에서 인심 난다, 장난 끝에 살인난다, 입에서 젖내가 난다, 코에서 단내가 난다
-
난다로 끝나는 단어들은 총 2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예: 아난다
-
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시작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87개의 시작 글자 중에서 못이 가장 많고, 단어수는 6개입니다.- 예: 못된 버섯이 삼월 달부터 난다, 못 먹는 씨아가 소리만 난다, 못 먹는 버섯은 삼월 달부터 난다, 못된 송아지 엉덩이에 뿔이 난다, 못된 송아지 뿔부터 난다
-
난다로 끝나는 단어들의 첫 자음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4 종류의 첫 자음 중에서 23번 사용된 ㅅ이 최다입니다.- 예: 시궁에서 용 난다, 속에서 쪼르륵 소리가 난다, 선영 명당(에) 바람이 난다, 시집갈 날[때] 등창이 난다, 삼 년 구병에 불효 난다
-
-
: 자음 ㅅㄴㅁㅇㅁㄱㅈㄷㅇㄹㅈㄹㅅㄹㄴㄷ 단어: 총 1개
-
자음 ㅅㄴㅁㅇㅁㄱㅈㄷㅇㄹㅈㄹㅅㄹㄴㄷ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 모음 ㅏㅕㅜㅡㅏㅏㅜㅗㅗㅗㅗㅗㅗㅣㅏㅏ 단어: 총 1개
-
모음 ㅏㅕㅜㅡㅏㅏㅜㅗㅗㅗㅗㅗㅗㅣㅏㅏ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품사로 분류됩니다.
-
-
삼 년 묵은 말가죽도 오롱조롱 소리 난다
:
삼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2,087개
-
삼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7개의 품사 중에서 명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508개입니다.- 예: 삼사(三使), 삼사(三師), 삼(蔘), 삼경(三卿), 삼(參)
-
삼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20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3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608개입니다.- 예: 삼판선, 삼복중, 삼종형, 삼죽적, 삼할미
-
삼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분야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57개의 분야 중에서 역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259개입니다.- 예: 삼과, 삼소, 삼상, 삼대, 삼흉
-
삼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130 종류의 한자 중에서 1,748번 사용된 三이 최다입니다.- 예: 삼강(三江), 삼복(三伏), 삼사(三師), 삼경(三庚), 삼(三)
-
삼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92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32개입니다.- 예: 삼선하다, 삼하다, 삼다, 삼키다, 삼가다
-
-
삼 년 묵은 말가죽도 오롱조롱 소리 난다
:
삼년으로 시작하는 단어: 총 18개
-
삼년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품사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3개의 품사 중에서 구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11개입니다.
-
삼년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글자수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3개의 글자수 종류 중에서 4 글자 단어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4개입니다.
-
삼년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은 총 1 종류의 분야로 분류됩니다.
-
삼년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이루는 한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 종류의 한자 중에서 7번 사용된 三이 최다입니다.
-
삼년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끝나는 글자별 통계를 살펴보면, 총 10개의 끝 글자 중에서 다가 가장 많고, 단어수는 9개입니다.
-